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6. 17.


트럼프, 중동 긴장 완화 촉구 G7 공동성명 서명 거부
트럼프 "이란 대화 원하지만 이미 기회 놓쳐"
조기 귀국·공동성명 서명 거부…트럼프 속내는?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트럼프 대통령도 뭔가 지금 긴박하게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00:05G7 정상회의에 참석했다가 돌연 예정과 달리 조기 귀국을 결정을 한 겁니다.
00:30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하자마자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소집할 것이다 이렇게 알려지고 있는데
00:55트럼프의 입장은 뭡니까? 적극적으로 이스라엘을 도와서 중동전에 개입을 하겠다는 건가요?
01:01아직은 아닙니다. 그러니까 지금 미국이 이 전쟁에 이스라엘을 후원하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01:10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직접 전쟁, 무력 충돌에 개입하는 건 자제하고 있고
01:15동시에 이란 측에도 미국이 자제하고 있으니까 중동 지역에 있는 미군 기지를 공격하지 마라 하는
01:22어떤 일종의 레드라인을 제시했어요.
01:25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전쟁이 확전적으로 간다면 미국도 참여를 할 수밖에 없고
01:30그걸 대비하기 위해서 사실 미국에 항공모함도 보내놓은 상황이거든요.
01:34아마 그 아주 매우 크리티컬한 중요한 시기가 한국 시간으로 오늘 저녁이 될 거예요.
01:40그러다 보니까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으로 복귀하는데 다른 측면은 사실은
01:45G7의 그런 다른 국가와의 케미가 맞지 않은 측면도 있을 거예요.
01:51그러니까 이제 1차적인 정상회담을 다 마치고 조기에 복귀해서
01:55중동 문제에 집중하겠다 하는 입장을 발표한 거죠.
02:00제가 왜 그 질문을 드렸냐면요.
02:01트럼프 대통령이 G7 정상들이 이란과 이스라엘 긴장 완화를 촉구하는 공동 성명을 냈는데
02:09트럼프가 거기에 서명을 안 하고 지금 조기 귀국을 했단 말입니다.
02:12그래서 이거는 전쟁을 하겠다는 거 아닌가 저는 그런 생각에 질문을 드린 건데
02:16아직까지는 적극의 의지는 보이지 않는다.
02:19맞습니다.
02:20왜냐하면 G7에서 그런 공동 성명이 나오는 경우는 미국의 이익과 배치된다고 보는 거죠.
02:26미국이 참전을 할 수도 있는 전쟁이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한 발 물러서 있지만
02:31지금은 이스라엘을 지원하는 정도 수준에서 이 전쟁을 보고 있는 거죠.
02:36조금 전에 위원님께서 이란 입장에서도 직접적으로 휴전 의사를 밝히기보다는
02:43러시아나 제3국을 통해서 휴전 의사를 전달하고 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해 주셨는데
02:49말씀드린 것처럼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지난 14일에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면서
02:55중동 문제 해결을 위해서 본인이 중재 역할을 하겠다 이런 뜻을 밝힌 바가 있죠.
03:01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유럽 정상들 간에는 좀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03:08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가 빠지기 전까지 G8였다라면서
03:14러시아를 배제하는 건 실수였다라고 말을 하고 있고 유럽 쪽은 또 그 반대입니다.
03:20제8.
03:25바라크 오바마
03:27박 박 frak
03:27뭔가 트�udeau
03:28한국기장에서
03:29러시아를 러시아
03:31러시아에
03:32우리는 그가
03:32일찍을
03:33왜냐하면
03:34우리가
03:34부담을 할 수 없을 것 같고
03:35누가 러시아 러시아에
03:36러시아에
03:37늘 discussion
03:38어떻게 할 수 없을까요?
03:39러시아
03:39러시아
03:39러시아
03:40러시아
03:40러시아
03:41러시아
03:42러시아
03:42러시아
03:43러시아
03:44러시아
03:44러시아
03:45러시아
03:46러시아
03:47러시아
03:48러시아
03:48러시아
03:49트럼프 입장에서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때 푸틴한테 뒤통수 세게 한 번 맞았잖아요.
04:08그런데 이번에 중동전쟁에는 왜 이렇게 또 푸틴을 끌어들이려고 하는 겁니까? 트럼프가?
04:14그러니까 트럼프 대통령의 대전략을 보면 러시아는 적대 국가가 아닙니다.
04:21러시아를 끌어들여야지 지금 미국이 견제해야 되는 중국을 포위할 수 있다는 대전략을 갖고 있는 거예요.
04:28그렇기 때문에 가급적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미국이 약간 양보하는 모습을 보여왔잖아요.
04:33그것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종식시켜야 미러 간의 협력이 가능하고 중국을 고립시킬 수 있다 하는 그러한 대전략 차원에서 움직이고 있는 건데
04:42이런 것은 방금 전에 보신 것처럼 유럽 측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불만거리가 되는 거죠.
04:48왜냐하면 러시아는 유럽에 대한 직접적 위협을 하고 있는데
04:52동맹국인 미국이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에서 미국과 유럽 간의 마찰 요인이 되고 있는데요.
04:58아무튼 트럼프는 가급적 러시아를 끌어들이려고 하고 있고
05:02그렇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중동 문제에 있어서 러시아의 역할을 어느 정도 인정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겁니다.
05:12러시아를 끌어들여서 중국을 견제하는 구도를 만들겠다라는 트럼프의 계산이다.
05:17지금 트럼프의 머릿속에는 관세든 전쟁이든 오직 중국만 생각하는 것 같아요.
05:24그러니까 과거 미국 대통령과는 다른 거죠.
05:27과거 미국의 대통령은 소위 말하는 민주주의, 인권, 자유주의적 국제 질서를 미국이 지향하는 가치로 내세우면서
05:35그거를 달성하려고 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중심으로 국제 질서를 재편하려고 하다 보니까
05:41그런 가치보다는 당장 손잡을 파트너가 누구이냐 하는 부분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겁니다.
05:47그렇군요.
05:50일단 중동 상황.
05:52지구의 거의 반대편에 있는 곳에서 벌어지는 일이지만
05:56우리나라와는 경제적으로 굉장히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사건이기 때문에
06:01매일 예의주시해야 하는 그런 상황입니다.
06:04지구의 반대편에 있는 곳에서 벌어지는 일이지만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