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무기 장사’ 소리는 안 듣는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해 뛰어보겠다.”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제1회 방위산업(방산)의 날 비공개 토론회에 참석해 이렇게 말했다. 이처럼 이 대통령은 ‘K-방산’ 세일즈에 직접 앞장서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6~18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과 관련해서도 “우리 방산의 우수성을 알리고, 잠수함 사달라고 부탁하러 간 이유가 크다”고 말했다고 한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기간 잠수함 도입 사업을 추진 중인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방산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네덜란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지난달 24~25일)와 관련해서도 “참석하려고 했던 건 우리 방산과 무기를 홍보하려 했던 이유가 가장 컸다”고 말했다. 결국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대참했는데, 위 실장은 나토의 방위비 ‘2%→5%’ 증액과 관련해 “이러한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국가는 많지 않다. 한국은 그 중 하나”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 대통령은 그만큼 방산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고 참석자들은 말했다. 이 대통령은 공개된 토론회의 모두발언에서도 “방위산업이 대한민국의 안보를 튼튼하게 할 뿐 아니라 나아가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산업의 하나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며 “정부도 지금까지 그랬듯 큰 노력을 기울여 투자와 지원을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HD현대중공업·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한화...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0117?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그렇게 생각합니다.
00:03모두가 알다시피 대한민국은 분당국가이고 여전히 전쟁이 진행 중이고
00:09가장 세계에서 군사 밀도가 높은 위험한 나라이기도 하죠.
00:16그래서 방위산업은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그런 산업으로
00:21지금까지는 내수 중심으로 성장해 왔다면
00:25이제 그 역량을 인정받아서 전세계로 무기체계를 수출하는 그런 나라가 됐습니다.
00:35앞으로 우리 정부가 방위산업에 대해서 지금까지도 그랬지만
00:40앞으로는 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서 투자하고 지원하고 관심을 기울여서
00:46세계적인 방위산업 강국으로 좀 나아갈 수 있게 하려고 합니다.
00:51그래서 몇 가지 우리가 제시를 한다면
00:55첫 번째로는 안보 환경 변화에 맞춰서
01:00우리 K-방산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01:08그야말로 빛의 속도로 변하는 전장에서
01:11인공지능이나 무인 로봇과 같은 경쟁력 있는 무기체계를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될 것 같습니다.
01:19거기에 우리 정부가 할 수 있는 역할들을 찾아보겠습니다.
01:27두 번째로는 방위산업 영역에서 지금은 소수의 대기업 중심이라는 지적들이 있는데
01:36많은 사람들, 많은 기업들이 규모에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는
01:42방위산업 생태계를 좀 구축할 필요가 있겠다 이런 지적들이 있습니다.
01:49세 번째는 이 방위산업의 수출 영역에서는 좀 특색이 있는데
01:55정부 간 협력이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할 겁니다.
02:00안보 협력을 정부 차원에서 잘 이뤄내서
02:05우리 방위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분들 또는 기업들이
02:09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02:13오늘 여러분들의 좋은 제안 함께
02:17이 방위산업은요.
02:19다음 영상에서 뵙겠습니다.
02:20감사합니다.
02:22감사합니다.
02:23감사합니다.
02:24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