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미국 싫다”…트럼프 관세 정책 ‘역풍’
채널A News
팔로우
2025. 4. 16.
'미국→유럽 브랜드 추천' 홈페이지도 등장
'동맹 무시' 트럼프에 생긴 유럽 내 불신
中 틱톡 인플루언서들, 무역전쟁 여론전 나서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한국국토정보공사
00:30
한국국토정보공사
01:00
세계 국가를 한방에 공동적으로 만들어버린 트럼프 대통령
01:05
관세 전쟁의 역풍이 미국 경제를 강타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01:12
무차별한 관세 폭탄으로 반미 감정이 고조되고 있다는 건데요
01:17
세계 각국에서는 미국이 너무 밉다, 트럼프가 밉다 이런 감정들이 확산되고 있다는 겁니다
01:24
그러자 급기야는 미국에 여행 안 가겠다라면서 미국 여행의 발길이 뚝 끊겼다는 겁니다
01:32
심지어는 미국산 제품 불매운동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건데요
01:38
이게 외신에서 나온 예측이에요
01:42
실제로 그렇다면서요
01:43
실제로 예를 들어서 미국을 대표하는 브랜드들의 제품들을
01:49
보이콧, 불매운동을 한다든지 그런 집단 행동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01:54
특히 이번 관세 정책과 관련해서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국가들
01:59
예를 들면 인적국인 캐나다를 비롯해서 유럽이라든지 중국 등에서 이런 운동들이 확산되고 있는데
02:06
예를 들어서 유럽 같은 경우를 예로 들면
02:08
사실 유럽은 미국의 전통적인 우방이었지 않습니까
02:11
그래서 상대적으로 유럽인들이 느끼는 일종의 배신감이 더 큰 것 같아요
02:16
유럽인들 사이에서는 최근에 몇몇 유명해진 웹사이트들이 있는데
02:21
예를 들면 고유러피언이라는 웹사이트가 있습니다
02:24
이곳에 가면 미국 브랜드를 불매운동하자 이런 게 아니라
02:28
미국 브랜드를 대체할 수 있는 유럽산 브랜드를 소개를 하고 있는 거예요
02:33
대표적으로 뭐가 있나요?
02:34
예를 들면 나이키는 아디다스로 대체를 하자
02:37
이런 식인 거죠
02:38
테슬라 전기차는 독일 유럽산 전기차로 대체하자
02:41
이런 식의 운동을 하는 이런 웹사이트들이
02:45
상원세 정책 발표 전후로 해서 접속자들이 급증을 했다고 하고요
02:50
비슷합니다
02:51
또 세계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이라는 곳이 있는데
02:54
여기는 아예 이런 운동을 합니다
02:56
바이 프롬 이유
02:57
그러니까 유럽에서 구매를 하자
03:00
이런 운동을 아예 하고 있어서
03:02
여기 페이지를 보면 유럽인들이
03:04
나는 더 이상 미국 제품을 구매하지 않겠습니다
03:06
저는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미국 제품을 불매하고 있는 것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03:11
이런 인증 글들이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다는 거고
03:15
흐름을 보면 미국에서 미국을 대표하는 몇 가지 유명 브랜드들
03:20
제품들이 있잖아요
03:21
예를 들면 자동차로 따지면 테슬라
03:24
그다음에 미국의 전통적인 코카콜라
03:26
뭐 그런 것들이 있죠
03:27
이런 제품들이 다 지금 대상이 되고 있는 거예요
03:30
그러니까 초반만 해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03:33
미국 트럼프 행정부 안에 들어가게 되면서
03:36
테슬라 전기차를 대상으로 이런 불매운동 이런 것들이 번져졌었는데
03:42
이제는 다 확대가 되고 있는 것이죠
03:45
뭐 나이키라든지 코카콜라 맥도날드 이런 미국 제품들을 대상으로
03:50
이제 대체 운동이 확산이 되고 있는 거고
03:52
얼마나 심각한지는 최근에 여러 숫자들을 통해서 나타나고 있는데
03:55
대표적으로 직격탄을 맞은 게 테슬라입니다
03:58
1월 유럽 내에서의 테슬라 전기차 판매량
04:00
1년 전과 비교해서 반토막
04:03
절반 가까이 판매량이 떨어졌습니다
04:05
계속해서 이런 운동들이 확산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게 단계 끝날 것 같지 않고요
04:11
아까 여행 말씀하셨잖아요
04:13
실제로 미국 여행 최근에 취소하는 사례들이 있다라고 합니다
04:17
일단은 미국에 대한 반감도 거세지지만
04:20
미국 내에서도 비자 같은 것들이 일방적으로
04:23
취소되는 이런 사례들이 잇따르면서
04:25
자칫 나도 피해자가 될 수 있겠다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04:29
미국 여행 기피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라고 하고요
04:33
실제 지난 3월 항공편을 통해서 미국을 방문한 숫자가
04:37
1년 전과 비교해서 10% 정도 감소를 했다라고 합니다
04:43
상황이 이렇게 되자 미국도 조금 초조해진 게 아닌가 싶습니다
04:49
중국을 향해서 관세 협상을 하자고 또다시 촉구했습니다
04:55
중국 어떻게 반응했을까요?
04:57
어떻게 반응했을까요?
04:59
let's point out
05:01
마지막으로
05:18
중국의 대표적인 SNS는
05:49
여기서는 유명 브랜드 제품들 소위 말하는 명품이라고 하는 고가의 브랜드 제품들
05:56
그 원가를 지금 보신 것처럼 중국 사람들이 공개하는 겁니다
06:01
그러면서 몇 천만 원하는 가방 중국에서 원래 다 만들고 있고 상표만 따다 붙이는 거다
06:08
원가는 200만 원도 안 한다 이러면서 사고 싶으면 우리한테 연락주세요
06:13
이런 영상들이 지금 엄청난 인기인데
06:15
저게 물론 사실이라고 단정을 지을 수는 없습니다만
06:20
저런 게 지금 미국 브랜드 입장에서는 타격을 줄 수도 있는 거잖아요
06:25
그렇죠. 원래 보통 고급 브랜드, 명품 브랜드들은
06:29
자기네들이 어디에서 생산하는지 생산 원산지를 공개 안 하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06:34
그런데 지금 중국 틱톡커들이 저런 식으로 소위 말해서 중국 내에서 주문자 부착 생산 방식으로 생산이 되고 있고
06:44
원가를 따지면 소위 말해서 5분의 1, 10분의 1도 안 된다
06:47
그래서 살 거면 우리한테 와라 더 싸게 줄 테니까 이런 식으로 영상을 하고 있고 확산이 되고 있는데
06:55
지금 미중 간 관세 전쟁의 이 기류를 감안하면 일종의 여론전이 펼쳐지고 있는 것 아니냐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죠
07:04
말씀하신 대로 이게 사실이 아닌 경우도 되게 많습니다
07:08
그렇죠. 저게 오히려 가짜 제품을 파는 홍보일 수도 있는 거잖아요
07:11
그렇죠. 가품을 간접적으로 홍보하는 걸 수도 있는데
07:15
그래서 일각에서는 여기에 대해서 안 되겠다 싶었는지 해명하는 입장도 나오고 있죠
07:22
그 명품 브랜드들이 해명까지 나섰어요?
07:25
아까 잠깐 나왔었는데 에르메스 측에서 버킨백 많이들 구매를 하셨잖아요
07:29
이거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게 아니다. 100% 프랑스에서 숫자가 업으로 만들어진다
07:34
이렇게 해명을 하기도 했고요
07:36
아까 룰루레몬도 잠깐 나왔었는데 우리가 중국에서 만드는 건 전체 생품의 3%밖에 되지 않는다
07:42
이런 것도 어떻게 보면 간접적으로 반박을 한 것이라고 볼 수 있겠죠
07:46
그렇군요
07:46
어쨌든 이거는 지금 진위 여부가 중요한 게 아니고요
07:49
이런 식의 영상들이 계속 틱톡이라는 강력한 플랫폼을 당해서 확산이 되고 있고
07:54
미중 간 관세 전쟁 속에서 상당한 여론전으로 이게 펼쳐지고 있다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08:00
그렇군요
08:01
이렇게 관세 폭탄으로 전 세계를 압박한 트럼프 대통령
08:06
자국 최고의 명문대학들로부터요
08:10
공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08:13
명문대학들에는 지원금을 인질로 잡고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려고 트럼프가 시도를 했는데
08:20
자 그러자 미국 명문대학들이 반발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08:25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been threatening to withhold
08:30
and then withholding millions and then billions of dollars
08:33
from some of the leading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the country
08:37
The impacts of those cuts will be severe
08:39
not just to cutting-edge research, cures for cancer, cures for diseases
08:44
This is a clear, unquestionable violation of First Amendment rights
08:49
So the impact is significant
08:51
but I'm really proud to see Harvard standing up to fight
08:54
한마디로 트럼프 행정부가 대학들에 대해서도
08:58
대학들에 대해서도 정책을 이렇게 이렇게 해라라고 참견을 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09:02
그런데 그러니까 내용은 이거예요
09:05
하버드대학의 입학 규정을 좀 바꾸고
09:07
다양성 프로그램을 좀 폐지해라
09:09
이렇게 개혁안을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를 했는데
09:12
하버드대학 쪽에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09:16
그러자 트럼프 행정부가
09:18
니네 그러면 나라에서 주는 보조금 안 줄 거야
09:21
줄일 거야 이렇게 협박을 했는데
09:23
하버드대학 측에서 콧방귀를 끼면서
09:26
마음대로 해 라고 했다면서요
09:29
돈이 많은가 보죠 하버드대학은
09:31
그렇죠 이제 미국 소위 말해서 아이비리그 대학들은
09:35
자체적인 기부금도 많이 있고요
09:38
또 이제 미국 대학들은 자체적으로 채권도 발행합니다
09:41
예를 들면 하버드대학이 하버드채
09:44
예일대학이면 예일채 이런 식으로
09:46
자체적으로 채권도 발행해서 운영자금 같은 것들을 조달하기 때문에
09:49
우리나라 대학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09:51
자금 운영에 있어서 여유가 있고
09:53
자율성이 어느 정도는 보장이 돼 있죠
09:56
물론 그렇다고 하더라도 연방정부의 보조금이나 지원금 같은 것들을 받기는 합니다
10:01
그런데 이제 미 교육부나 연방당국에서
10:05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수준까지 구체적인 요구들을 하니까
10:08
예를 들면 반이스라엘 정책에 대한 요구들
10:13
그다음에 반이스라엘 학생단체 인가를 취소해달라든지
10:17
그다음에 바이든 행정부대에 도입됐었던 다양성 프로그램
10:20
이건 이제 신입생들을 뽑는 데 있어서 유색인종이라든지
10:24
이런 다양화들을 반영을 하라라는 프로그램들을
10:27
취소하라고 직접적으로 요구를 하는 데 대해서
10:31
더 이상 안 되겠다 싶어서 하버드대학이 반기를 든 것이고
10:34
이게 이제 상당히 눈여겨볼 건
10:37
지금 전통의 미국 명문대학들을 상대로
10:41
트럼프 행정부가 이런 식의 요구들을 하고 있는데
10:43
하버드가 처음으로 반기를 든 거란 말이죠
10:46
그럼 다른 대학들도 이제 영향을 줄 수 있겠군요
10:48
예를 들면 프리스턴데나 펜실베니아대
10:50
이런 데들이 또 이제 어떻게 나올지
10:51
하버드대학의 반기가 하나의 또 사례가 될 수 있겠죠
10:55
트럼프 대통령의 제멋대로 행보는
11:00
자신의 목소리를 국민에게 전달하는 언론 앞에서도
11:04
여전히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11:07
트럼프 대통령의 제멋라
11:37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정책을 더 많이 전달하기 위해서
11:42
언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11:44
SNS도 굉장히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유명하죠
11:48
트럼프 스타일입니다
11:50
그런데 그런 만큼 기자들에게도 질문 기회가 많이 주어지기도 하지만
11:55
자신에게 비판적인 의견을 쏟아내는 언론에는
11:59
칼같이 잘라내죠
12:00
과거에 CNN 기자와 대놓고 싸웠던 적도 있고
12:03
아예 나가라고 한 적도 있었죠
12:05
트럼프 본인의 스타일은 변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12:11
살았던 적도 있어요
12:13
어� mieux
추천
8:29
|
다음 순서
“ㄷ자도 꺼내지 마라”던 한덕수…입장 달라졌다?
채널A News
2025. 4. 13.
10:40
법원 “구속 기간, ‘날’ 아닌 시간으로 계산해야”
채널A News
2025. 3. 10.
26:55
이재명, ‘의료비 절감’ 대안 묻자…이준석 “그래서 차베스 소리 듣는다”
채널A News
2025. 5. 23.
2:43
이재명 “공공의대 설립해 필수의사 양성”
채널A News
2025. 4. 23.
6:53
이재명, 아들 논란에 “사소한 옛날 얘기”
채널A 뉴스TOP10
2025. 6. 1.
19:39
평결 순서…최근 임명 순으로 개별 입장 밝혀
채널A 뉴스TOP10
2025. 4. 3.
14:41
“천만 원씩은 연민으로”…김민석, ‘사적 채무’ 의혹 거듭 해명
채널A News
2025. 6. 18.
7:58
[오늘의 돌직구]李 “민주, 중도보수”…여야 넘어 ‘난타’
채널A News
2025. 2. 20.
5:05
“여기가 중국이냐”…제주에 꽂힌 ‘오성홍기’
채널A News
2025. 7. 14.
12:09
“헌재 불의한 선고 땐 불복”…與, 박홍근 ‘직격’
채널A News
2025. 4. 2.
6:53
여 “현명한 결정 환영”…‘공수처 책임론’ 제기
채널A News
2025. 3. 9.
6:09
김문수 “가정도 안되면서 나라 통합?”…이재명 “‘나 김문순데’는 뭔가?”
채널A News
2025. 5. 23.
5:01
“이재명 무죄 확신” 포럼 연 ‘친명계’
채널A 뉴스TOP10
2025. 2. 28.
7:38
“늙은이 필요하면 연락해”…손흥민, ‘눈물’의 영상 편지
채널A 뉴스TOP10
그저께
3:37
‘국민의힘 후보 교체’…홍준표 “정당 해산 사유”
채널A 뉴스TOP10
2025. 6. 7.
11:27
與 “기각 시 민형사 책임” vs 野 “인용 시 정당해산”
채널A 뉴스TOP10
2025. 3. 17.
13:37
‘막말 논란’ 최동석 “유명해져 죄송”…뒤늦게 “언행 신중”
채널A News
2025. 7. 30.
11:33
김용태, ‘김건희’ 사과하면서 “김혜경 검증”
채널A 뉴스TOP10
2025. 5. 21.
4:05
트럼프, 머스크 ‘신당 창당’에 “터무니없는 일”
채널A News
2025. 7. 7.
12:45
‘출마’ 물은 트럼프에…한덕수 “결정한 것 없어”
채널A News
2025. 4. 10.
10:06
민주당, 이춘석 ‘제명’ 조치…대통령실 “엄정 수사”
채널A 뉴스TOP10
3일 전
15:37
李 ‘대통령 되면 재판 정지’ 발언에…권성동 “명백한 가짜 정보”
채널A News
2025. 2. 24.
4:01
이경규 “약 복용 중 운전 주의”…‘약물 운전’ 비상
채널A News
2025. 6. 25.
18:54
박찬대, ‘내란특별법’ 발의…“내란당에 보조금 차단”
채널A News
2025. 7. 10.
14:01
최동석, ‘형수 욕설’ 논란 옹호…“우리 삶이 고달파서”
채널A News
2025. 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