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국민의힘이 9일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을 혁신위원장에 임명했다. 안철수 의원의 혁신위원장 사퇴 파문 이틀만이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비대위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윤 원장을 혁신위원장으로 모시기로 했다”며 “중도보수를 대표하는 경제통으로 수도권 민심으로 다가가는 혁신의 조타수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의 경제 전문가인 윤 위원장은 2020년 21대 총선에서 서울 서초갑에서 당선돼 정치권에 입문했다. 22대 총선에선 서울 중·성동갑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올해 초 여의도연구원장에 취임했고, 대선 기간 정강·정책 방송연설자로 나서 “권력에 줄 서는 정치가 계엄 같은 처참한 결과를 낳았다”며 12·3 계엄을 사과하고 당의 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윤 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국민의힘 앞에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혁신이라는 아주 좁고 어두운 길 하나만 남아있다”며 “혁신의 주체인 당원이 혁신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제 역할”이라고 했다. 윤 위원장은 당헌·당규 개정을 포함한 혁신안의 정당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두 차례 전 당원 투표를 하겠다고 설명했다.
 
윤 위원장은 인적 쇄신 방식의 혁신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윤 위원장은 의총 참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당이 칼을 휘두를 권한을 어떤 개인에게도 준 적이 없다”며 “(인적 쇄신은) 특정 개인과 계파의 전유물이 아니다”고 했다. 이를 두고 당 일각에선 우려도 나온다. 인적 쇄신없이 국민의 눈높이를 충족시키겠냐는 것이다. 김용태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서 “총선까지 3년 남았는데, 인적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0250?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저는 이번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굉장히 절박한 시점에 지금 꾸려졌고요.
00:08제가 강조하고 싶었던 것은 혁신의 주체는 당원이라는 점입니다.
00:15혁신의 대상이나 범위 이런 것들을 정하는 것은 당원이어야 되고요.
00:21그 당원이 의사를 표출할 수 있는 그 기반을 저희가 마련하는 것이 혁신위원회의 사명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00:31전권을 미리 받고 안 받고의 문제가 중요하지 않다는 겁니다. 제 말씀은.
00:36국민 눈높이에 맞는 혁신안인데 그것을 만약에 지도부가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러면 우리 당은 쓰러지는 수밖에 없습니다.
00:46지금 이미 쓰러져 있기 때문에 다시 일어나지 못한다는 표현이 맞는 거죠.
00:49그렇기 때문에 지금 지도부나 저나 무슨 권한을 줬네 안 줬네 이런 얘기를 할 때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00:56특정인들에게 칼을 휘두를 권한을 우리 당원은 어떤 개인에게도 준 적이 없습니다.
01:04특정 개인이나 특정 개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혁신은.
01:09제가 할 일은 우리 당원들이 그 혁신의 권한을 어떻게 쓸 것인지
01:15그것을 쓸 수 있도록 제가 그 기반을 잘 마련해 드리는 것이 제 역할입니다.
01:21저는 어떤 칼도 당원으로부터 위임받은 적이 없습니다.
01:26그럼 대답이 있을까요?
01:27네.
01:27네.
01:28네.
01:28네.
01:41어.
01:41네.
01:42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