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교수 시절 작성한 다수 논문에 표절 논란이 제기된 것을 두고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지금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들은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면서다.
이 후보자는 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2007년도부터 (충남대) 총장에 임용되기 전까지의 약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가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했고,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이라고 판정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여러 언론이 지적한 2007년 이전의 논문들을 저도 한번 카피킬러로 돌려봤는데 10%를 겨우 넘었다"며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가서 전문가가 하나씩 다 제외해가면서 정확히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모든 전문가가 지적하듯 카피킬러 자체를 신뢰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이 후보자는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관련해선 "가장 많이 지적되는 게 부당한 저자 표시인데 제1저자로 쓰면서 제자 논문을 가로챘다는 것"이라며 "논문을 작성할 때 이공계에서는 공동 연구자들끼리 논문 작성 기여도를 따지고 이에 따라 제1저자를 결정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공계의 경우 대학원생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주해 온 국가 과제나 연구 과제로 수행된다"며 "그것을 학생은 세부 과제로 진행하고 발전시켜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는 게 일반적 (논문) 발표 순서"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래서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행하는 연구 과제의 일부분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지도 교수와 대학원생 간 기여도를 고려해 제1저자를 결정해야 한다는 게 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 언급했다.
이 후보자는 "저의 경우 제자와 같이 공동으로 연구...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1950?cloc=daily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