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1층 주차장 불… 필로티 구조가 화재 키워?
CCTV 분석… 1층 주차장 천장 부근서 불길 확산
60여 명 중경상… '심정지' 3명 모두 결국 사망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국국토정보공사
00:30어젯밤 경기도 광명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 불이 났습니다.
00:54불은 3시간여 만에 진화가 됐습니다만 피해가 지금 상당히 큰 상황입니다.
01:01아파트는 10층 높이의 구조물이었는데요.
01:04모두 45세대가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01:09그런데 여기에서 지금 3명이 심정지 상태로 이송이 됐고 오늘 오전 그 3명 모두 끝내 숨졌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01:18전신에 화상 등 중상을 입은 사람들을 포함해서 60여 명이 다쳤습니다.
01:23경찰은 주차장 CCTV를 지금 분석하고 있는데요.
01:27천장 부근에서 불길이 확산되는 모습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01:32화재 원인 규명을 위한 소방당국과 국과수의 현장 감식이 지금 현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01:37그런데 경찰 관계자의 말에 의하면 방화 혐의점은 아직까지는 없다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01:44그런데 지금 이 불 때문에 이재민의 숫자도 상당합니다.
01:49주변 이웃들도 긴급 대피를 해야만 했고요.
01:53화재 현장이 그간 얼마나 긴박했는지를 지금 영상만 봐도 아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1:59그런데 이 화재가 이렇게 확산되고 희생자가 컸던, 규모가 컸던 이유는 아파트의 구조적인 문제라는 지적이 지금 나오고 있다고요?
02:10맞습니다. 우리가 일명 이야기하는 필로티 구조, 아래 주차장이 뻥 뚫린 채 이렇게 기둥만 세워져 있고 위에는 건물이 있는 거죠.
02:18세대가 있는 그런 형태의 주거시설이었습니다.
02:22그런데 이 필로티 구조물에서 이렇게 뻥 뚫린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진압이 굉장히 어렵다는 것입니다.
02:29많은 양의 공기가 안으로 다 유입이 되면서 마치 아궁이 효과가 나기 때문에 소방대원들도 화재 진압을 하는데 굉장히 어려움을 겪는다라고 하고요.
02:38그러다 보니까 피해를 더 키웠다라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02:42실제로 2015년에도 의정부 한 아파트에서 이렇게 필로티 구조물에서 불이 났는데 5명이 사망한 사건이 있었거든요.
02:49그렇기 때문에 저런 구조도 화재 진압에 1시간 반이나 걸리게 된 원인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02:56필로티 구조 자체가 나쁘다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02:58불이 났을 때 취약할 수 있다라는 건데 다만 그렇기 때문에 다른 건물보다 더 소방 방제 시설을 철저하게 하면 되는 거 아니겠습니까?
03:09대표적으로 스프링클러라든가 이렇게 작동하면 되잖아요.
03:13이번 아파트는 어땠습니까?
03:15그런데 이번 아파트 경우에는 사실 굉장히 오래된 건물은 아니었어요.
03:182014년에 지어진 건물인데 이게 법상 사실은 좀 구멍이 있는 게 사실입니다.
03:25소방시설법상 스프링클러의 의무 설치 대상은 점자적으로 확대되어 왔는데요.
03:301990년에는 16층 이상 그리고 2005년에는 11층 이상, 2018년에는 6층 이상으로 이렇게 점점 적용 범위가 확대되어 왔습니다.
03:40그런데 2014년 당시에는 저 10층 건물이기 때문에 사실은 대상이 아닌 것이고요.
03:46일반적으로 이렇게 대상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말씀해 주신 것처럼 필러티 구조이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면
03:54뭔가 시설 보완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생각해 봤으면 참 좋았을 텐데
03:59아직까지는 이 스프링클러 설치 여부는 확인되지는 않고 있거든요.
04:04보통의 화재 사건이나 보통의 건물들을 보면 추후에 보완해서 많은 돈을 들여서 스프링클러를 재설치하는 경우는 좀 드물더라고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