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심우정 검찰총장이 2일 퇴임사에서 “잘못된 부분을 고치는 것을 넘어 국민 기본권 보호를 위한 필수 역할까지 폐지하는 건 옳은 길이 아니다”고 더불어민주당의 검찰개혁안을 비판했다.
 
심 총장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 청사에서 열린 퇴임식에서 “국민의 인권, 기본권을 지키고 적법절차, 법치를 수호하는 검찰 본연의 역할만큼은 변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지금도 민생사건에 있어 검찰의 보완수사로 한해 만 명이 넘는 피의자들이 억울한 혐의를 벗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검찰의 공과나 역할에 비판이 있을 수 있지만 잘못된 부분을 고치는 것을 넘어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위한 필수적이고 정상적인 역할까지 폐지하는 건 국민과 국가를 위해 옳은 길이 아니다”고 했다. 
 
이어 “아무리 큰 어려움이 닥친다 해도 국민의 인권, 기본권을 지키는 적법절차, 법치를 수호하는 검찰 본연의 역할만큼은 결코 변함이 없고 변해서도 안 될 것”이라며 “국가의 형사사법시스템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내다보며 신중히 또 신중히 결정해야 할 국가의 백년대계”라고 강조했다.
 
심 총장은 또 “(검수완박) 형사소송법 개정 이후 형사사건 처리 기간은 두 배로 늘어났고, 국민의 삶에 직결된 범죄에 대한 대응력은 약화됐다”며 “각계각층 전문가들의 지혜와 국민의 목소리를 꼼꼼히 경청해 국민 한명 한명에게 가장 바람직한 형사사법제도가 마련되길 간곡히 바란다”고 말했다.
 
검찰 구성원들을 향해서는 “어려운 시기에 더 이상 함께하지 못하고 무거운 짐을 남긴 채 떠나게 돼 미안할 뿐”이라면서도 “검찰총장으로서 제 마지막 소임은 자리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8432?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범죄를 처벌하고 국민을 범죄로부터 지키는 국가의 형사서법 시스템은 국민의 기본권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00:11강계층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신도 깊고 신중한 논의를 거쳐서
00:17국민이 필요로 하고 국민을 위하는 또 일선의 검사들이 사명감을 갖고 국민을 위해서 봉사할 수 있는
00:24그러한 국가의 백년 대교로서 형사서법 시스템이 설계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00:30자세한 내용은 퇴임사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0:33검찰을 떠나는 심우정 검찰총장은 2일 퇴임사를 통해 검찰의 공관화 역할에 대해서 비판이 있을 수 있다며
00:41그러나 잘못된 부분을 고치는 것을 넘어서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위한 필수적이고 정상적인 역할까지 폐지하는 것은
00:48국민과 국가를 위해서 옳은 길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00:52심 총장은 검찰 구성원에게 미안한 마음도 전했다.
00:56심 총장은 어려운 시기에 더 이상 함께하지 못하고 무거운 짐을 남긴 채 떠나게 되어 미안할 뿐이라며
01:03그러나 검찰총장으로서 제 마지막 소임은 자리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했다.
01:09심 총장은 지난해 9월 윤석열 정부 두 번째 검찰총장으로 취임해
01:132026년 9월까지 임기가 보장됐다.
01:17그러나 수사 기소권 분리를 중심으로 검찰권 분산을 공약으로 내건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고
01:23검찰 개편을 추진할 법무장관 후보자와 민정수석 인선이 발표되자 사직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01:29심 총장은 결국 1988년 12월 검찰총장 임기를 2년으로 보장하는 법률이 시행된 이후
01:36임명된 25명 중 중도 퇴임한 16번째 검찰총장이 됐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