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아는기자]2007년처럼 압승? vs 2002년처럼 역전?
채널A News
팔로우
2025. 5. 13.
[앵커]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홍 기자, 선거가 21일 밖에 안 남았는데요. 선거 초반 양당 전략이 뚜렷하게 취재가 된 것 같아요. 흥미로운 건 양쪽이 꿈꾸는 지난 대선이 있다면서요?
네. 민주당은 2007년 대선을 꿈꾸고 있습니다.
기억 나시나요?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그야말로 압승했던 대선입니다.
Q2.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얼마나 압승했었죠?
당시 박근혜 후보와 어렵게 경선을 치르고 올라온 이명박 후보, 본선에서는 그야말로 대승을 거뒀습니다.
22.53%p, 520만표 차, 당시 2위 정동영 후보와의 격차입니다.
대선 역사상 최대 격차였죠.
Q2-1. 이재명 대세론으로 압도하겠다는 건데, 그런 큰 격차가 어떻게 가능했나요?
민주당이 노리는 게 바로 이 단어입니다.
보수층의 '투표 포기'인데요.
당시 민주당 쪽 지지자들이 이명박 대세론에 어차피 끝났다며 투표장에 안나갔던 것처럼, 보수 지지층에 똑같은 무력감을 느끼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김문수 후보 지지율을 30%대 밑으로 가두면, 역대 최고 득표율, 55%도 가능하다고 보는 분위기입니다.
Q3. 보수 지지층을 포기하게 하는 전략 뭔가요?
더 중도 보수로 외연을 넓히고 김문수 후보를 극우로 몰겠다는 거죠.
그 때와 다른 점도 있는데요.
기억해보시면 그 때도 3자 구도였는데, 3위가 이회창 후보였습니다.
그러니까 당시엔 1위인 이명박 후보가 3위인 이회창 후보와 보수진영 표를 나눠먹는 구조였죠.
같은 3자지만 이번엔 다릅니다.
2위인 김문수 후보와 3위인 이준석 후보가 나눠먹는 구조죠.
이준석 후보와 함께 김문수 후보를 극우로 모는 더 쉬운 전략인 셈이죠.
국민의힘 내부 분열도 내심 기대하는 모습입니다.
Q5. 민주당 입장에서는 콧노래가 나오겠어요.
하지만, 신경쓰는 대목 김문수의 파괴력, 잠재력입니다.
민주당이 사실 예상했던 본선 상대는 아니거든요.
경선과 단일화 과정에 드라마틱하게 본선에 올라온 김 후보가 어느 정도 파괴력을 가질지, 가늠이 안 되는 부분도 있어 긴장의 끈은 놓지 않고 있습니다.
Q6. 국민의힘은 어느 선거를 꿈꾸는 거에요?
바로 4년 넘게 이어졌던 '이회창 대세론'을 바람으로 뒤집은 2002년 노무현 모델입니다.
Q7. 21일 밖에 안 남았는데 가능하대요?
선대위 핵심 관계자, 두 가지 유사점을 꼽더라고요.
그 첫번째가 드라마틱한 전개입니다.
1.6% 지지율이었던 노무현 후보가 경선 과정에서 바람을 일으켜 역전 드라마를 쓴 것처럼, 김문수 후보가 경선 승리, 단일 후보가 된 게 드라마의 시작이라는 거죠.
Q8. 그래도 시간이 부족해보이는데요?
영화 대사처럼 "아직 한 발 남았다"라고 하더라고요.
바로 '단일화'입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와의 단일화는 여전히 남은 카드라는 겁니다.
이질적이었던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를 꿈꾸는 거죠.
Q8. 이준석 후보가 가능성 0%라던데요?
일단 차근차근 가보겠다고 합니다.
"하루에 1%p씩 지지율 올린다"고요.
민주당이 꿈꾸는 지지층의 대선 포기만은 반드시 막겠다는 겁니다.
이번주 안에 한자릿수 격차로만 붙으면, 지지자들 가슴에 다시 불을 붙이고, 이준석 후보도 단일화 압박을 받을 거라는 거죠.
Q9. 선거가 20일 밖에 안남았는데 가능할까요.
이 전략을 시작했습니다.
역할 분담이요.
90년생 비대위원장 김용태 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 과오를 반성하며, 중도층 공략의 길을 트면 김문수 후보가 지지층을 껴안으며 반 박자씩 늦게 따라가는 전략입니다.
2007년처럼 압도적일지, 2002년 대역전극이 펼쳐질지 남은 21일에 달려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였습니다.
홍지은 기자 rediu@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네, 아는 기자 정치부 홍지연 기자 나왔습니다.
00:05
자, 이제 선거 초반이에요, 사실.
00:07
21일밖에 남지 않았지만 양당 전략이 뚜렷하게 취재가 된 것 같은데
00:11
흥미로운 건 양쪽이 꿈꾸는 지난 대선들이 있다면서요.
00:16
네, 그렇습니다.
00:17
일단 민주당은요, 2007년 대선을 꿈꾸고 있습니다.
00:21
기억나실까요?
00:22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그야말로 압승했던 그런 대선입니다.
00:26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얼마나 압승을 했었죠?
00:29
네, 당시 기억을 한번 돌이켜보면 박근혜 후보와 어렵게 경선을 치르고 올라온 이명박 후보.
00:35
본선에서는 그야말로 대승을 거뒀습니다.
00:38
22.53%포인트, 520만 표 차.
00:43
당시 2위 정동영 후보와의 격차입니다.
00:46
대선 역사상 최대 격차였죠.
00:48
그러니까 이번에도 이재명 대세론으로 압도하겠다는 건데
00:52
그때 그런 격차가 어떻게 가능했던 겁니까?
00:54
네, 그래서 민주당이 노리는 게 바로 이 단어입니다.
00:57
보수층의 투표 포기인데요.
01:00
당시 민주당 쪽 지지자들이 이명박 대세론의 어차피 끝났다며 투표장에 안 나갔던 것처럼
01:06
보수 지지층의 똑같은 무력감을 느끼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01:11
김문수 후보 지지율을 30%대 밑으로 가두면
01:14
역대 최고 득표율 55%도 가능하다고 보는 분위기입니다.
01:19
네, 보수 지지층의 투표를 포기하게 한다.
01:23
그러려면 어떻게 해야 돼요?
01:24
네, 그러려면요. 더 중도 보수로 외연을 넓히고 김문수 후보를 극으로 몰겠다는 거죠.
01:30
그때와 다른 점도 있는데요.
01:32
기억해보시면 그때도 3자 구도였는데 3위가 이회창 후보였습니다.
01:37
그러니까 당시에 1위인 이명박 후보가 3위인 이회창 후보와 보수 진영표를 나눠먹는 구조였죠.
01:46
같은 3자지만 이번엔 다릅니다.
01:48
2위인 김문수 후보와 3위인 이준석 후보가 나눠먹는 구조죠.
01:53
이준석 후보와 함께 김문수 후보를 극으로 모는 더 쉬운 전략인 셈입니다.
01:58
국민의힘 내부 분열도 내심 기대하는 모습입니다.
02:01
이 정도면 민주당 입장에서는 콧노래가 나오는 상황입니까?
02:05
하지만 신경 쓰는 대목이 있습니다.
02:07
바로 김문수 후보의 파괴력 그리고 잠재력입니다.
02:11
민주당이 사실 예상했던 본선 상대는 아니거든요.
02:15
경선과 단일화 과정에 드라마틱하게 본선에 올라온 김 후보가
02:19
어느 정도 파괴력을 가질지 가늠이 안 되는 부분도 있어
02:23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습니다.
02:25
반대로 그러면 국민의힘은 어떤 선거를 꿈꾸는 거예요?
02:28
네, 바로 4년 넘게 이어졌던 이해창 대세론을 바람으로 뒤집은
02:33
2002년 노무현 모델입니다.
02:35
그런데 지금 21일밖에 안 남았는데 가능할까요?
02:38
네, 그래서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요.
02:40
두 가지 유사점을 꼽았습니다.
02:43
그 첫 번째가 바로 드라마틱한 전개입니다.
02:46
1.6% 지지율이었던 노무현 후보가 경선 과정에서 바람을 일으켜
02:51
역전 드라마를 쓴 것처럼 김문수 후보가 경선 승리,
02:55
단일 후보가 된 게 드라마의 시작이라는 거죠.
02:59
그래도 시간이 좀 부족해 보이는데요.
03:01
네, 그래서 영화 대사처럼요.
03:03
아직 한 발 남았다, 이렇게 말하더라고요.
03:06
바로 단일화입니다.
03:07
이준석 대혁신당 후보와의 단일화는 여전히 남은 카드라는 겁니다.
03:11
이질적이었던 노무현, 정몽준 단일화를 꿈꾸는 거죠.
03:15
이준석 후보는 가능성이 0%라고 하는데요.
03:18
네, 그래서 일단은 차근차근 가보겠다고 합니다.
03:21
하루에 1%포인트씩 지지율을 올린다고요.
03:24
민주당이 꿈꾸는 지지층의 대선 포기만은 반드시 막겠다는 겁니다.
03:30
이번 주 안에 한 자릿수 격차로만 붙으면 지지자들 가슴에 다시 불이 붙이고
03:35
이준석 후보도 단일화 압박을 받을 거라는 거죠.
03:38
자, 결국은 선거가 이제 21일밖에 안 남은 이 시간인 것 같습니다.
03:42
네, 그래서 이 전략을 시작했습니다.
03:44
바로 역할 분담인데요.
03:47
90년생 비대위원장 김용태 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 과오를 반성하며
03:52
중도층 공략의 길을 틀면 김문수 후보가 지지층을 껴안으며
03:56
반박자씩 늦게 따라가는 전략입니다.
04:00
2007년처럼 압도적일지, 2002년 대역전극이 펼쳐질지
04:04
남은 21일에 달려있습니다.
04:06
네, 김용태 비대위원장 지명자는 잠시 후에 만나서
04:10
직접 이야기를 좀 나눠보겠습니다.
04:11
안희 기자, 정치부 홍진희 기자였습니다.
추천
1:30
|
다음 순서
[여랑야랑]너도 나도 현장으로
채널A News
오늘
4:49
[아는기자]김문수-이준석 단일화 무산?
채널A News
2025. 5. 22.
3:44
[아는기자]김문수-한동훈 ‘최후 2인’…누가 더 유리한가?
채널A News
2025. 4. 29.
3:34
[아는기자]국민의힘 대선 후보 ‘김문수 확정’…다음은 단일화?
채널A News
2025. 5. 3.
2:36
반환점 돈 대선 레이스...겸손 vs 추격 vs 역전 / YTN
YTN news
2025. 5. 23.
3:44
[아는기자]단일화 시도 계속…결론은?
채널A News
2025. 5. 26.
4:29
[아는기자]국민의힘 대선 경선, 이틀간 토론회가 최대 승부처?
채널A News
2025. 4. 20.
2:03
민주당 “샤이보수 고려하면 6~7%p 승리”
채널A News
2025. 5. 28.
2:18
손 내미는 김문수..."이준석과 다른 게 없어" / YTN
YTN news
2025. 5. 20.
3:54
[아는기자]사전투표 전 단일화 가능할까?
채널A News
2025. 5. 25.
2:44
단일화, 1차 시한 임박..."이준석에 요직" "노무현처럼" / YTN
YTN news
2025. 5. 23.
5:24
[아는기자]김문수-한덕수 담판 결렬 시 ‘강제 단일화’?
채널A News
2025. 5. 7.
2:03
이재명 51% 김문수 31% 이준석 8%
채널A News
2025. 5. 14.
36:48
6·3 대선 대진표 '아직'...범보수 '단일화' 변수 / YTN
YTN news
2025. 5. 4.
4:04
[아는기자]국민의힘 운명의 밤…후보 교체 명분은?
채널A News
2025. 5. 9.
3:31
[아는기자]김문수-이준석 단일화, 여론에 달렸다?
채널A News
2025. 5. 14.
4:37
[아는기자]대선 D-2, 전략이 달라졌다?
채널A News
2025. 6. 1.
4:19
[아는기자]국민의힘, 문 어디까지 여나?
채널A News
2025. 4. 21.
1:48
與 “민주당 지지층 3040 결집…‘2%P 차이’ 싸움”
채널A News
2021. 4. 4.
4:30
[아는기자]국민의힘 4강전 관전 포인트는?
채널A News
2025. 4. 22.
1:47
이준석 “김문수로 이재명 못 이겨”
채널A News
2025. 5. 27.
2:36
가까워진 김문수·이준석…단일화 점화?
채널A News
2025. 5. 19.
2:16
국민의힘 지지층서 김문수 27%·한덕수 65%
채널A News
2025. 5. 6.
3:37
[아는기자]김문수, 하루종일 “원팀” 강조…갈등 봉합 속도전?
채널A News
2025. 5. 11.
4:40
[아는기자]국민의힘 경선 투표 마감…최종 2인은 누구?
채널A News
2025.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