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6일 전


[앵커]
아는기자, 정치부 손인해기자 나와있습니다.

Q1. 국민의힘 전당대회 8월 22일로 정해졌습니다. 누가 될까요?

정치는 생물이라고 하죠.

앞일 알 수 없지만 오늘 시점에선 국민의힘 대다수는 김문수 전 대선후보가 가장 유리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Q2. 그래요? 대선 패배 했는데 적절하냐 반론도 있던데요?

누가 유리한지를 알려면 룰을 봐야죠.

당에서 오늘 룰 변경은 없다고 했습니다.

기존대로 당심 80%, 민심 20%입니다.

대선 후보를 뽑을 땐 5 대 5였는데 그때보다 당심이 훨씬 중요해진 겁니다.

당원 비율을 보면 보수세가 강한 영남 지역이 40%를 훌쩍 넘습니다.

게다가 상당수는 3개월 전 대선 경선 과정에서 김문수 후보를 뽑았던 이들입니다.

Q3. 본인이 뽑았으니 표가 갈거라는 분석이네요. 민심은요?

당에선 민심도 당심과  크게 다르지 않을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역선택 방지 조항이 있어서 주로 국민의힘 지지층이 응답할 텐데, 최근 지지율이 쪼그라든 걸 보면, 중도층이 이탈해 더 보수화됐을 거라는 겁니다.

최근 여론조사 보면, 김문수 전 후보가 선두를 달리고 있죠.

여러모로 김문수 전 후보가 현재로는 유리해보입니다.

Q4. 한동훈 전 대표는 안 나와요?

출마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오늘도 주변에 의견을 물었다고 하는데요.

가장 큰 고민은 당 지형이 본인이 대표할 때보다 더 보수화됐다는 지점입니다.

한 측근은 시도당위원장 선출된 걸 보라고 합니다.

내년 지방선거 이끌 시도당 위원장 선출이 마무리되고 있는데, 이철규, 박성민, 강승규, 정동만 의원 등 옛 친윤계 인사가 대부분입니다.

당은 한 전 대표 최측근인 김종혁 전 최고위원에 대해 계파 갈등 조장을 이유로 징계 절차에 들어가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힘겹게 이기더라도 당을 혁신할 공간이 있겠냐, 고심이 깊습니다.

Q5. 자 그럼 이번 전당대회 누가 붙어요?

현재 시점에서는 4파전 구도입니다.

김문수 장동혁 안철수 조경태인데요.

김문수 장동혁이 정통 보수 흐름이라면, 안철수 조경태는 중도 확장에 포인트가 있죠.

일단 가장 크게 부딪칠 대목은 흔히 말하는 아스팔트 우파를 어떻게 할 거냐 여부인 것 같습니다.

Q6. 아스팔트 우파, 전한길 씨가 직접 당 대표에 출마할 수도 있다?

오늘 저희 취재진에게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후보가 '없다면' 출마하겠다"고요.

앞서 보신 네 후보 중 윤 전 대통령 지지하겠다는 후보는 단 한 명도 없죠.

의원 중에도 없지만, 당원 중에는 분명 있습니다.
   
전한길 씨 본인이 수만 명 당원 가입시켰다 하고, 전광훈 목사 자유통일당 당원도 꽤 들어와 있는 걸로 당에선 분석하고 있거든요.

파괴력에 대해 다들 예의주시는 하고 있습니다.

Q7. '전한길 전당대회'가 되게 생겼는데요?

맞습니다.

그래서 당내에선 당장 전 씨가 후보로 넣어도 컷오프 시켜야 의견도 나옵니다.

지도부가 여러 이유를 들어 1차 컷오프 시킬 순 있거든요.

송언석 비대위원장이 전 씨 입당도 들여다보겠다고 하니,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Q8. 전당대회 변수는요?

후보 등록을 이번달 말일까지 받습니다.

이제 13일 남은 겁니다.

한동훈 전 대표 출마가 변수가 될 수 있고, 나경원 의원 등 추가로 나올 수 있어 변수는 아직 남아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



손인해 기자 son@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네, 아는 기자, 정치부 손희네 기자 나와 있습니다.
00:04국민의힘 전당대회가 8월 22일로 정해졌습니다.
00:08누가 되는 겁니까?
00:09네, 정치는 흔히 생물이라고 하죠.
00:12앞일을 알 수는 없지만 오늘 시점에서는 국민의힘 대다수가
00:16김문수 전 대선 후보가 가장 유리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00:21아, 그래요? 대선에서 패배했는데 적절하냐 뭐 이런 반론도 있었잖아요.
00:25네, 누가 유리한지를 보려면 룰을 봐야 합니다.
00:28당내에서 오늘은 룰 변경은 없다고 했습니다.
00:32기존대로 당심 80%, 민심 20%입니다.
00:36대선 후보를 뽑을 때는 5대5였는데 그때보다 당심이 훨씬 중요해진 겁니다.
00:43당원 비율을 보면 보수세가 강한 영남 지역이 40%를 훌쩍 넘습니다.
00:50게다가 이 상당수는 3개월 전 대선 경선 과정에서 김문수 후보를 뽑았던 이들입니다.
00:55어차피 그 당원이 그 당원일 테니까요.
00:58그러니까 본인이 뽑았으니까 그쪽으로 표가 갈 거다 이런 분석이네요.
01:01민심도 있잖아요, 비율 중에.
01:03네, 그런데 당에서는 민심이 당심과 크게 다르지 않을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01:08역선택 방지 조항이 있어서 주로 국민의힘 지지층이 응답을 한다는 건데요.
01:14최근 지지율이 쪼그라든 거를 보면 중도층이 이탈해서 더 보수화됐을 거라는 겁니다.
01:20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김문수 전 후보가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01:25여러모로 김문수 전 후보가 현재로서는 유리해 보입니다.
01:30한동훈 전 대표는 안 나오는 거예요?
01:32네, 출마 여부를 아직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01:36오늘도 주변에 의견을 물었다고 하는데요.
01:39가장 큰 고민은 당 지형이 본인이 당대표할 때보다 더 보수화됐다는 겁니다.
01:45한 측근은 시도당 위원장 선출된 걸 보라고 합니다.
01:48내년 지방선거를 이끌 시도당 위원장 선출이 최근에 마무리되고 있는데요.
01:54이철규, 박성민, 강승규, 정동만 의원 등 옛 친융계 인사가 대부분입니다.
02:01당은 한 전 대표 최측근인 김종혁 전 최고위원에 대해서 개파 갈등 조장을 이유로 징계 절차에 들어가기도 했습니다.
02:10이런 상황에서 힘겹게 이기더라도 당을 혁신할 공간이 있겠냐 고심이 깊습니다.
02:16자, 그러면 이번 전당대회 당대표 지금 누가 누가 나오는 거예요?
02:20어떻게 되는 거예요, 지금 구도가?
02:21네, 현재 시점으로는 4파전입니다.
02:24김문수, 장동혁, 안철수, 조경태인데요.
02:28김문수, 장동혁이 정통 보수 흐름이라면 안철수, 조경태는 중도 확장의 포인트가 있습니다.
02:34일단 가장 크게 부딪힐 대목은 흔히 말하는 아스팔트 우파를 어떻게 할 것이냐 이 여부인 것 같습니다.
02:43아스팔트 우파라.
02:44전한기 씨는 아까 보니까 본인이 직접 당대표에 출마할 수도 있다고 하던데요.
02:49네, 오늘 저희 취재진에게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
02:53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후보가 없다면 출마하겠다고요.
02:58앞서 보신 네 후보 중에서 윤 전 대통령 지지하겠다는 후보는 단 한 명도 없죠.
03:03의원들 중에서도 없지만 당원 중에는 분명히 있습니다.
03:09전한기 씨 본인이 수만 명 당원 가입시켰다고 하고요.
03:13정광훈 목사 자유통일당 당원도 꽤 들어와 있는 걸로 당에서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03:19파괴력에 대해서는 다들 예의주시하고는 있습니다.
03:23출마를 한다면 화제가 될 것 같아요. 전한기 전당대회가 될 것 같은데요.
03:28네, 맞습니다.
03:28그래서 당내에서는 당장 전 씨가 후보로 등록을 해도 컷오프를 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나옵니다.
03:36지도부가 여러 이유를 들어서 1차 컷오프를 시킬 수는 있거든요.
03:40이 송한석 비대위원장이 전 씨 입당도 들여다보겠다고 한 만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03:45전당대회 이제 한 달 남짓 남았는데 변수가 있어요?
03:50네, 후보 등록이 이번 달 말일까지입니다.
03:53이제 13일 남은 건데요.
03:55한동훈 전 대표 출마가 변수가 될 수 있고
03:57나경원 의원 등 추가로 나올 수 있어서 변수는 아직 남아 있습니다.
04:03네, 잘 들었습니다.
04:03안은 기자, 손인혜 기자였습니다.
04:15안은 기자, 손인혜 기자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