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15.


美 개방 요구에… 정부 "농축산물 전략적 판단 필요"
정부, 美 관세 협상서 농산물 분야 검토 가능성 언급
한우협회 "美 소고기 수입 강행 땐 대응 나설 것"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국민들의 전기요금 폭탄 걱정을 덜어준 정부도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죠.
00:05바로 미국과의 관세 협상입니다.
00:08트럼프 대통령이 우리에게 원하는 게 뭔지 도대체 영상으로 짧게 보시죠.
00:30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협상에서 유독
00:59미국산 소고기 수입에 집착 아닌 집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지금 알려지고 있습니다.
01:06미국산 소고기 그리고 또 미국산 쌀 수입 개방도 압력을 가하는 걸로 지금 알려지고 있는데
01:13우리에게는 굉장히 안 좋은 기억이 있죠.
01:17미국산 쇠고기 파동 쇠고기 때문에 온 나라가 떠들썩했던 경험을 했습니다.
01:22자 그래서 이번에도 걱정인데 또 쌀 하면 우리나라 농민들의 주된 농산물 아니겠습니까.
01:30그리고 쌀 개방 미국산 소고기 걱정이 되는데
01:33이제 관건은 이재명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이 이렇게 은근히 압박하고 요구한
01:39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을 받아들일지 여부입니다.
01:43최근에 이 대통령을 만나고 온 정규재 전 주필은요.
01:47아마 받아들일 것이다 라는 전망에 한 표를 던졌습니다.
01:5330개월 이상 미국산 소고기에 대한 시장 개방.
01:56지금은 수입이 제한되어 있잖아요.
01:58갑자기 이재명 정부 들어서는 찬성할 수도 없는 노르시고.
02:02찬성할 겁니다 아마.
02:04광흡경 집회라는 것 자체가 거구로 만들어졌던 출장들이거든요.
02:09지금 광흡경 무슨 문제가 있습니까.
02:12아무 문제도 없는 문제를 억지로 문제를 만든 거기 때문에
02:17지금은 이재명 정부에서는 조용할 거라고 저는 봅니다.
02:20문제는 축산 농가들이 아무래도 한우시장이 위축이 되겠죠.
02:28정부는 자동차나 반도체 등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를 하기 위해서
02:35농산물을 양보할 수 있다라는 뜻을 밝히기도 한 겁니다.
02:40문제는 과연 생계가 직접 연계되는 농민들 또는 축산업자들 뿐만 아니라
02:46과거에 이 광우병 사태를 겪은 일반 시민들의 의견이나
02:51동의는 제대로 지금 받고 있는 것인지
02:55여론의 동의를 받았는지 이런 것들이 굉장히 중요한 문제가 될 것 같거든요.
03:00네, 맞습니다.
03:01지금 여한구 통삼교섭본부장의 이 한 문장
03:05전략적 판단해야 한다.
03:07이 이야기는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을 위해서 일정 부분 희생할 건 희생해야 된다.
03:14미국 측의 요구를 들어줄 건 들어줘야 된다.
03:16미국 측의 요구가 소고기 수입도 더 개방하라.
03:20어떻게 아직까지 소고기 연령 제한, 월령 제한을 적용하느냐.
03:24광우병은 그냥 허구다.
03:26이런 농산물 수입에 대한 요구를 강화하려고 하는 겁니다.
03:31굉장히 중요한 배경 중에 하나가 중국이 소고기에 대해서
03:35140여 퍼센트의 관세율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03:39그러니까 대중국 수출이 막히니까
03:41그러면 1위 수출 대상국이 미국 입장에서 한국이거든요.
03:461위가 한국이고 3위가 중국인데
03:48중국이 이제 수입을 차단하니까 한국이라도 수입해줘라는 압박을 취하고 있는데
03:54미국 측의 요구를 특정 부분 들어줘야만
03:57우리나라의 자동차, 자동차 부품, 반도체, 수출 시장에서
04:02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다라는 판단하에
04:05지금은 상당히 조율이 필요한 영역이지만
04:08광우병 촛불 집회가 있을 수도 있고
04:11또 대규모 소비자의 거부감이 또 발표될 수도 있고 하겠지만
04:15지금으로서는 현 정부가 어쨌든 미국 측의 요구를
04:20특정 부분 들어주는 입장으로 취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04:24이렇게 판단해 볼 수 있겠습니다.
04:28일단은 관세 협상 정말 중요합니다.
04:31그런데 관세 협상에 너무 집착을 하다 보면
04:35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지금 축산업자들, 농민들
04:40이런 분들이 완전히 또 피해를 왜 또 우리만 피해를 보냐
04:45이렇게 나올 수 있거든요.
04:47이 부분 진짜 여론이나 또 다른 기타 다른 방법으로
04:51그들을 좀 어떻게 보호해 줄 수 있는 게 완충장치가 있어야 되겠어요.
04:55지금 정말 폭염인데요.
04:56폭염 중에 정말 힘든 분들이 또 농가예요.
05:01쌀농업뿐만 아니라 축산농가도 마찬가지.
05:04그런데 소고기 수입이 강행되고 쌀 수입이 강행되고
05:09감자를 비롯한 각종 농산물이 미국으로부터 추가적으로 수입이 개방된다면
05:15전반적으로 농산물 가격이 또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05:19그러면 이 농부 혹은 축산농가 상당한 눈물을
05:25얼굴에서 표현하지 않을 수가 없는 입장이 되겠죠.
05:29이런 것들 또 갖가지를 고려하고요.
05:32특히 만약에 미국 측의 요구를 이런 것들을 들어주는 과정에서
05:36우리의 수출 효자 상품들의 수출이 더 많이 기대된다면
05:40그것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용을
05:43특정 부분의 이런 계층에게 나눠줄 수 있는 분배적인 장치도
05:48같이 마련할 필요가 있겠다라는 의견을 드리고 싶습니다.
05:51알겠습니다.
05:53미국산 소고기라고 하면 우리는 깜짝깜짝 놀라거든요.
05:57자라보고 놀란가서는 솥뚜껑 보고도 놀란다고
06:01또다시 그런 불행이 반복돼서는 안 되겠죠.
06:04정부의 솔로몬의 지혜 수준의 아주 현명한 결정과 판단이 필요한 때인 것 같습니다.
06:10다음 영상에서 만나요.
06:11다음 영상에서 만나요.
06:12다음 영상에서 만나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