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3.
정부의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이 국회 심사를 거치면서 약 9조5000억원 늘어났다. 예산 심사 때마다 반복되는 지역구 ‘쪽지 예산’이 추경에도 등장했다.
  
3일 국회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조정소위원회 심사자료’에 따르면 기획재정위원회를 제외한 국방·환경노동·보건복지·문화체육관광 등 상임위 12곳의 추경안 예비 심사 결과 원안보다 9조5592억5800억원이 순증했다. 정부에서 제출한 30조5000억원의 추경 규모가 40조원까지 불었다.
 
국민의힘은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같은 현금성 지원을 “대통령 당선 축하금 뿌리는 추경”(송언석 원내대표)이라고 비판했지만, 정작 상임위 단계에선 증액안을 합의 처리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여야 합의로 지난 1일 소비쿠폰 예산에 2조9000억원을 늘렸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나눠서 부담하기로 한 13조2000억원의 소비쿠폰 예산을 지자체에 부담이 된다며 전액 국가가 부담하는 것으로 바꾼 것이다.
 
윤석열 정부 때 “잘못된 나라 살림 정상화를 위한 특단의 조치”라며 특수활동비를 확 줄였던 더불어민주당도 달라졌다. 민주당은 지난해 2025년도 예산안을 처리하면서 대통령실 특활비 82억원, 검찰 특활비 587억원을 전액 삭감했다. 하지만 이번 추경에선 “특활비는 고도의 보안이 요구되는 활동에 필요하다”(조승래 의원)며 대통령실과 법무부·감사원의 특활비 증액 의견을 냈다. 임미애 민주당 의원은 전날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소위를 마친 뒤 브리핑에서 “정권이 바뀌었기 때문에 작년과 똑같은 기준으로 적용하는 건 무리가 있다”며 특활비 증액을 두둔했다.
 
증액된 예산안에는 상임위 심사도 안 거친 ‘쪽지 예산’도...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8752?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불과 반년 전 본인들이 전액 삭감했던 대통령실 특활비를
00:05원활한 국정운영에 필요하다면서 추경으로 증액하자고 나선 것입니다.
00:12염치도 없고 양신도 없는 가히 내로남불, 표리부동의 끝판 세력입니다.
00:18민생 추경이라면서 추경이 그렇게 급하다고 우기들이 결국 알고 보니까
00:23대통령실 특활비가 그렇게 급했단 말입니까?
00:27문제된 특활비, 어디다 쓰는지도 모르는 특활비를 삭감한 것인데
00:32이것 때문에 살림을 못하겠다고 하는 건 사실 좀 당황스러운 얘기죠.
00:37민주당이 예비비와 특활비를 삭감한 것은 잘못된 나라 살림을 정상화하기 위한
00:44특단의 조치라는 점을 강조드립니다.
00:47대통령실 특활비를 삭감했다고 해서 국정이 마비되지도 않고
00:52검찰 특활비를 삭감했다고 해도 국민이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00:58국민이 이미 3일 더불어민주당이 야당 시절 전액 삭감했던
01:03대통령실 특수활동비의 증액을 요구한 데 대해 내로남불, 표리부동이라고 비판했다.
01:09지난해 12월 민주당은 2025년도 예산안을 처리하면서
01:13대통령실 특활비 82억 원과 검찰 특활비 특경비 587억 원,
01:19감사원 특활비 특경비 60억 원 등을 전액 삭감했다.
01:23이번 추경안에는 민주당이 삭감했던
01:26검찰 특경비 507억 원과 감사원 특경비 45억 원이 반영됐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