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수온 올라 참치 잡혀도…‘대형 참치 전량 폐기’ 왜?
채널A News
팔로우
그저께
서울 이상기온에 영덕 이례적 대형 참치떼…쿼터 초과로 '눈물의 폐기'
경향 영덕서 잡힌 대형 참치 1300마리 '가축 사료용'이 된 까닭은
위판까지 했는데…쿼터 넘어 '전량 폐기'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더워지다 보니까 그나마 좋다고 해야 할까요? 특이하다고 해야 할까요?
00:06
많은 국민들이 좋아하는 참치, 큰 참치가 동해안 쪽에서 많이 잡히고 있다고 합니다.
00:13
참치들이 좋아하는 고등어, 정어리, 이 친구들이 수온이 상승하니까
00:19
동해 바다 쪽에 출몰하면서 참치들이 따라온 겁니다. 대형 참치들이.
00:23
그런데 영덕에서 엄청난 참치들이 잡혔다는데 이걸 다 버려야 한다고 합니다. 먹지도 못하고.
00:30
이거 어떻게 된 일일까요? 함께 보시죠.
00:34
참치, 참다랑어. 길이가 1.5m, 무게가 150kg. 엄청난 대형 참치죠.
00:41
이 대형 참치가 1,300여 마리가 잡혔어요.
00:47
그물에 참치들이 밀고 들어온 거예요.
00:49
그런데 쿼터 초과로 전량 내다 버려야 할 상황이라고 합니다.
00:59
이렇게 배에 차고도 넘치게 참치들이 잡혔는데 이거 고급 참치거든요.
01:06
대량 참치. 이걸 내다 버려야 한다? 이게 무슨 상황입니까 도대체?
01:11
아니 일단 김기응 대변인, 참치 좋아합니까?
01:14
좋아합니다.
01:15
이거 버려야 된대요, 다.
01:16
그러니까 우리가 참치를 예전에 어렸을 때는 참치 캔을, 참치 캔을 통해서만 참치만 먹었는데 그게 고급 참치는 아니잖아요.
01:25
그리고 이제 좀 저희가 소비 수준이 늘어나면서 참치회를 먹기 시작했는데.
01:29
이게 참치회용이잖아요.
01:30
그렇습니다. 그게 어떻게 보면 참치는 곧바로 잡아서 냉동을 시키지 않습니까?
01:35
그렇죠.
01:35
그리고 해동을 해서 자연스럽게 실원에서 해동을 해서 먹는데 이 싱싱한 참치를 버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일종의 쿼터제가 있다고 봅니다.
01:45
아니 이 쿼터는 누가 정의한 거예요, 도대체?
01:47
그러게요.
01:47
쿼터가 있어가지고 올해 참치를 잡을 수 있는 쿼터량을 초과를 했답니다.
01:54
그래서 저거 관련해서 저거는 그러면 이거를 일종 부분 이거를 저희가 소비할 수 있는 그 과정이 없어진 거죠.
02:03
그래서 전량 폐기를 해야 되는데 저는 의문스러운 게 이게 이런 것들이 계속 반복이 된다면 이 쿼터제에 대해서 이렇게 하는 게 어떨까.
02:12
1년 동안의 쿼터가 아니라 어떤 그 기간을 좀 늘려서 그 기간 안에 어떻게 보면 이번 같은 경우로 갑자기 잡힌 경우가 있지 않습니까?
02:21
그렇다면 이번 같은 경우는 좀 인정을 해주고 내년도 상황에서 이 쿼터 물량을 좀 조율하는 그런 유연성을 발휘하면 되는데 정부가 협상을 하겠죠.
02:32
협상을 할 때 그런 부분까지 좀 감안을 해야 된다고 보고 예전에 제가 이제 KBS 기자 있을 때 울산에서 근무를 했습니다.
02:39
울산에서 근무를 할 때는 이제 고래 같은 게 혼액이 된다고 합니다.
02:44
그럼 고래는 우리가 못 잡기 때문에 일부러 잡을 어떤 의도가 없었는데 그물에 어떻게 보면 고래가 알아서 잡히는 경우 이 혼액이 됐을 때 그때는 또 소비를 할 수 있습니다.
02:57
그런데 그게 혼액이 됐는지 아니면 포획을 했는지를 검사가 가서 현장에서 그거를 또 판단을 합니다.
03:03
그런데 이번 같은 경우는 고래가 아니고 또 어떻게 보면 다랑오.
03:07
참다랑오.
03:08
그렇죠. 소비도 굉장히 많은데 우리나라에서 이렇게 다랑오가 자주 잡힌다는 게.
03:14
지금 저게 마리당 450만 원이니까 얼마입니까?
03:16
그렇죠.
03:17
그걸 버려야 된다는 게 참.
03:18
기분이 좋지만 한편으로는 그만큼 우리나라가 바다수원이 높아져서 이렇게 다랑오를 만날 수 있다는 게 한편으로는 반갑고 한편으로는 참 온난화라는 게 참 좋았다.
03:31
이거는 약간 정부가 좀 유연성을 발휘하면 될 것 같은데요.
03:33
왜냐하면 김유정 대변인, 김유정 의원님. 국제사회가 각 나라마다 참치 어획량 보존을 위해서 쿼터를 뒀잖아요.
03:41
그 우리나라 쿼터를 각 지자체별로 정부가 정부의 기준대로 분배를 한 건데 경북 같은 경우에 올해 쿼터를 넘어서서 저게 마리당 450만 원인데 1,300만 마리를 다 버려야 된다는 거잖아요.
03:55
너무 국가적으로도 자원이 버려지는 거니까.
03:59
돈이 얼마입니까? 그러니까 다른 지역의 쿼터, 참치 안 잡힌 지역 쿼터를 좀 줄여서라도 경북 쿼터를 좀 늘려주는 건 정부가 좀 재량권을 발휘하면 안 됩니까?
04:09
다 버리면 너무 아까운데.
04:10
지금부터 그렇게 해야 될 것 같은데요.
04:11
이 국제기구가 중서부 태평양 수산위원회래요.
04:15
그런 데가 있어요?
04:15
네. 거기에서 각 국가별로 어획량을 정해주는데 그러면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1,000톤이면 1,000톤 배정받은 거를 지역별로 나눠준다는 거예요.
04:25
분배를 하는 거죠.
04:25
네. 분배를 하는 건데 잡고 보니 어민들은 심받다 했을 거 아니에요.
04:30
특히 생참치가 비싸기도 하고 맛도 좋거든요. 냉동보다 훨씬.
04:34
그런 듯 심받다 했는데 알고 보니까 쿼터 초과해서 다 폐기 처분해야 된다는 거죠.
04:40
기가 막히네요.
04:41
이게 법을 어기면 어민들이 또 처벌받거든요.
04:44
어민들이 처벌받아요?
04:45
네. 어민들이 처벌받아서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 벌금이래요.
04:48
2년 이하 징역이요?
04:49
네. 그래서 그럼 쿼터를 좀 올려주세요라고 할 수도 있대요.
04:53
그럼 다른 지역 거를 조금 배정할 수 있나 봐요.
04:56
그런데 문제는 그거를 배정받기까지 잡은 참치는 신선도 유지하는 게 또 비용이 들어가고 어렵다는 거죠.
05:04
올려야죠. 무조건 올려야죠.
05:06
그런 점에서 폐기 처분하면 받아도 오염되고.
05:09
그래서 만약에 쿼터의 상한에 걸렸다는 걸 알았다면 애초에 잡지도 않았어야 된다.
05:13
이런 얘기들이 나오는데 고등어 잡으려고 쳐놓은 그물에 참치가 걸렸는데.
05:19
원래 고등어 잡으려고 쳐놨구나.
05:21
영덕하고 포항에서 같이 공동으로 그물 쳐놨는데 거기에 참치가 걸린 건데 좀 안타깝게 됐습니다.
05:28
그래서 나중에는 이 기후변화를 감안해서 지역별 배분을 할 때 조금 상향 조정을 하는 게 그게 합리적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05:36
참 이 날씨가 더워지니 별기 현상과 어떻게 보면 제도와 법의 어떤 사각지대와 예상치 못했던 부분들도 많이 등장하는 것 같습니다.
05:45
어쨌든 중요한 건 참치의 건강이 아니라 우리의 건강이다.
05:50
여러분의 건강이다. 건강 잃지 않게 조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추천
0:25
|
다음 순서
[기업] 한화 김승연, 이글스 선수단 격려..."정상 차지하자" / YTN
YTN news
오늘
0:40
무너진 LA 지하 터널서 31명 전원 생환...서로 도우며 흙더미 올라와 / YTN
YTN news
오늘
4:23
대형 참치 1300마리…눈물의 ‘전량 폐기’, 왜?
채널A News
그저께
0:47
아세안 외교장관 회의 개막...한미일 회담 조율 / YTN
YTN news
오늘
2:10
대형 참치 1300마리 잡고도…수 억어치 못 파는 이유
채널A News
그저께
4:16
오타니, LA다저스 동료들에 ‘참치 해체쇼’ 선물
채널A News
2025. 3. 18.
2:00
3,000년 전통 스페인 참치 잡이 '눈길' / YTN
YTN news
2019. 5. 11.
18:11
인간과 바다 - 인도네시아, 전통 참치잡이의 길을 잇다_#001
EBS Documentary
2022. 12. 7.
12:01
인간과 바다 - 인도네시아, 전통 참치잡이의 길을 잇다_#002
EBS Documentary
2022. 12. 7.
8:04
尹, 20분간 최후진술 “국무위원조차 살길 찾아 떠나”
채널A 뉴스TOP10
오늘
7:48
일론 머스크, ‘정치활동 중단’ 조언에 “닥쳐”
채널A 뉴스TOP10
오늘
9:14
트럼프, 한국 콕 집어 “방위비 100억 달러 내라”
채널A 뉴스TOP10
어제
1:34
[날씨톡톡] 이번 주 한낮 더위…강원도 양양 열대야
연합뉴스TV
2024. 6. 18.
1:30
[날씨] 경기·남부 지방 폭염주의보…강원 양양 '열대야'
연합뉴스TV
2024. 6. 18.
2:20
K팝 애니 열풍…빌보드 찍고 오스카까지
채널A News
오늘
1:49
“빨리 쳐” 골프장 난투극…하필 하키선수
채널A News
오늘
2:14
4.2mm…초슬림 폴더블폰 전쟁
채널A News
오늘
2:06
전기료 1만 7천 원 줄이는 방법 있다?
채널A News
오늘
1:57
눈물의 로맨스·시월드…달라진 북한 드라마
채널A News
오늘
1:46
[여랑야랑]권성동 “하남자 리더십” vs 안철수 ‘내가?’
채널A News
오늘
1:11
[날씨]‘땡볕 더위‘ 주말까지…서울 36도
채널A News
오늘
2:00
[여랑야랑]尹 재구속…“구치소는 호텔 수준”
채널A News
오늘
1:52
국내 증시, 사상 첫 3천 조 돌파…엔비디아는 5500조
채널A News
오늘
1:46
[단독]전작권 전환 조건 중 ‘전시탄약 확보’ 기준 충족
채널A News
오늘
1:31
[여랑야랑]리박스쿨 대표 “마녀사냥으로 심신미약”
채널A News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