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8.


[앵커]
아는기자, 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이상원 기자 나왔습니다.

Q1. 가장 관심이 민정수석이었어요. 검찰 특수통 출신의 오광수 변호사를 임명했습니다. 여권에서도 일부 우려가 있긴했었거든요. 이유가 있을 것 같습니다.

사법개혁, 검찰개혁이 최대 과제 아니겠습니까?

인선 배경을 쉽게 말하면 "검찰은 검찰이 제일 잘 안다" 이겁니다.

검찰 개혁하려면 검찰 섭리를 가장 잘 아는, 검찰 출신이 맡아야 한다는 것이죠.

여권 내 일부 우려도 대통령실이 알고 있습니다.

팔이 결국 안으로 굽기 마련인데, 검찰 출신이 할 수 있느냐는 우려, 이미 다 확인했고 걱정할 거 없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입니다.

Q2. '검찰은 검찰이 가장 잘 안다' 이건 무슨 뜻일까요?

사례를 들더라고요.

바로 문재인 정부 당시 조국 전 장관입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교수였던 조국 전 장관을 임명했다가 (검찰개혁을) 실패했던 것을 다시 경험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검찰 출신이 아닌 사람의 개혁 드라이브는, 검찰 내부의 더 강한 반발을 낳을 수 있다는 겁니다.

조국 전 장관, 법무부장관은 물론 앞서 청와대 민정수석 지내며 검경 수사권 조정 등 강력한 검찰 개혁 드라이브를 걸었었는데, 이 당시 여러 어려움이 있었고, 그게 비검찰 출신인 부분도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도 작용한 겁니다.

Q3. 이재명 대통령이 여권 내 일부 우려에 대해 직접 설명도 좀 한 것 같아요? 이 기자가 좀 취재가 됐나보죠?

이 대통령은 어제 여권 지도부와 만찬을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직접 특수통 검사 출신 민정수석 기용 배경도 설명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아무래도 당내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차원이었겠죠.

어제 만찬 참석자는 이 대통령이 "검찰과 경직된 분위기를 누그러뜨리는 부분에 대한 고민도 담겼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라고 전했습니다.

강대강 대치국면만 가지고 사법 개혁, 검찰개혁을 끌고갈 수는 없고, 때문에 검찰 출신으로 일종의 완충제 역할까지 해줄 인물을 고민했다는 취지로 읽힙니다.

Q4. 검찰 출신 중에서도 인물이 많은데 왜 하필 오광수 민정수석인지는 그래도 좀 의문이 남아요.

이 대표와 사법 연수원 동기이기도 하지만, 검찰과 연이 깊은 이 대통령 측근이 강력하게 추천한 인물이었다고 합니다.

일을 처리하는 스타일 역시 인선 배경으로 지목됩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검찰 내에서도 일처리를 조용히 하는 것으로 유명한 사람" 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예민한 사안을 최대한 조용히 다루기를 바라는 스타일인데, 업무스타일이 그런 면에 부합한다는 거죠.

Q5. 정무수석으로는 4선의 우상호 전 의원이 임명됐습니다. 강훈식 비서실장보다 선수도 높고, 이례적이라는 평이 많은데요?

우상호 정무수석 4선 중진인데, 차관급인 정무수석 자리를 흔쾌히 수용했습니다.

이 대통령이 직접 제안한 게 결정적이었다고 합니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당선 직후 우 수석에게 직접 연락을 한 것으로 안다"라고 전했습니다.

많이 어려운 상황인 것을 설명하며, 직급 그런 거 따지지 말고 함께 힘을 보태달라는 취지였다네요.

Q6. 기대하는 역할이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우 수석은 정치권에서 잔뼈가 굵습니다.

특히 국민의힘 쪽 중진들과도 두루 친분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야당과의 관계를 풀어나가는 역할에 특히 기대감이 크다는 분위기가 읽힙니다.

Q7. 대통령실 인선이 아직 끝난 건 아니죠?

이번주 초까지는 대통령실 수석급 인사를 모두 발표해서, 안보실을 제외한 대통령 비서실 라인만큼은 인사를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입니다.

네, 잘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이상원 기자였습니다.




이상원 기자 231@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아는 기자, 대통령실 출입하고 있는 정치부 이상원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00:07이 기자, 가장 관심이 가는 건 민정수석이었습니다.
00:10검찰 특수통 출신의 오광수 변호사를 임명을 했는데
00:14여권 내에서도 일부 우려가 나온다, 이런 얘기가 있었습니다.
00:18어떤 이유가 있었을 것 같아요?
00:21사법개혁과 검찰개혁이 최대의 과제죠.
00:24제가 인선 배경을 좀 쉽게 설명하자면요.
00:27검찰은 검찰이 제일 잘 안다는 겁니다.
00:31검찰을 개혁하려면 검찰 섭리를 가장 잘 아는 검찰 출신이 맡아야 한다는 것이죠.
00:37여권 내 일부 우려도 대통령실이 아주 잘 알고 있습니다.
00:41팔이 결국 안으로 굽기 마련인데 검찰 출신이 할 수 있느냐는 우려
00:46이미 다 확인했고 걱정할 거 없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입니다.
00:51검찰은 검찰이 가장 잘한다, 이건 무슨 뜻일까요?
00:55사례를 들더라고요.
00:57바로 문재인 정부 당시 조국 전 장관입니다.
01:00여권 핵심 관계자는 교수였던 조국 전 장관을 임명했다가 실패했던 것을 다시 경험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01:09검찰 출신이 아닌 사람의 개혁 드라이브는 검찰 내부에 더 강한 반발을 낳을 수 있다는 겁니다.
01:15조국 전 장관, 법무부 장관은 물론 앞서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내며 검경 수사권 조정 등 강력한 검찰 개혁 드라이브를 걸었었죠.
01:25이 당시 여러 어려움이 있었고 그게 비검찰 출신인 부분도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도 작용한 겁니다.
01:32이재명 대통령이 여권 내 일부 우려에 대해서 직접 설명을 한 것 같은데 이상원 기자가 직접 취재를 좀 했죠?
01:38네, 제가 취재를 좀 해봤는데요.
01:40이 대통령 어제 여권 지도부와 만찬을 가졌습니다.
01:44이 자리에서 직접 특수통 검사 출신 민정수석 기용 배경도 설명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01:50아무래도 당내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차원이었겠죠.
01:54어제 만찬 참석자는 이 대통령이 검찰과 경직된 분위기를 누그러뜨리는 부분에 대한 고민도 담겼다는 취지로 설명했다고 전했습니다.
02:04강대강 대치 국면만 가지고 사법 개혁과 검찰 개혁을 끌고 갈 수 없다는 것이죠.
02:10때문에 검찰 출신으로 일종의 완충제 역할까지 해줄 인물을 고민했다는 취지로 읽힙니다.
02:16검찰 출신 중에서도 인물이 많습니다.
02:18그런데 왜 오광수 민정수석인가요?
02:22네, 이 대표와 사법연수원 동기이기도 하지만 검찰과 연이 깊은 이 대통령 측근이 강력하게 추천한 인물이었다고 합니다.
02:32이를 처리하는 스타일 역시 인선 배경으로 지목됩니다.
02:36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검찰 내에서도 일처리를 조용히 하는 것으로 유명한 사람이라고 했는데요.
02:42이 대통령은 예민한 사안을 최대한 조용히 다루기를 바라는 스타일인데
02:47업무 스타일이 그런 면에서 부합한다는 것이죠.
02:51그렇군요.
02:51정무수석으로는 4선에 우상호 전 의원이 임명이 되었습니다.
02:55지금 보면 강훈식 비서실장보다 선수도 좀 높고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03:01네, 맞습니다.
03:02우상호 정무수석 4선 중진이죠.
03:04차관급인 정무수석 자리를 흔쾌히 수용했습니다.
03:08이 대통령이 직접 제안한 게 결정적이었다고 하는데요.
03:13여권 핵심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당선 직후 우수석에게 직접 연락을 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03:20많이 어려운 상황인 것을 설명하면서 직급 그런 거 따지지 말고 함께 힘을 보태달라는 취지였다고 합니다.
03:27뭔가 기대하는 역할이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03:31네, 그렇죠.
03:31우수석은 정치권에서 잔뼈가 매우 굵습니다.
03:34특히 국민의힘 쪽 중진들과도 두루 친분 관계를 갖고 있는데요.
03:39야당과의 관계를 풀어나가는 역할에 특히 기대감이 크다는 분위기가 읽힙니다.
03:45대통령실 인선이 아직 끝난 건 아니죠?
03:48네, 맞습니다.
03:49이번 주 초까지는 대통령실 수석급 인사를 모두 발표해 안보실을 제외한 대통령실 비서실 라인만큼은 인사를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입니다.
03:59네, 잘 들었습니다.
04:00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
04:04네, 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