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경제를 부탁해]해커들의 놀이터 된 한국?
채널A News
팔로우
그저께
시작하겠습니다.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 나와 있습니다.
1. 유독 올해 국내에서 해킹사고가 연달아 발생했습니다. 한국이 해커들의 놀이터가 됐단 우려도 나온다는데 왜 그런 건가요?
올해 들어서만 SK텔레콤에 이어 예스24, SGI서울보증 등 랜섬웨어 공격이 잇따랐는데요.
그러다보니 한국이 글로벌 해커그룹의 집중 타깃이 되고 있다는 말이 나옵니다.
해커가 공격해서 성과를 내기 쉬운 이른바 '먹잇감'으로 좌표가 찍혔다는 건데요.
한국은 대규모 고객 데이터 기반의 IT·통신, 금융, 첨단산업이 집중돼 있어 '양질의 데이터'가 많습니다.
하지만 방어와 처벌체계는 느슨하고 피해를 은폐하거나 신고를 기피하는 경우가 많아 해커들의 주 표적이 되고 있단 분석입니다.
2. 해킹 기술이 과거와는 차원이 달라졌다면서요?
네 맞습니다.
과거 해킹 기술은 범죄에 사용하기보다는 해커 개인의 능력 검증의 창으로 활용했습니다.
마치 미션을 완료하듯 공공기관이나 유명 시설 방화벽을 뚫는 걸 일종의 명예처럼 여겼던 거죠.
지금은 조직화됐다는 게 가장 무서운 변화입니다.
이들에게 해킹은 금고를 여는 열쇠로, 진짜 목적은 해킹으로 얻은 정보를 판매하는 것, 돈입니다.
보안 전문가들 사이에선 해커 조직들의 규모가 기업화돼 있다고 보는데요.
더 크게는 국가적 차원의 해킹도 있을 수 있는 시대가 됐다는 관측입니다.
3. 해킹 범죄는 창과 방패처럼 막아도 또 벌어지곤 하는데요.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결국 본질적 예방은 범죄조직 추적과 처벌에 국가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개별 기업이나 기관 차원의 '각개 방어'만으론 고도화·조직화된 해커를 막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인데요.
기업들도 보안투자 금액을 늘리고 있는 추세지만, 개별 투자로는 문제 해결이 어려울 수 밖에 없는 거죠.
예컨데 각 가정마다 보안카메라를 달고 방범창을 설치해도, 국가 전체의 치안 시스템이 허술하면 동네 범죄율이 줄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그러다보니 정부와 민간, 산업을 통합한 컨트롤타워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4. 실제 미국은 정부 차원에서 해커를 끝까지 추적해서 잡는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미국에선 FBI가 중국 정보기관과 연계된 해커 조직원 체포를 공식 발표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하고 있는데요.
미 하원 역시 국가 핵심 인프라를 노리는 중국계 해커조직의 공격 방어를 위해 연방기관의 역할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방침도 발표했습니다.
사실상 정부 차원의 대응이 이뤄지고 있는 거죠.
이밖에도 주요국들은 사이버 안보를 국방으로 간주해 종합 컨트롤 타워를 두고 대응하는데요.
미국은 백악관 직속 국가사이버실, 영국은 국립사이버안보센터, 독일은 연방 정보기술 보안청, 일본도 내각 직속 국가 사이버 통괄실을 설치해 사이버 위협을 감시·차단합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부처별 역할이 분산돼 있어, 위기가 닥칠 때 신속 조치와 책임 소재가 불명확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5. 결국 해커를 찾는 것이 문제 해결의 핵심이군요?
그렇습니다.
제대로 보안관리를 하지 못한 점에 대해선 분명히 따져봐야겠지만 핵심은 해커에게 책임을 묻고 제2의 사고를 막는 것입니다.
해킹 범죄단체를 잡지 못하면 언제든 사고는 재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피해 신고 기업에 대한 보호와 인센티브 등 신뢰 기반의 정책 전환도 병행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오는데요.
피해를 입은 기업 중 열에 아홉은 비판을 받을까봐 외부 공개도, 신고도 꺼리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
신선미 기자 new@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경제를 부탁해 오늘도 경제산업부의 신선미 차장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00:10
신 차장, 올해 유독 우리나라에서 해킹 사고가 종종 일어났어요.
00:15
그런데 대한민국이 해커들의 놀이터가 되고 있다 이런 얘기가 들리던데요.
00:20
맞습니다. 올해 들어서만 SK텔레콤에 이어서 ES24, SGI 서울 보증 등 랜섬웨어 공격이 잇따랐는데요.
00:28
그러다 보니 한국이 글로벌 해커 그룹의 집중 타깃이 되고 있다는 말이 나옵니다.
00:35
해커가 공격해서 성과를 내기 쉬운 이른바 먹잇감으로 좌표가 찍혔다는 건데요.
00:41
한국은 대규모 고객 데이터 기반의 IT 통신, 금융, 첨단 산업이 집중돼 있어서 양질의 데이터가 많습니다.
00:50
하지만 방어와 처벌 체계는 느슨하고 피해를 은폐하거나 신고를 기피하는 경우가 많아서 해커들의 주 표적이 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01:02
신 차장, 그런데 문제는 해커들의 기술 자체가 옛날하고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지금 발달했다고요?
01:08
맞습니다. 과거 해킹 기술은 범죄에 사용하기보다는 해커 개인의 능력 검증의 창으로 활용을 했습니다.
01:17
마치 미션을 완료하듯 공공기관이나 유명 시설 방화벽을 뚫는 걸 일종의 명예처럼 여겼던 거죠.
01:26
지금은 조직화됐다는 게 가장 무서운 변화입니다.
01:30
이들에게 해킹은 금고를 여는 열쇠로 진짜 목적은 해킹으로 얻은 정보를 판매하는 것, 즉 돈입니다.
01:38
보안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해커 조직들의 규모가 기업화돼 있다고 보는데요.
01:42
더 크게는 국가적 차원의 해킹도 있을 수 있는 시대가 됐다는 관측입니다.
01:50
그런데 들리는 말로 해킹이라는 게 공격이 먼저 이루어지고 그 공격에 대해서 나중에 방어를 하는,
01:57
그러니까 방어가 후속하는 이게 특징이라고 하던데, 그런데 일단 예방하는 방법은 없는 겁니까?
02:04
결국 본질적 예방은 범죄 조직 추적과 처벌에 국가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02:13
개별 기업이나 기관 차원의 각계 방어만으로는 고도화, 조직화된 해커를 막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인데요.
02:21
기업들도 보안 투자 금액을 늘리고 있는 추세지만 개별 투자로는 문제 해결이 어려울 수밖에 없는 거죠.
02:28
예컨대 각 가정마다 보안 카메라를 달고 방범창을 설치해도 국가 전체의 치안 시스템이 허술하면 동네 범죄율이 줄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02:40
그러다 보니 정부와 민간, 산업을 통합한 컨트롤타워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02:46
네, 미국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해커는 끝까지 찾아내서 잡는다면서요?
02:50
맞습니다. 미국에서는 FBI가 중국 정보기관과 연결된 해커 조직원 체포를 공식 발표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하고 있는데요.
03:00
미 하원 역시 국가 핵심 인프라를 노리는 중국계 해커 조직의 공격 방어를 위해서 연방기관의 역할을 대폭 강화하겠다, 이런 방침도 발표했습니다.
03:12
사실상 정부 차원의 대응이 이뤄지고 있는 거죠.
03:16
이 밖에도 주요국들은 사이버 안보를 국방으로 간주해서 종합 컨트롤타워를 두고 대응을 하고 있는데요.
03:24
미국은 백악관 직속 국가사이버실, 그리고 영국은 국립사이버안보센터, 독일은 연방정보기술보안청, 일본도 내각 직속에 국가사이버 통관실을 설치를 해서 사이버 위협을 감시, 차단합니다.
03:41
반면 우리나라는 부처별 역할이 분산돼 있어서요.
03:45
위기가 닥칠 때 신속 조치와 책임 소재가 불명확하다, 이런 지적이 나옵니다.
03:51
지금 얘기를 들어보니까 결국에는 그 문제를 일으키는 해커를 찾아내는 게 그게 일단 중요하겠군요.
03:58
맞습니다. 제대로 보안 관리를 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당연히 분명히 따져봐야겠지만요.
04:04
핵심은 해커에게 책임을 묻고 제2의 사고를 막는 겁니다.
04:09
해킹 범죄단체를 잡지 못하면 언제든 사고는 재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04:16
피해 신고 기업에 대한 보호, 인센티브 등 신뢰 기반의 이런 정책 전환도 병행돼야 한다, 이런 제언이 나오는데요.
04:24
피해를 입은 기업 중 열의 아홉은 비판을 받을까 봐 외부 공개도 신고도 꺼리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04:33
경제를 부탁해 오늘도 경제산업부의 신선미 차장이 나와서 수고했습니다.
04:39
피해를 입은 것을 통해 보안 관리에 대한 보호, 인센티브 등 신뢰, 의상적 위치에 대한 보호, 인센티브 등 신뢰, 의상적 위치에 대한 보호, 극복 등, 유명한 부분도 피해 신암, 의상적 위치에 대한 보호, 인센티브 등 신뢰.
04:43
비판을 이제 변환시하는 걸 보호했고 요즘에 이렇게 보는 것 같습니다.
04:45
마찬가지로 도와주시가 좀 더 변치지 않아도 같이 바닷을 입을 수 있습니다.
추천
1:38
|
다음 순서
[여랑야랑]알고보니 셀프 수해 복구?
채널A News
오늘
1:34
[여랑야랑]국민의힘, 금요일의 악몽
채널A News
오늘
1:20
[여랑야랑]김혜경 여사의 소비쿠폰 사용법
채널A News
오늘
1:10
[날씨]서울 38도, 폭염 절정…올 최고 더위 온다
채널A News
오늘
1:55
수업 거부 의대생 8000명 2학기 복귀…“의료체계상 불가피”
채널A News
오늘
1:04
KCA 이상훈 원장 "우수 기업 발전과 해외 진출 도울 것" / YTN
YTN news
오늘
0:19
[기업] SRT, 어제부터 모바일 입석 승차권 도입 / YTN
YTN news
오늘
0:33
배우 송영규, 5㎞ 만취 운전으로 검찰 송치 / YTN
YTN news
오늘
3:51
[아는기자]헌재, 보수 우위로 전환…향후 4년간 그대로?
채널A News
2025. 4. 8.
1:58
국민의힘, ‘대선 경선 룰’ 최종 4자→양자 대결 고심
채널A News
2025. 4. 9.
1:54
이르면 내일(5일) 헌법재판관 후보 2명 지명
채널A News
2025. 6. 4.
2:32
주한 美 대사대리, 농업·디지털·금융 콕 집어 “적자 해소”
채널A News
2025. 3. 11.
2:23
한덕수·홍장원·조지호, 헌재 증언대 선다
채널A News
2025. 2. 14.
2:08
이준석 “김문수 찍으면 사표”
채널A News
2025. 5. 13.
2:24
대통령 출석 앞두고 헌재 주변 ‘차벽 경비’ 강화
채널A News
2025. 1. 23.
1:56
‘李 선거법’ 이틀 만에 2차 심리…유·무죄 본격 논의
채널A News
2025. 4. 24.
2:13
[단독]정동영 아들, 태양광 발전소 최소 3곳 운영
채널A News
2025. 7. 2.
1:52
[단독]경찰, 삼단봉·테이저건 구비 검토
채널A News
2025. 1. 10.
2:26
與 “한덕수, 대통령 몫 재판관 임명하라”
채널A News
2025. 3. 31.
4:37
[경제를 부탁해]고물가에 먹는 것도 줄였다…짠내 마케팅·초저가에 ‘사활’
채널A News
2025. 5. 8.
1:52
‘연어·술 파티’ 이화영, 위증죄 추가 기소
채널A News
2025. 3. 13.
2:03
보훈에 한나라당 출신 권오을…‘尹 정부 임명’ 송미령 유임
채널A News
2025. 6. 23.
2:06
헌재, 민주당 추진 ‘사실상 4심제’ 찬성
채널A News
2025. 5. 16.
1:56
2036년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준비 착착
채널A News
2025. 6. 13.
2:09
‘尹 탄핵심판’ 선고 당일 헌재 인근 주유소 폐쇄
채널A News
2025.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