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트럼프 "주한미군 사실상 무상 지원"
트럼프 "부유한 나라 한국, 방위비 아주 적게 내"
트럼프 "돈 많이 벌고 있는데 방위비는 적게 내"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17월 9일 저희 뉴이스타쿤이 선정한 1위는 바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얘기입니다.
00:08어제는 이재명 대통령에게 25%가 적힌 관세서원을 보냈다면 오늘 대각가도 이때 트럼프 대통령이 갑자기 우리나라의 길을 꺼냈습니다.
00:21직접 한번 먼저 1위 얘기부터 들어보겠습니다.
00:30그리고 국민을 받는 돈이 얹료로는 중팔을 고정했고 빈가 제거예요.
00:35세금으로 한국에서 가장 작은 것이다.
00:39그래서 나에게 물을 부산 기간에 도와줘요.
00:42그리고 지인들에게 사는 3명을 받았다고 하시더라고요.
00:46한국에서 45,000 억제한 수하할 경우에 대해서 경험합니다.
00:52세상에서 모든 경험을 받았던 1위입니다.
00:54수도권에서 5,000 억제하여서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00:57일단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과 다른 얘기를 한 거는 잠시 뒤에 만나보라고
01:06최정 평론가님
01:08주한민국은 거의 사실상 공짜로 하고 있기 때문에
01:11돈을 9배 더 받아야 된다는 게 트럼프 대통령 얘기예요
01:15저는 오늘 이걸 보면서 드디어 올 게 왔구나
01:17왜 그동안 얘기 안 하더니 오늘의 새 꺼내는구나
01:20그러니까 관세가 지나가니까 드디어 방위비로 넘어갔다
01:24근데 얼마 전 나토 기억하실 겁니다
01:26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나토 정상들 압박해서
01:30방위비 평균 분담금 5%포인트 관찰해냈습니다
01:35저를 보면서 그때 나토 정상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는 부당하고
01:40금액이 너무 많다고 저항을 했지만
01:41결국에는 5%로 다 받아들였습니다
01:44저는 트럼프 대통령이 여기에서 또 하나 본인이 뜻한 대로 되고
01:49그다음에 본인이 밀어붙이면 가능하다
01:51전형적인 블러핑 기법의 협상 수법인데요
01:55어쨌든 저는 이제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이거는 지금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돼버렸고
02:00관세 25% 그다음에 방위비 이 부분은 정말 우리가 너무 많이 산이긴 한데
02:04여기서 주목해야 될 거
02:05트럼프 대통령 나는 언제나 확정된 것도 없고 변경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얘기를 하기 때문에
02:10이 부분이 도대체 어디까지 우리가 가능한 서진가를 외교적으로 정말 잘 분석해야 될 것 같고요
02:16정말 트럼프 대통령의 취향, 취미, 개인적 성향까지 분석하는
02:20디테일한 맞춤형 전략이 있어야 하겠다고 생각이 듭니다
02:23우리나라 돈으로 13, 4조 원, 100억 달러를 매년 내야 된다
02:29이거 아예 엄포를 놨는데
02:31조금 전인가요?
02:34미국을 다녀온 미국을 방문했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조금 전 귀국했습니다
02:41아무래도 이 방위비 문제 생각보다 좀 파장이 만만치가 않을 텐데요
02:47조금 전 목소리 직접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02:48압박이 있었는데
02:52그에 대해서 미국 쪽에 설명이 좀 있었습니다
02:53방위비에겐 별로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02:57따로 이 부분은
02:58방위비에겐 나오지는 않았는데
03:00방위비를 우리가 1조 5천 원이라고 했다는 게 사실입니다
03:05사실관계에 더 출발을 해야 되겠고
03:08그 외에도
03:09집가적적으로 내는 방위 지원들은 많이 있고
03:13저희가 그것 또한 과급적 국제적인 흐름에 따라서 늘려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03:19그만하겠습니다
03:20이번 강리에서 마르포르미오 공사장만의
03:23인천과 귀국하자마자 기재단 앞에서 저런 얘기를 했어요
03:30김진욱 대변님
03:31이게 방위비를 늘려가는 게 세계적인 추세이기 때문에
03:35일정 마치고 귀국한 이성락 안보실장 얘기는
03:39100억 달러까지는 아니더라도
03:42미국의 얘기를 좀 들어줄 수밖에 없다
03:45사실상 이런 취지로도 들리거든요
03:47근데 이제 우리가 작년 10월 달에
03:52미국하고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을 체결했습니다
03:56이 얘기는 이제 2026년도에
04:00방위비 분담금을 한 8.3% 올렸고
04:03이 내용으로 2030년까지 협정이 지속되는 걸로
04:07지금 이미 통과가 돼서 국회의 비중까지 받아둔 상태예요
04:12그렇기 때문에 방위비 얘기에 대해서는 저희도 할 말이 참 많다
04:16좀 전에 트럼프 대통령이 말씀하신 중에
04:19사실관계가 다른 부분들이 꽤 있죠
04:22우리나라의 주한민국이 지금 미군이
04:254만 5천 명 주둔하고 있다고 하지만
04:27사실상 지금 우리나라의 주한민국은
04:292만 8천여 명 정도가 주둔하고 있고
04:32그리고 우리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04:35예전에도 한 번 일기 때 얘기가 있었습니다만
04:38지금 우리 미군에 대해서 공여지라든가
04:43여러 가지로 우리 정부가 부담하고 있는 방위비 외에
04:47그것도 상당히 많이 있는데
04:49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도 충분하게 미국 측에다가
04:53인식을 시키고 있고
04:54그 부분에 대해서는 아마 위성락 실장도
04:57이번에 가서 많은 말씀을 나누고 오셨을 겁니다
04:59다만 지금 전체적인 세계적인 추세에
05:03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하는 것은
05:06현재 부담하는 것보다 조금 더 부담해라라는 것을
05:09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05:10저희들도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05:13일정 부분 고민을 좀 안 할 수 없는 상황인데
05:15이것과 관세 부분을 연계시켜서
05:19압박하고 있는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05:24그대로 다 갈 수 있는 것이냐 하는 부분은
05:27조금 더 정부가 정밀하고 또 세부적인
05:31구체적인 계획들을 만들고 대화하고 타협하고
05:35협상하는 과정들이 아직까지 더 지속될 필요는 있겠다
05:39이런 생각도 듭니다
05:40여기 보면 아까 김준욱 대변인도 설명하셨다시피
05:42사실과 다른 얘기를 트럼프 대통령이
05:44즉흥해서 얘기를 했고 주한미군의 숫자와
05:47실제로는 100억 달러 인상도 아니었는데
05:50이랬다 다음 화면을 볼게요
05:51다시 한번 보면 지금 1조 5천억 정도
05:543, 4천 정도 내고 있는 방위비를
05:5613조 원 가까이 9배나 늘리라는 건데
06:01윤기찬 부위원장님
06:03사실 야당에서 보는 시각이 이런 것 같아요
06:05지금 트럼프 행정부가 여러 경제판을 뒤흔들고
06:10안보판을 뒤흔드는 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06:12다 지금 각 나라가 곤혹스로 있긴 한데
06:15특히 우리가 실제로 이재명 정부에 대한
06:19워싱턴 DC의 의문부가 있기 때문에
06:21한미 정상회담도 순조롭게 이끌어내지 못하고
06:24이런 측면들을 야당에서는 좀 우려하는 것 같습니다
06:27실제 저희가 탄핵 심판 청구서에도
06:31그런 내용도 있었잖아요
06:32지난일이니까 그렇다 치더라도
06:34어쨌든 트럼프 대통령과
06:37지금 관세협정이 체결된 나라는
06:39영국과 베트남인데
06:40실제 베트남은 여러 가지 조건적 측면에서
06:43유리한 안을 제시했기 때문에 그렇다고 치고
06:46영국 스타머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개인적인 인연
06:49또는 개인적인 관계가 아마
06:51타결에 영향을 미쳤다
06:53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06:54이렇게 분석들을 하고 있기 때문에
06:55이재명 대통령께서 일단 처음에 나트라 안 가신 부분은
06:58사실은 좀 안타까운 부분이 하나 있죠
07:00또 하나는 지금 이렇게 서두를 필요 없다라고 말씀 주시는 것보다
07:03조금 더 공격적으로 대응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07:07그것이 이제 탑다운 방식의 어떤 타결을 선호하는
07:11트럼프의 스타일을 감안한다면
07:12이렇게 밑에서부터 빌드업해서 올라가는 것보다는
07:17뭔가 우리가 먼저 제안을 해야 되겠죠
07:19알겠습니다
07:19제안할 것에 대해서 구성안이 나왔는지 잘 모르겠지만
07:23어쨌든 서두를 필요가 있다
07:24늦어지면 저는 개인적으로 오히려 손해를 볼 것이다
07:27일본 같은 경우에 보더라도 알 수 있는 거거든요
07:29서두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07:31방위비 말고도 사실 관세 얘기도
07:32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했습니다
07:34그 목소리도 들어보겠습니다
07:35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했으면 좋겠다는 거에요
07:38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했으면 좋겠다는 거에요
07:39넘어가는 것입니다
07:40identeَّ免도 안 terr bizi 제안을 할 수 있는 거에요
07:44저희도 다른 거에요
07:46트럼프 대통령이 주시면
07:47그 말이야
07:48뇌스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07:50트럼프 대통령이 0%
07:50트럼프 대통령이 주시는 거에요
07:52트럼프 대통령이 주시는데
07:52어느 장단에 맞춰야 될지는 각 나라가 다 지금 어려운 상황이긴 한데
08:21관세 얘기도 8월 1일, 3주밖에 안 남았지만 이것도 확고하지 않고
08:26그런데 계속 제일 중요한 건 우리나라의 대비일 텐데 관세 방위비
08:30아직 그 대비에 대해서는 대통령실도 촘촘하지 못하다는 비판도 분명히 있는 것 같거든요
08:35사실 우리가 군대 경험 있는 분들 다 아실 겁니다
08:38가장 군대에서 힘든 게 선착순입니다
08:41왜냐? 언제 끝날지 모르고 이게 어떻게 결정될지 모르거든요
08:44그러니까 이게 불확실성과 전략적 모호성이라는 게 가장 인간의 심리를 불안하게 하는 그런 요소고
08:49또 이게 사람의 말을 잘 듣게 하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08:52트럼프 대통령이 적절히 이걸 이용하는 것 같은데
08:54우리 대통령실 제가 아까 말씀드린 대로 디테일한 협상 전략 갖고 가야 됩니다
08:58그러니까 트럼프 대통령과 상대하려면 얼기설기한 것 같고는 안 되고요
09:02촘촘한 그물 같은 그물망 전략으로 임해야겠다는 말씀드립니다
09:06우리나라를 콕 집어서 100억 달러 내라라는 방위비 얘기까지 새롭게 언급한
09:10트럼프 대통령 얘기가 저희가 준비한 일이었습니다
09:13감사합니다
09:14감사합니다
09:15감사합니다
09:16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