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영덕 앞바다서 참치 1300마리… "기후변화 영향"
2020년 3.3톤에 불과… 2024년엔 163.9톤 잡혀
'바다의 로또' 참치, '대박'인 줄 알았는데?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다음 이야기로 이어가겠습니다. 더워도 정말 너무 덥습니다.
00:05어제 저도 낮에 정말 땀이 비 오듯이 흘러내렸는데 어제 광명 파주시는요.
00:13낮 기온이 최고 40도를 기록했습니다.
00:15그야말로 역대급 7월 더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00:20이 같은 극한의 폭염에 바다 속에서도 지금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00:26어제 경북 영덕군에서는요. 대형 참치가 1300마리가 넘게 잡혔다고요?
00:34맞습니다. 원래 참치를 위에서 이렇게 그물을 쳐놓은 게 아니었는데
00:39엉뚱하게 대형 참치들이 대거 이렇게 그물에 있는 것을 어민들이 확인을 하고 깜짝 놀랐다는 것입니다.
00:46원래 참치는 원양어선이니 먼 바다 가서 잡아야 되는 거잖아요.
00:50맞습니다. 참치가 워낙 비싼 어종이기도 하고 그렇게 포획을 하기가 어렵다고 많이 알려져 있는데
00:57천운 그물에 저렇게 1000마리 넘게 잡히다 보니까 저는 굉장히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
01:02이 원인은요. 결국 바다가 뜨겁기 때문에 포획되는 어종도 지금 변화가 굉장히 많고
01:09우리가 공기 중에도 너무 덥지만 바다 속 물 1도가 올라가면 완전히 어종 자체가 교체가 된다고 합니다.
01:16그러다 보니까 참치의 먹잇감이 고등어라든지 이런 어종이 동해로 오게 되면서
01:22참치도 같이 따라서 이렇게 많이 포획이 됩니다.
01:26그런데요. 여러분 참치 회 드시는 분들 아실 겁니다.
01:31참치 굉장히 비쌉니다.
01:34그러면 이른바 바다의 로또라고 불릴 정도로 고급 어종이 바로 이 참치인데
01:391300마리가 넘게 어제 잡혔다는 건 거의 뭐 로또 대박이 난 거나 다름없겠죠.
01:46혹시나 그러면 이 참치값 좀 내릴라나 저렇게 쉽게 잡히면
01:51아닙니다. 그게 아니라고 합니다.
01:54지역마다 정해진 어획 한도가 있어서 이른바 쿼터제 때문인데요.
02:01이미 한도를 넘어버렸기 때문에 추가로 잡는 참치들은
02:05먹거나 팔거나 할 수 없다고 합니다.
02:12바람보다 훨씬 더 크죠.
02:14키로 속 많이 나가는 건 200키로 넘는 것들도 있고요.
02:18토 1월에 만 잡은 집이 40마리 50마리
02:21주말을 그렇게 보내고요.
02:23오늘 갑자기 한 번에 터져버린 상황입니다.
02:26추가 쿼터를 받은 상황이었고
02:28쿼터 안에서 팔 수 있는지 없는지를 모르니까
02:30그래서 오늘 아가치다 5월이다 보니까 이런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02:35날씨도 점점 더 높아지고 하면 이런 상황이 또 빈번이 발생하는데
02:39초가 보액된 어획량이 돼가지고 정부에서 수매를 해준다든지
02:44그러니까 지금 어제 잡힌 1300마리 참치도
02:50어민들이 버리거나 폐기해야 된다고요?
02:54맞습니다.
02:55그러니까 우리가 쿼터제라는 것이 있어요.
02:57만약에 이것을 위반하면 수산업법에 따라서
03:002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거든요.
03:04그런데 이미 1300여 마리가 잡혔지만
03:06쿼터가 다 달성이 된 상황입니다.
03:08그래서 포획할 수 있는 참치의 그 여건이 전혀 되지 않는 거예요.
03:12그래서 전량 폐기한다든지 아니면 우리가 판매를 할 수 없고
03:17그냥 사료로 쓴다든지 굉장히 좀 아깝다, 안타깝다라는 이야기가 나오고요.
03:22어민 입장에서는 사실 이게 경제적으로 너무 큰 손실이기 때문에
03:27국가 차원에서 쿼터량을 조절한다든지
03:30아니면 이것을 미리 매입해서 나중에 시장이 푼다든지
03:33이런 것들을 좀 조정해야 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03:37저 쿼터는 누가 정하는 건가요?
03:39쿼터의 경우에는 중서부 태평양 수산위원회가
03:42국가별로 참다량을 허용 어획량을 배정합니다.
03:46그러면 우리나라에서 할당된 어획량을 지역별로 나누거든요.
03:50그런데 지금 이 대량의 참치가 잡힌 강원도의 경우에는
03:55사실상 이미 어획량이 다 찬 상황이기 때문에
03:59더 이상 이것을 어민들이 판매를 한다든지
04:01수익을 얻을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04:03아이고야 저 화면에 보이는 저 참치 부두가에 저렇게 널려 있는데
04:08저거를 먹지도 팔지도 못한다니
04:11그게 쿼터제라는 것 때문이라니
04:14글쎄요.
04:16현실적인 문제이긴 하지만 저도 굉장히 아깝네요.
04:20Plato야
04:25하루 종합
04:34
04:368
04:378
04:399
04:399
04:4210
04:4410
04:4511
04:4614
04:4714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