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앵커]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홍 기자, 내일부터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시작되는데 대통령실은 분위기가 어때요?

대체로 문제될 것 없다고 봅니다.

매일같이 쏟아지는 의혹 관련 보도들, 정무수석실 산하에 설치된 청문회 TF를 통해 다 체크하고 있다고 하고요.

이재명 대통령에게도 상황 보고는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낙마까지 갈 정도냐, 여기에는 'NO' 라고 합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의혹들이 똑 떨어지지 않는다"고요.

Q2. 의혹들이 똑 떨어지지 않는다는 게 무슨 말이에요?

야당이 벼르는 첫 타깃, 여성가족부 장관 강선우 후보자입니다. 

보좌진에게 자기 집 쓰레기를 버리라고 시켰다거나, 변기 수리를 맡겼다는 등 제기됐던 갑질 제보가 과연 신빙성이 있냐는 건데요.

마음만 먹으면 공작도 가능하고, 피해 당사자로 지목됐던 사람 중에는 갑질을 당하지 않았다는 역증언이 나오는 상황도 봐야 한다는 겁니다.

시중에 떠도는 카더라들이 사실인양 둔갑된 걸로도 보고 있습니다.

내부에선 전언에 의한 폭로로 낙마하게 된다면 잘못된 선례가 될 수 있단 우려도 나옵니다. 

Q3. 그런데 강선우 후보자 청문회는 당장 내일이잖아요? 카더라인지,진짜 갑질이 있었는지 따져봐야 하는 것 아닙니까?

사실상 어렵습니다.

사실 관계를 파악하려면 피해자로 지목된 전직 보좌진들을 청문회 증인으로 불러 직접 듣는 게 중요하겠죠. 

하지만 채택된 증인을 보면 갑질과는 관련 없는, 이해충돌 의혹과 관련한 두 명 뿐입니다.

Q4. 정작 중요한 건 갑질의혹인데 관련 증인이 없다는 건가요?

증인 신청은 소환장을 발부해야되기 때문에 청문회 일주일 전인 지난 4일에는 여야 합의로 끝냈어야 했습니다. 

갑질 의혹이 불거진 건 증인 협의 기간이 지난 시점이었습니다. 

사실상 피해 당사자를 부를 수도, 진상조사를 할 수도 없는 거죠.

여당 보좌진협의회도 진상조사를 하겠다고 했지만, 청문회 전 제대로 된 사실관계를 따지기엔 촉박한 상태입니다. 

Q5. 갑질이라는 게 일단 국민 정서상 예민하기도 하잖아요? 마냥 넘기기엔 부담일텐데요?

대통령실도 그 지점을 걱정스럽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갑질 의혹은 누가봐도 국민 정서에 맞지 않고, 버티기에도 부담인 측면은 있거든요. 

그래서일까요, 민주당 내부에서도 현직 의원 일부만 옹호에 나설 뿐, 당사자 해명에만 의존하는 기류고요.

강유정 대변인도 "소명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 했는데, 여지는 열어둔 걸로 해석됩니다.

강 후보자가 여당 여가위원들에게만 해명문을 발송한 것 또한 이러한 내부 분위기를 염두한 것이란 분석입니다. 

Q6. 국민의힘은 당장 내일 청문회에서 총공세를 하겠네요?

청문회 하루 전날부터 파상공세 이어가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뒤에서 물심양면, 헌신한 보좌진보다 갑질 정치인이 더 중요하냐고요.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이부자리 지극 정성이 눈에 밟힐 것"이라고도 비판했습니다. 

사회적 약자 보호가 여가부 장관의 책무인데, 갑질 의혹 자체가 더 국민들에게 소구력이 있다고 판단한 거겠죠. 

국민의힘 관계자는 "인성 의혹이 있는 채로 임명 된다면 정작 부처에서 일할 때 신임받지 못하는 게 더 큰 문제일 것"이라 했습니다.

임명 후까지 염두한 공세란 겁니다.

Q7. 야권에선 강 후보 다음으로 벼르는 사람은 누구에요?

16일 예정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입니다.

논문 표절 의혹이 핵심이죠.

여권에선 충남대 총장 출마 당시 검증을 마친 사안이라며 엄호에 나서고 있고요.

대통령실도 의정 갈등 해결이 시급한 만큼 여기 역시 낙마까진 아니라는 분위기입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였습니다.


홍지은 기자 rediu@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네, 아는 기자 정치부 홍진 기자 나왔습니다.
00:05홍 기자, 내일부터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시작됩니다.
00:09대통령실은 현재 분위기가 어떤가요?
00:11네, 대체로 문제될 건 없다고 봅니다.
00:15일단 매일같이 쏟아지는 의혹 관련 보도들,
00:18정무수석실 산하에 설치된 청문회 TF를 통해 다 체크하고 있다고 하고요.
00:24이재명 대통령에게도 이 상황 보고는 계속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00:28그렇다고 해서 낙마까지 갈 정도냐, 여기에는 노 라고 합니다.
00:34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00:37의혹들이 똑 떨어지지 않는다고요.
00:40의혹들이 똑 떨어지지 않는다는 게 이게 무슨 말인가요?
00:43네, 야당이 벼르는 첫 타깃, 여성가족부 장관 강선우 후보자입니다.
00:49보좌진에게 자기 집 쓰레기를 버리라고 시켰다거나 변기 수리를 맡겼다는 등
00:55제기됐던 갑질 제보가 과연 신빙성이 있냐는 건데요.
00:59마음만 먹으면 공작도 가능하고, 피해 당사자로 지목됐던 사람 중에는
01:05갑질을 당하지 않았다는 역증언도 나오는 상황도 봐야 한다는 겁니다.
01:10시중에 떠도는 카더라들이 사실인 양 둔갑된 걸로도 보고 있습니다.
01:15내부에선 전원에 의한 폭로로 낙마하게 된다면 잘못된 설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01:21그런데 홍 기자, 당장 내일 강선우 후보자 청문회가 열리지 않습니까?
01:26카더라인지 진짜 갑질이 있었는지는 좀 따져봐야 하는 건 아닌지 싶은데요.
01:32네, 하지만 사실상 어렵습니다.
01:34사실관계를 파악하려면 피해자로 지목된 전직 보좌진들을 직접 청문회 증인으로 불러서 듣는 게 중요하겠죠.
01:42하지만 채택된 증인을 보면 갑질과는 관련 없는 이해충돌 의혹과 관련한 2명뿐입니다.
01:50정작 중요한 건 갑질 의혹인데 관련 증인이 없다는 건가요?
01:55네, 증인 신청은요. 소환장을 발부해야 되기 때문에 청문회 일주일 전인 지난 4일에는 여야 합의로 끝냈어야 했습니다.
02:04갑질 의혹이 불거진 건 증인 협의 기간이 지난 시점이었습니다.
02:08사실상 피해 당사자를 부를 수도 진상조사를 할 수도 없는 거죠.
02:14여당 보좌진 협의에도 진상조사를 하겠다고 했지만 청문회 전 제대로 된 사실관계를 따지기에는 촉박한 상태입니다.
02:22아무리 촉박하다고 해도 갑질이라는 게 일단 국민 정서상 좀 예민하기도 한 문제잖아요.
02:28이거를 마냥 넘기기에는 부담이 될 것도 같은데요.
02:31네, 그래서 대통령실도요. 그 지점을 우려스럽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02:35갑질 의혹은 누가 봐도 국민 정서에 맞지 않고 버티기에도 부담인 측면은 있거든요.
02:42그래서일까요? 민주당 내부에서도 현직 의원 일부만 옹호에 나설 뿐 당사자 해명에만 의존하는 기류고요.
02:50강유정 대변인도 소명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 했는데 여지는 열어둔 걸로 해석됩니다.
02:56강 후보자가 여당 여가위원들에게만 해명문을 발송한 것 또한 이러한 여당 내부의 분위기를 염두한 거란 분석입니다.
03:05국민의힘은 당장 내일 청문회에서 총공세를 할 것 같은데요.
03:09네, 그래서 청문회 하루 전날부터 파상공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03:13민주당은 뒤에서 물심양면, 헌신한 보좌진보다 갑질 정치인이 더 중요하냐고요.
03:20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이부자리 지극정성이 눈에 밟힐 것이라고도 비판했는데요.
03:26사회적 약자보호가 여가부 장관의 책문데 갑질 의혹 자체가 더 국민들한테 소구력이 있다고 판단한 거겠죠.
03:35국민의힘 관계자는 인성 의혹이 있는 채로 임명된다면 정작 부처에서 일할 때 신인받지 못하는 게 더 큰 문제일 거라 했습니다.
03:44임명 이후까지 염두한 공세란 겁니다.
03:47현재 야권에서 강 후보자 다음으로 벼르고 있는 사람이 있습니까?
03:50네, 아무래도 16일 예정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청문회입니다.
03:56논문 표자로 오기 핵심이죠.
03:58여권에선 충남대 총장 출마 당시 검증을 마친 사안이라며 업무에 나서고 있고요.
04:04대통령실도 의정 갈등 해결이 시급한 만큼 여기 역시 낙마까지는 아니라는 분위기입니다.
04:11네,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
04:20네, 잘 들었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