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순직해병 특검(특별검사 이명현)이 현판식을 연 2일 본격적인 수사에 시동을 걸었다. 핵심 피의자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소환 조사하는 동시에 출국금지 조치에 나섰다. 
 
이날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임 전 사단장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를 취한 것으로 파악됐다. 임 전 사단장의 출국금지 사실이 알려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검팀은 또 이날 오후 2시부터 임 전 사단장을 업무상과실치사 등 혐의로 불러 조사했다. 대구지검에서 채 해병 사망 사건 주임검사였던 임상규 검사가 키를 잡았다. 특검팀은 이날 임 전 사단장의 업무상과실치사 혐의에 대해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임 전 사단장이 지난 2023년 7월 19일 호우피해 복구 작전에 투입된 병력이 수중에서 실종자를 수색한단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구명조끼 등을 지급하지 않고 안전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등 공범 피의자들과 공동해 안전 장비 없이 수중 수색 중이던 채 해병을 사망에 이르게 했단 혐의다. 순직해병 특검법이 규정한 8가지 의혹의 출발점인 채 해병 사망 사건을 되짚으면서 수사의 첫 단추를 끼우겠단 의도로 풀이된다.
 
특검팀은 이날 임 전 사단장이 채 해병 사망 관련해 기존에 수사기관(경북경찰청·대구지검·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 한 진술을 재검증했다. 그간 임 전 사단장은 “법적 책임이 없다”는 주장을 이어가면서 언론 등을 통해 장외전을 펼쳐왔다. 지난달 26일엔 이명현 특검 사무실을 찾아 면담을 요청하기도 했다.
 
그는 이날 조사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채 해병 죽음에 대해 원소속 부대 사단장으로서 도의적 책임을 통감한다”면서도 “수중 수색을 지시하지 않았고 작전통제권 없는 제게 법적으로 책임이 없는 거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특검에 자신의 휴대전화를 제출하겠다고 하면서도 비밀번호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8565?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그동안 많은 언론의 허위 사실 또는 관련성 없는 사실 보도로 가려진 진실을
00:09이번에 특검께서 명명백백하게 밝혀서 진실이 다시 드러날 수 있기를 소망하고
00:17재수금 상병의 죽음에 대해서 당시 원소속 부대의 사단장으로서
00:26도의적인 책임을 통감하고 있습니다.
00:28그러나 수중으로 들어가라는 수색을 하지도 않는 저에게
00:34또 작전통제권이 없는 저에게는 법적으로는 책임이 없는 것으로 저는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00:42그 지역에 가서 무엇을 지원할 것인가 그걸 살펴보려고 갔다가
00:48또 원소속 부대장으로서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00:53그리고 작전통제 부대장의 명령과 권한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01:02허용된 작전지도 즉 가르쳐주고 노하우를 공유하고 훈육하는 그런 부분을 했었고
01:11박정훈 대령과 그 해병대 수사단은 그 외압의 피해자인 겁니다.
01:16그런데 그 피해자가 피해자인 해병대 수사단이 다시 특검의 수사관이 돼서
01:24특검으로서 활동을 한다는 것은
01:27그것은 피해자가 가해자를 수사하는 것으로서 공정성에 맞지 않다.
01:33그런 것을 전달합니다.
02:03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