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3.
관련 기사: https://www.dt.co.kr/article/12001712
-----------------------------------------------------------------------------------------------------------------------------------------------------------

디따 유튜브 구독하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xdgnFyzm3WcalaBn2Ya6hg

네이버TV https://tv.naver.com/ditta

데일리모션 https://www.dailymotion.com/dtwithcom

디지털타임스 홈페이지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Digitaltimesnews

☏ 제보하기 dtvideo@dt.co.kr

-----------------------------------------------------------------------------------------------------------------------------------------------------------
#손재권 #더밀크 #디지털타임스 #인터뷰 #고견 @ditta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이재명 정부에서 300조원을 투자하겠다라고 하는 저는 비전은 굉장히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00:22왜냐하면 그 정도급이면 전례 없는 예산 투자고 제가 볼 때는 AI기본법도 아직은 시작일 뿐이고 보는 시각에 따라서 이번에 기본법이 너무 지나치게 규제라는 분들도 있고
00:41또 이게 너무 미비하다 표준하고 실행방법이 미비하다 이런 분들도 있고 법제도 측면에서는 예를 들면 클라우드라든지 데이터 반도체 이런 기존에 있는 산업하고
00:56좀 융합될 수 있는 왜냐하면 AI 데이터 센터라든지 이런 것들 기존법에 충돌하는 부분들이 상당히 많거든요.
01:05예를 또 있는데 전기문제 전기문제가 심각해요.
01:09우리가 AI 3강을 한다고 하더라도 전기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AI 데이터 센터를 한국에 짓기 어렵거든요.
01:17컴퓨팅 파워를 갖추기 힘들어요.
01:19그런데 지금 전기 보시면 한국의 전기 보시면 산업용 전기가 일반 전기보다 비싸요.
01:25그거는 이제 데이터 센터 하는 사람들한테 죽으라는 거거든요.
01:28이제 산업이 경쟁력이 없는 거죠.
01:30굳이 한국에 둘 이유가 없어요.
01:32전기와 관련된 이것도 법과 제도 안에 들어가 있는 거잖아요.
01:36뭐 한전이 맘대로 올릴 수 없으니까.
01:39그 업계에서 요구하는 전기료 낮춰달라.
01:42아니면 대량으로 사면 할인해주고 이런 게 있는데 외국에는 그런 게 없다고 그러더라고요.
01:47예를 들면 이제 원전을 져야 되는데 이제 원전 SMR을 짓는다고 하더라도 기존에 있는 또 반발이 있고
01:56그러니까 그런 법 제도 사회적 합의 이런 것들이 상당히 지금 중요해서
02:03그래서 그 소버린 AI나 글로벌 3대 강국 안에 이런 아젠다 안에 들어와야 된다는 거죠.
02:10이재명 정부가 소버린 AI 개발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02:14소버린 AI는 무엇이고 또 정부의 이런 전략은 맞는 방향인가요?
02:20저는 맞다고 봅니다.
02:21뭐냐면 이제 소버린 AI라는 게 국가 주권 기반의 이제 독립적인 AI 인프라죠.
02:28우리만의 LLM 이런 게 아니고 그러니까 한국인만 쓰는 AI 이런 굉장히 편압한 시각이다.
02:38LLM도 있을 것이요.
02:39AI 데이터 센터도 있을 것이고 그 안에 있는 인재들도 있을 것이고
02:43그래서 글로벌 3대 강국을 하는 지향하는 것과 소버린 AI 하는 것이 상당히 좀 방향성은 맞다.
02:51적절하다.
02:52하지만 이게 이제 그 우려되는 바는 이제 방향은 맞는데 항상 이제 정부 주도로 하려다 보니까
03:01이제 민간의 그 주도성을 뺏기고 그리고 그러니까 정부가 플레이어 역할을 자꾸 하려고 그러거든요.
03:07이제 감시하고 또 그거를 선수 심판하는 감독하는 게 아니라 선수로 뛰어가지고 민간을 이겨먹으려고 하고 있어요.
03:17지금 그런 것들은 이제 산업을 아주 그 방해하는 게 될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03:26그래서 이런 것들도 방향성은 맞지만 강론에서 좀 예전에 우리 고무원식이나 하던 거를 보면은
03:37지금은 그렇게 된다면은 이거는 상당히 부정적으로 될 가능성도 있다.
03:43그래서 지금 초반에 좀 잘 잡아야 된다. 저는 그렇게 좀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03:49이 대통령이 AI 분량에 100조를 투자할 것이라고 했는데
03:52지금 또 새 정부가 AI 인사 진영을 갖췄습니다.
03:56그런데 아직 AI 액션 플랜이 제대로 된 액션 플랜이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
04:02이 액션 플랜에는 어떤 점이 포함되어야 될까요?
04:05AI 컴퓨팅 파워를 가지고 있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04:08그래서 국가 AI 컴퓨팅 파함 뭐 이런 거
04:11국가 AI 컴퓨팅 단지 이런 것들은 특구 주장해서 빠른 시일 내에 그러니까 3개월 내에 다져야 돼요.
04:21일론 머스크가 이미 루지에너주 테네시에 114일 만에 세계 최대 컴퓨팅 센터를 지었어요.
04:28미국에서 일론 머스크가 한 건데 우리나라가 안 된다는 거는 변명과 핑계다.
04:33특구라든지 4개월 만에 이런 계획들이 좀 구체적으로 좀 있었으면 좋겠고
04:41그다음에 AI 데이터 이런 것들을 예전부터 데이터 땜한다는 등
04:47데이터 개방한다든지 별로 쓰는 사람이 별로 없거든요.
04:51그러니까 제가 볼 때는 인재에 쓰는 게 사람에 쓰는 게 제일 중요한데
04:57왜냐하면 이제 AI는 사람의 힘이 절대적이기 때문에
05:02한 사람이 그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또 그것을 서로 그 커뮤니티에서
05:08커뮤니티에서 그를 수정하고 또 그거를 발전시키고 이런 것들은
05:13미국 용어로 실리콘밸리 용어로 tribal knowledge라고 합니다.
05:18영어로 직역하면 부족 지식이고 그리고 그게 좀 더 우리말로 하면
05:24암묵지적인 집단 지식이라고 보죠.
05:30메타에서 한국 돈으로 한 사람 영입하는데 100억 정도 쓰거든요.
05:36그래가지고 슈퍼 인재를 데려오는 건데 그렇게 실리콘밸리가 그런 전쟁으로 가고 있는데
05:41한국에서도 저는 300억 중에 상당 부분은 인재 유치에 써야 된다.
05:48예를 들면 미국의 오픈 AI에서 100억급 인재를 10명만 데려와도
05:53지금 어떻게 보면 1000억이잖아요 숫자로 보면
05:56근데 그게 보면 10명에 1000억이면 굉장히 커 보이지만
06:00300조 원에 비해서는 상당히 좀 작은 금액이고
06:06그렇게 만약에 인재를 데리고 오면
06:10S급 슈퍼 인재급 10명의 인재면 한 국가를 이렇게 세운다라는 생각으로
06:17인재에 투자하고 또 인재를 그들이 인재를 기르고
06:21이런 작업을 이번에 가장 중요하게 해야 된다.
06:27AI의 핵심 중 하나가 반도체인데
06:29NVIDIA, TSMC 같은 게 약진이 요즘 뇌에 띕니다.
06:34트럼프 이기 들어 세계에서 반도체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데
06:39우리 반도체 산업은 어떤 위치에 있으면
06:41앞으로 어떤 전략을 좀 가져가야 될까요?
06:44그동안 선택과 집중을 한다면서
06:47메모리 반도체 몰빵하고 또 비메모리는 등한시 했는데
06:52그 결과가 저는 좀
06:55메모리 잘하는 건 좋은데
07:00AI 반도체도 좀 뒤떨어지는 결과가 낫지 않았나
07:04파운드리도 좀 부진하고
07:07그래서 그런 것들은 좀 아쉽다 생각을 하고요
07:11대신에 NPU라든지 이런 것들은 한국에도 경쟁력이 있으니까
07:14앞으로 반도체는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07:17이 분야는 긴 롱텀으로, 긴 시각으로 보고
07:22지속적으로 좀 투자해야 된다.
07:25그 다음에 그 반도체 하나뿐만 아니라
07:27그 안에 있는 서버라든지
07:29그 다음에 여러 가지 생태계가 있거든요.
07:31그런 것까지 동시에 좀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07:36거기 미중은 AI 피콜을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07:41두 나라 전략의 특징은 무엇이고
07:43그 틈새에서 우리 전략은 어떻게 해야 될까요?
07:46네. 그러니까 미국은 오픈이노베이션 중심의 민간 주도로
07:51기업들 중심으로 하고 있고
07:53철저하게 정보를 서포트하는 입장, 법 통과해주고
07:56이쪽으로 좀 가고 있는 것 같아요.
07:59그리고 중국은 이제 국가 단위에서 대규모 투자하고
08:03승자로 선택하는 거죠.
08:04위너를 픽한다라고 그래서 선택과 집중을 업체들에게 줄을 세워가지고
08:11말 잘 듣는 애들이죠.
08:12그래서 국가 주도로 이제 AI 산업을 끌고 가고
08:16산업 적용도 굉장히 빨라요.
08:19전기차라든지 또 스마트 시티라든지 로봇, 드론
08:22전 영역에서 지금 양자까지
08:24전 영역에서 지금 국가 주도의 대규모 투자 전략을
08:27좀 하고 있는 그런 패권 경쟁을
08:32컴퓨팅 파워 포함해가지고 하고 있고요.
08:34그래서 우리는 한국은 제가 볼 때는
08:37스마트 중간장 이런 역할을 좀 해야 되지 않을까.
08:42미국과 협력은 긴밀하게 협력을 하면서도
08:46중국에서의 기회를 또 놓치면 안 되겠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