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7.


관세 유예 종료 임박… 여한구 이어 위성락 美 급파
위성락, '李 숙제' 안고 미국행… "정상회담 논의"
대통령실, 한미 정상회담 '7월 말~8월 초' 목표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Q. 관세 협상이 매우 쉽지 않은 건 분명합니다.
00:13지금 그렇다고 해서 7월, 8일까지 끝낼 수 있는지도 확언하기 어려워요.
00:20최선을 다하겠다는 말씀까지만 드리겠습니다.
00:30미국이 일방적으로 정한 상호 관세 유예 시간이 이제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00:55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간으로 7월 7일부터 12개 나라 또는 15개 나라의 관세와 관련된 서한을 보내겠다라고 직접 예고했습니다.
01:08여기에 우리나라가 지금 포함됐는지 여부도 우리는 확인할 길이 없는 깜깜한 상황입니다.
01:15실제 관세 부과는 8월 1일부터 시작됩니다.
01:19그렇다면 그 사이에 뭔가 우리가 결판을 지어야 되는 거잖아요.
01:23네, 그렇습니다. 지금 현재 우리 같은 경우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라고 말씀을 드릴 수 있겠습니다.
01:297월 9일까지가 원래 협상의 마무리인데요.
01:32말씀하셨다시피 7월 9일까지 협상 마무리 이후에 바로 관세가 부과되는 게 아니라
01:36미국 상무장관에 얘기하면 8월 1일부터 부과되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있습니다.
01:41그런데 서한을 받느냐의 여부가 왜 중요하냐면 서한이라는 것은 일단 관세에 대해서 미국의 입장이 명확히 들어가 있는 것들이고요.
01:50서한을 받지 않으면 협상이 계속해서 유지가 되는 거거든요.
01:52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15개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상당히 중요한데
01:56우리 입장에서 보면 그동안에 새 정부가 만들어지면서 우리가 협상을 제대로 못해왔기 때문에
02:02조금 유해를 달라라고 지금 얘기를 하고 있는 상태인데
02:05과연 미국이 이 부분을 받아들일지 여부는 서한 발송 여부에 달려있다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02:11지금까지 트럼프가 하는 행동으로 봐서는 우리 출범한 지 얼마 안 됐으니까 상황을 받아오라고 한다고 해서 받아줄 것 같지 않아 보이거든요.
02:22그럼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전략으로 가야 되는 겁니까?
02:24지금 그래서 원래 우리 산업통상부 여한구 통상본부장이 지금 가 있는데요.
02:29여기에 이제 위성라 국가안보실장까지 지금 방미한 상태입니다.
02:34그래서 이제 지금 우리들의 입장을 여러 가지 표명하고 있는 상태고 특히 이제 우리가 철강이라든지 자동차 관세에 대해서
02:39특히 이제 우리는 미국과 그동안 협조를 해왔다.
02:43특히 또 트럼프 일기 때와도 방향을 맞춰왔고 그 이후에도 계속해왔기 때문에 좀 해달라라고 얘기를 하고 있는 상황인데
02:50미국 입장에서는 말씀하셨다시피 워낙 많은 국가들하고 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 개별 국가들의 어떤 의견을 어느 정도까지 받아들일지는 아직은 우리가 예상하기는 어렵습니다.
03:00하지만 우리 입장을 이제 지금 우리의 책임 있는 분이 두 분이 가 계시기 때문에 그런 분들 최대한 어필하겠다라는 것이 현재 정부의 입장이다라고까지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3:10알겠습니다. 그러니까 여한구 통상교속본부장 그리고 위성락 안보실장 투트랙으로 우리가 지금 계속 접촉을 하고 있다고 하는데
03:20가장 중요한 건 이거죠. 아까 말씀하신 대로 우리는 지금 이 협상에 덜컥 불리하게 열어줄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03:29무언가 조금 더 유예기간을 두고 한 호흡 길게 가는 게 우리한테는 분명히 유리한 상황이 된 거죠.
03:36좀 더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연 그 12개 나라에 우리나라가 포함이 됐을지요.
03:41굉장히 중요하고요.
03:428월 1일부로 만약에 관세가 부과가 되기 시작하면 그 이후에 굉장히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03:50그 다음 추가 협상을 진행해야 되는 굉장히 우리로서는 불리한 상황이 되는 거겠죠.
03:55자 위성락 안보실장이 짊어지고 있는 숙제가 하나 더 있습니다.
03:59취임 한 달 차를 맞은 이재명 대통령은 아직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지 못했죠.
04:05이번 협상에서 한미정상회담 일정도 구체적으로 논의될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
04:11여러 현안들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협의를 하겠습니다.
04:17조속히 하자는 데 대한 공감대는 있고 좀 더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습니다만
04:23아직 그 단계까지는 와 있지 않고 협의를 진행해 보아야 되겠습니다.
04:27구체적으로는 제가 말씀드릴 단계는 아직 안 됩니다.
04:30그러니까 우리 정부 입장에서는 미국과 정상회담 조율 일정이 굉장히 시급한 상황인 거죠.
04:38어느 때보다 지금 정상회담이 좀 우선됐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04:41그렇죠. 지금 이중적입니다.
04:44가급적이면 늦춰달라 늦춰달라 하는 건 우리가 협상하는 시안을요.
04:48그렇지만 가급적 빨리 하자라는 건 정상회담입니다.
04:52그러니까 서한 전에 정상회담이 불가능하잖아요.
04:567월 9일이니까.
04:57그러면 그 서한에 안 들어가야 돼.
04:59우리는 늦춰야 됩니다.
05:01그렇지만 가장 중요한 건 지금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좋아하는 이 딜 방식이 단판이잖아요.
05:07단판.
05:08그러니까 우리 양 정상이 한 번도 못 만났습니다.
05:12G7에서도 못 만나고 나토도 불참을 해서 못 만났습니다.
05:15그렇다면 가장 빠르게 할 수 있는 게 7말 8초입니다.
05:20하루를 넘기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겨요.
05:23미국 대통령들이 휴가를 가요.
05:24휴가도 꽤 오래 갑니다.
05:26그리고 또 미국에 여러 가지 어떤 문제들이 있습니다.
05:29예를 들자면 여야의 어떤 문제들 때문에 행정부가 셧다운될 가능성도 있고 또 9월 달 되면 유엔 총회가 있어요.
05:35뉴욕에서.
05:35그래서 7말 8초가 꼭 성사돼야 된다라는 게 우리 쪽 지금 바람입니다.
05:422025년도 7말 8초는 정말 많은 게 겹칩니다.
05:47일단 전국민 소비 쿠폰이 7말 8초에 지급되고 대한민국 대부분의 사람들이 7말 8초에 휴가 가고요.
05:557말 8초에 한미 정상회담이 좀 이뤄져야 되고요.
05:59그 기간에 또 관세 협상도 뭔가 우리가 실익을 얻어야 되는 굉장히 중요한 시기가 된 것 같습니다.
06:064말 9초에 두 번가를 나타내요.
06:095말 9초, 3말 9초에 유엔 총회담이 좀 이뤄져야 되고요.
06:127일 시민은 카드로 이런 것을 찾아넣는 것이 하나입니다.
06:135말 9초에 1입 fast.
06:145말 10일 시민은 7일 시민입니다.
06:166일 시민은 8일 시민입니다.
06:186일 시민은 8일 시민입니다.
06:1911일 시민은 9일 시민입니다.
06:217일 시민은 9일 시민을 확정합니다.
06:2311일 시민은 8일 시민이 Elektron을 확정합니다.
06:267일 시민은 9일 시민에 압박한 교육이 있습니다.
06:278일 시민이 bezана 못합니다.
06:288일 시민은 11일 시민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