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4. 27.
이재명 "왜 중국을 직접거리나?" (지난해)
지난해 "셰셰" 발언 이후 친중 논란 불거져
권성동 "이재명·민주, 친중 굴종으로 일관"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이재명 후보 여러 경제공약, 외교공약 많이들 발표를 하고 있습니다.
00:15많이들 떠올리시는 분들이 외교하면 씨씨의 저 발언을 생각하실 겁니다.
00:20과연 친미냐, 친중이냐 등등을 놓고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것 같아서 관련된 내용 준비했고요.
00:31이재명 후보 앞에 놓인 리스크 중에 하나가 사법 리스크죠.
00:36선거법 위반 혐의와 관련해서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는데 대법원이 이례적으로 마지막 3심 선고를 서두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00:45이 리스크는 이재명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할지, 불리하게 작용할지 그 전망을 좀 해보겠습니다.
00:54먼저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00:56이 시각 현재 고양 킨텍스에 이재명 후보 등 이 후보들이 연단으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01:03잠시 후에 최종 득표율과를 박범계 선거관리위원장이 발표할 예정인데
01:10현장의 모습은 저희가 이 작은 화면을 통해서 화면을 통해서 보여드리면서 준비된 이야기를 잠시 나눠보겠습니다.
01:20이재명 후보 하면 외교 어떻게 할지 궁금하시죠?
01:24이 발언 먼저 듣고 이야기 나누겠습니다.
01:27중국 사람들이 한국 싫다고 한국 물건을 사질 않습니다.
01:32왜 중국을 집적거려요?
01:34그냥 쎄쎄?
01:36대만에도 쎄쎄?
01:38쎄쎄!
01:39이러면 되지.
01:42대만협이 뭘 어떻게 되든 중국과 대만 국내 문제가 어떻게 되는지 우리가 뭔 상관이 있어요.
01:49그냥 우리는 우리 잘 살면 되는 거 아닙니까?
01:54예, 성취임 부장.
01:55이재명 후보나 민주당 쪽에서는 저런 것이 바로 신리 외교다.
01:59우리가 굳이 남의 전쟁에, 남의 싸움에 끼어들 필요가 없다라고 얘기하면서 저 발언이 나왔던 건데
02:07사실 논란이 됐던 게 중국을 왜 집적거리나 그냥 쎄쎄, 대만에도 쎄쎄 이러면 되지 라고는 하지만
02:14만약에 중국과 대만의 전쟁이 벌어졌을 때 우리나라에 있던 만약에 주한미군이 빠지게 되고
02:20그 틈을 노려 북한이 내려올 수도 있고 이런 등등으로 역학관계가 얽혀있기 때문에
02:26굳이 우리가 저거 모른 척한다고 해서 우리 마음대로 되는 것이 아닌데
02:31과연 저 발언이 적합하느냐 두고 논란이 좀 있었습니다.
02:34그런데 저 발언이 저것만 딱 편집돼서 참 많이 활용이 됐죠.
02:38그러면서 국민의힘 측에서도 이재명 후보를 불렀한 민주당을 공격할 때 주요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었는데
02:44그러면서 보수 진영에서는 계속해서 민주당은 친중, 미국을 버리고 마치 중국과만 뭘 할 것처럼
02:50왜냐하면 북한과 대화해야 되기 때문에 중국과 손잡는 그런 정당이다라고 몰아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02:56그런데 사실 저 발언을 했을 당시 말씀하신 중국과 대만과의 갈등도 있었습니다만
03:02윤석열 정부의 외교가 너무 미국 일방향으로 치닫는 그런 경향을 보였기 때문에
03:07그런 과정 속에서 우리는 미국과도 당연히 공맹을, 동맹을 굳건히 해야 되는 부분도 있습니다만
03:13중국과의 경제 교육이 얼마나 많습니까?
03:15그런데 중국이 중국 내에서 자꾸 한국을 싫어하는 정서가 생기고 그렇게 되면서
03:21한국 기업들의 피해가 생기고 이런 것들을 자꾸 커지는 상황 속에서
03:25이재명 후보, 당시 이재명 대표 입장에서는 아니, 중국을 우리가 자꾸 그렇게 간섭하고
03:30중국이 싫어하는 목소리를 굳이 이 상황에서 낼 필요가 있겠는가.
03:33지금 이 상황에서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타격을 받고 우리 경제가 타격을 받고 있으니
03:37그러면 이 상황은 이런 상황 속이라면 중국에게 고맙다고 하면서 경제적 교역을
03:41원활히 하기 위한 그런 외교적 신뢰를 취하는 게 좋지 않겠느냐.
03:45그런 입장을 말했던 것이거든요.
03:47그렇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윤석열 정부가 너무 외면했던 중국과의 외교를
03:51저 셋이의 한 장면만 갖고 민주당 정부가 들어서면 중국과만 교역할 것이다.
03:57주한미구도 철수할 것이다.
03:59이런 식으로 몰아가는 건 좀 과한 해석이다.
04:01저는 그렇게 봅니다.
04:02예, 그 얘기 잠시 후에 나눠보고요.
04:04박범계 선거관리위원장이 단상에 올랐습니다.
04:06곧 최종 후보 1인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04:10현장으로 가보시죠.
04:11안녕하십니까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선거관리위원장 박범계입니다.
04:20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 경선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04:29경선 과정에서 최선을 다해주신 세 분의 후보님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04:35아울러 한결같은 지지와 응원을 보내주신 우리 당원 동지 여러분과 국민 여러분께도 이 자리를 빌려 깊은 존경과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04:50결과 발표에 앞서 오늘 발표 순서에 대해 잠시 설명드리겠습니다.
04:54가장 먼저 수도권 강원 제주 투표 결과를 발표합니다.
05:01이어서 권리당원 선거인단 누적 결과와 전국대위원 누적 투표 결과를 발표하겠습니다.
05:08이후 제외국민 선거인단 투표 결과를 발표한 뒤 지금까지 발표된 권리당원 선거인단과 전국대위원 제외국민 선거인단의 합산 결과를 발표하겠습니다.
05:21이어서 국민선거인단 투표 결과를 발표한 후에 마지막으로 특별당규 제26조에 따라 앞서 합산한 권리당원 선거인단 전국대위원 제외국민 선거인단 투표 결과 50%
05:37국민선거인단 투표 결과 50%를 반영한 최종 결과를 발표 후 당선자를 공표하겠습니다.
05:46국민선거인단을 제외한 모든 발표는 선거인단 수 투표자 수 투표율을 먼저 발표한 후 후보별 득표 수와 득표율을 발표합니다.
06:00후보별 발표 순서는 기호순입니다.
06:03그럼 지금부터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 경선 수도권 강원 제주 투표 결과를 발표하겠습니다.
06:18수도권 강원 제주 선거인단 수 55만 997명 중 유효 투표자 수 35만 729명 투표율은 63.65%입니다.
06:32다음은 수도권 강원 제주 권리당원 선거인단 수 54만 1848명 유효 투표자 수 34만 4천 372명 투표율은 63.56%입니다.
06:59결과는 기호 1번 이재명 후보 득표수 31만 5천 636표 득표율 91.66%입니다.
07:22기호 2번 김경수 후보 득표수 만 47표 득표율 2.92%입니다.
07:45기호 3번 김동연 후보 득표수 만 8천 689표 득표율 5.43%입니다.
08:03다음은 수도권 강원 제주 전국 대의원 선거인단 수 9149명 유효 투표자 수 6357명 투표율 69.48%입니다.
08:27결과는 기호 1번 이재명 후보 득표수 5,408표 득표율 85.07%입니다.
08:41기호 2번 김경수 후보 득표수 495표 득표율 7.79%입니다.
08:58기호 3번 김동연 후보 득표수 454표 득표율 7.14%입니다.
09:10이제 권리당원 선거인단과 전국 대의원의 투표 결과를 합산한 수도권 강원 제주 최종 집계 결과를 발표하겠습니다.
09:25결과는 기호 1번 이재명 후보 득표수 32만 1044표 득표율 91.54%입니다.
09:37기호 2번 김경수 후보 득표수 10,542표 득표율 3.01%입니다.
09:58기호 3번 김동연 후보 득표수 19,143표 득표율 5.46%입니다.
10:13지금부터 권리당원 선거인단 누적 투표 결과입니다.
10:24권리당원 누적 선거인단 수 112만 3,383명 중 누적 투표자 수 67만 7,782명 누적 투표율 60.33%입니다.
10:42결과는 기호 1번 이재명 후보 득표수 61만 2,725표 득표율 90.40%입니다.
10:58기호 2번 김경수 후보 득표수 24,539표 득표율 3.62%입니다.
11:20기호 3번 김동연 후보 득표수 45,518표 득표율 5.98%입니다.
11:34다음은 전국대의원 누적 선거인단 수 16,970명 누적 투표자 수 11,741명 누적 투표율 69.19%입니다.
11:55결과는 기호 1번 이재명 후보 득표수 9,992표 득표율 85.10%입니다.
12:11기호 2번 김경수 후보 득표수 9,992표 득표율 8.21%입니다.
12:23기호 3번 김동연 후보 득표수 7,85표 득표율 6.69%입니다.
12:35다음은 제외국민 선거인단 투표 결과입니다.
12:47제외국민 선거인단 수 1,474명 유효 투표자 수 991명 투표율 67.23%입니다.
12:59기호 1번 이재명 후보 득표수 978표 득표율 98.69%입니다.
13:11아직 최종 결과 발표까지 좀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서 잠시 후에 다시 연결을 하도록 하고요.
13:20이 얘기 잠시 좀 더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3:23최승환 변관.
13:24어떻습니까?
13:26지금 실형외고, 중도외교라고 주장하는 민주당과 이재명 후보 측의 주장과 달리.
13:32국민의힘은 그렇지 않다.
13:34미국이 지금 트럼프 정부가 들어온 이후에 이재명 후보가 혹시 대통령이 되면
13:40이 한미 관계가 좀 어색해질 수 있다.
13:44이런 고민을 하고 있다는 얘기를 국민의힘 쪽에서 하고 있더군요.
13:47그렇죠. 아니 이재명 대표 얘기처럼 하면 외교가 얼마나 쉽습니까.
13:51미국에 가서는 고맙다고 하고 땡큐라고 하고 그다음에 일본 가서는 또 고맙다고 하고 다 그러면 되는 거예요.
13:56그런데 이게 원시 사회입니까? 지금은 아주 우리가 중층적이고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게 외교관계 아닙니까?
14:02그러다 보니까 서로 간에 일종의 레버리지 협작력도 필요한 거고 상대가 좋아하는 것이 있어도 우리가 싫어하는 걸 꺼냄으로써 우리의 협작력을 또 유지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고
14:12그러다 보니까 저는 이재명 후보가 이런 얘기를 하는 거예요.
14:15나는 뜨거운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다 만들 수 있어요.
14:18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차야지 어떻게 뜨거울 수 있습니까.
14:20그러니까 양쪽을 다 만족시킬 수 있는 최대치는 없어요.
14:23그렇다면 선택과 집중 이런 것들이 외교 전략인데 이재명 후보 입장에서는 지금 모든 것을 다 만족시키겠다는 거 아닙니까?
14:31그런 측면에서는 위험하다.
14:32왜냐하면 우리가 한미동맹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중국과의 거리를 둘 수밖에 없고 일정 부분 손해보는 게 있어야 되는데 손해 안 보고 우리가 다 하겠다?
14:41아마 그 얘기는 좀 어려운 얘기로 보여집니다.
14:42이재명 후보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지금 현재 대선 후보로 결정되기 일보 직전에 와 있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