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국민의힘 비대위원 일괄 사의…김용태, 9일 거취 결정
채널A 뉴스TOP10
팔로우
2025. 6. 6.
김용태, 사퇴 압박 일축…"남은 임기 개혁"
김용태 "제 임기 30일까지…당권 싸움 관심 없어"
국민의힘, 릴레이 사과 시작…"계엄 명백히 잘못"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국민의힘 이야기를 해볼텐데요.
00:09
권성동 원내대표는 사퇴를 했죠.
00:11
하지만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은 임기가 6월 말까지여서 그럴까요?
00:16
버티고 있습니다.
00:18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00:19
김문수 전 대선 후보는
00:22
나 당대표 당권 이런 거 욕심 없어 라고 하는데
00:26
거의 매일 일정이 있습니다.
00:30
그것도 공개적으로 이유가 뭘까요?
00:33
먼저 국민의힘에서 나오고 있는 이런저런 이야기 정리했습니다.
00:36
들어보십시오.
00:39
전임 원내대표가 사의를 표명을 하셨지만
00:42
저부터 원내대표직을 내려놓겠습니다.
00:48
대행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습니다.
00:51
다만 다음 원내대표가 선출될 때까지
00:53
원내대표가 업무를 계속 수행하는 것인데
00:56
후임 원내대표가 신임 비대위원장을 지명을 하는 건지 아니면
00:59
전당대회를 여실지 쪽으로 모르겠어요.
01:00
그런 부분 포함해서 다 월요일 날 추가 논의를 할 것입니다.
01:05
제가 어찌 됐든 임기를 마치게 된다면
01:07
그 다음에 새로운 비대위가 들어설 텐데
01:10
그 비대위는 아마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비대위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01:15
제 임기는 6월 30일까지 되어 있지만
01:19
그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습니다.
01:20
반성의 역할을 다할 수 있다면
01:22
언제라도 마무리할 수 있다는 말씀을 다시 드리겠습니다.
01:25
최진봉 교수님
01:28
반성하겠다.
01:31
그리고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다.
01:33
6월 30일까지니까 얼마 남지는 않았어요.
01:36
하지만 어쨌든 대선에서 졌잖아요.
01:39
그럼 그게 40%를 넘게 받은 것이
01:41
젖잘산인지 아니면 참패인지
01:43
말들은 엇갈리지만 어쨌든 졌잖아요.
01:45
그런데 왜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사퇴를 안 하고 있는 걸까요?
01:49
그러니까요. 그게 좀 미스테리예요.
01:51
왜 그럴까.
01:52
진거는 진거고 책임은 누군가 져야 되잖아요.
01:54
그러니까 이런 대선 패배 책임을 누가 아무도 안 주고 있잖아요.
01:57
권성동 원내대표는 사퇴했다면서 계속 업무를 봐요.
02:01
이게 사퇴가 맞는 겁니까?
02:02
그러면 언제 원내대표가 뽑힐지도 모르겠고
02:05
이렇게 시간 자꾸 질질 끌다가
02:06
그러면 6월 30일에 같이 그만둘 겁니까?
02:09
일반인들이 보거나 국민들이 볼 때로는 납득이 안 되는 상황이에요.
02:12
사퇴를 했으면 깨끗이 물러나야 하는 거죠.
02:14
업무를 왜 자기가 계속하고 있습니까?
02:16
말만 사퇴고 실제 행동을 옮기지 않는 것에 대해서 국민들과는 어떻게 생각할까?
02:20
김용태 비대위원장도 그래요. 거취를 9일 날 결정한다는데 본인은 명확하게
02:25
물러간다는 얘기도 안 해요, 지금.
02:26
30일까지 있을 것처럼 보이는 그런 태도도 보이고 있고요.
02:29
이렇다고 하면 책임지는 사람 한 명 없이 국민의힘은 대체 대선 패배에 대해서
02:34
국민 앞에 무슨 책임을 줬습니까?
02:35
무슨 책임을 줬습니까? 이걸 보는 사람들의 입장도 너무 황당하고
02:39
국민의힘 내부에서 분만이 나올 수밖에 없는 거죠.
02:42
빨리 반성하고 책임지는 사람이 책임을 지고
02:44
그리고 새로운 어떤 모먼텀을 만들어가지고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야 될 텐데
02:48
그러지 못하고 친중 그룹은 아직도 건재하게 살아 있고
02:51
이런 모습을 볼 때 국민들이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를 할 수 있을까
02:55
대단히 의문스러운 지점이 아닐 수 없습니다.
02:57
예,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어제 사의 표명한 적 없다.
03:01
개혁할 부분을 먼저 바로잡아야 한다.
03:03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개혁과제들을 얼마나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을지
03:09
물론 김용태 비대위원장이 좀 더 남아서 개혁과제를 처리해달라고 얘기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03:16
반대 입장, 누군가는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라는 이야기도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03:22
그런가 하면요. 국민의힘이 뒤늦은 사과를 하고 있습니다.
03:27
지금 의원들이 돌아가면서 사과를 지금 하고 있어요.
03:30
시작은 오늘 이제 어제 시작을 했고 오늘 또 사과 이어지고 있고
03:36
몇 명이 돌아가면서 사과를 하게 될지 궁금해지는데
03:39
자, 사과 릴레이, 사과 챌린지 저희가 영상으로 준비했습니다.
03:43
대선 패배로
03:56
이어진 점
04:03
박수민 의원
04:33
오늘 제가 침묵하지는 않았지만 많은 동료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사흘째 나흘째 계속 이어나갈 것입니다.
04:42
사흘째 나흘째 계속해서 사과를 하겠다. 저렇게 엎드려 큰절도 하고요.
04:47
계엄은 명백한 잘못이다. 계엄이라는 오판을 결심하는 동안 여당 의원으로서 아무것도 역할을 못했다라고 하면서 사과에 고개를 숙였습니다.
04:56
이현정 의원. 이런 것들을 대선 과정에서 경선 전에 또는 경선 과정에서라도 했었으면 어떻을까라는 이야기를 하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05:06
그래서 말입니다. 사실 이런 움직임이 대선 전에 또 대통령 비상계엄전에 있었다면 대통령의 어떤 저런 뜬금없는 비상계엄을 막을 수 있었던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고.
05:18
참 모르겠습니다. 뒤늦게나마 저런 분들이 일단 사과를 하는 것 자체는 그나마 안 하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라고 볼 수 있는데 정말 사과를 해야 될 분들은 여전히 말이 없어요.
05:29
누굽니까?
05:29
보시면 알겠지만 당시에 중요한 당의 어떤 권력을 잡고 있는 친윤그룹들. 대통령에 대해서 한마디 쓴소리하지 않고 대통령인 비상계엄 이후에도 결국 대통령을 지키겠다고 매일같이 한남동 가서 시위를 했던 분들이 있지 않습니까?
05:45
그리고 이 선거 막판까지도 결국 그게 당의 뿌리다. 탄핵 반대가 당의 뿌리다.
05:50
지금 김용태 비대위원장이 지금 사퇴를 하고 있지 않은 이유 중에 가장 큰 이유가 뭐냐 하면 지금 탄핵 반대 당론이 여전히 있잖아요.
05:57
이걸 반드시 본인이 바꿔놓고 가겠다는 거예요.
06:00
그런데 지금 윤상현 의원은 뭐라고 그랬습니까?
06:03
그거 건드리면 당의 뿌리를 지금 없는가다 이야기를 했잖아요.
06:06
그런데 그분들은 사과도 하지도 않아요.
06:08
그런데 정작 이제 어떤 면에서는 좀 책임이 없는 분들이 사과를 하는 것인데
06:12
결국 이 흐름 자체가 가장 어떤 면에서 권력을 행사한 분들이 본인들이 스스로 국민들 앞에 나서서 반성을 해야 되는데
06:19
이분들이 여전히 다음 당권을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06:22
나경원 의원 본인 대통령 전화 그렇게 자주 받고 그렇게 용산 저 앞에 가서 그렇게 시위도 하시고 했는데
06:29
지금 사과한다는 이야기 없지 않습니까?
06:32
지금 권성동 의원 마찬가지고요.
06:34
윤상현은 마찬가지고.
06:36
심지어 지금 김문수 전 후보까지도 본인이 사실은 대선 기간 중에 한 번도 윤상현 전 대통령과 전해놨다는 이야기 안 해놨고
06:44
이제 끝나고 난 다음에 왜 저런 안 했냐.
06:48
당의 문제다라고 지금 당의 책임을 돌리고 있잖아요.
06:51
그러니까 결국은 예전에 김수환 추경이 살아계실 때 했던 운동이 있습니다.
06:56
내 탓이요 운동이거든요.
06:57
그 운동이 굉장히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07:00
남 탓하지 말고 내 탓이다를 먼저 이야기를 해야 되는데
07:03
저는 저 운동 자체가 국민의힘의 내 탓이요 운동으로 이어지길 바라겠습니다.
07:07
과연 그렇게 이어지게 될지요.
07:10
다음 사과하는 사람은 지목이 아직 안 된 상태인데
07:15
박수민 최영두 의원에 이은 다음 사과 챌린지에 참석할 의원은 누군지
07:21
저희가 파악이 되면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추천
9:12
|
다음 순서
국민의힘, ‘김용태 패싱’ 전격 의총 취소
채널A News
2025. 6. 12.
22:06
국민의힘, 의총 40분 전에 취소…김용태는 몰랐다?
채널A 뉴스TOP10
2025. 6. 11.
10:07
[핫피플]국민의힘 전당대회 앞두고…잇달아 출사표
채널A News
2025. 7. 7.
7:25
김용태 “尹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9월 초까지 전당대회 개최”
채널A News
2025. 6. 8.
9:17
국민의힘 전당대회 앞두고…잇달아 출사표
채널A 뉴스TOP10
2025. 7. 6.
10:21
국민의힘 경선, 1차 컷오프 앞두고…尹 놓고 이견
채널A 뉴스TOP10
2025. 4. 19.
2:00
김용태, 내일 퇴임…“순직해병 사건 사과”
채널A News
2025. 6. 29.
13:39
김용태 임기 두고…“연장해야” vs “사퇴하라”
채널A 뉴스TOP10
2025. 6. 9.
1:47
김용태, 지방 돌며 “개혁”…친윤 일각서 ‘자기 정치’ 비판
채널A News
2025. 6. 21.
7:32
尹, 국민의힘 전격 탈당…“김문수에 힘 모아달라”
채널A 뉴스TOP10
2025. 5. 17.
2:33
김용태 거취 두고 충돌…의총서 “빨리 물러나라”
채널A News
2025. 6. 9.
2:19
국민의힘, ‘35세’ 김용태 전면에…“계엄 사과”
채널A News
2025. 5. 12.
4:45
김용태 “국민 통합 위해 방탄3법 철회해야”
채널A News
2025. 6. 11.
10:26
단일화 압박에…김문수 “일방적 촉구 유감”
채널A News
2025. 5. 6.
17:58
尹, 국민의힘 탈당…“백의종군할 것”
채널A News
2025. 5. 17.
4:42
“청문회에서 소명”…의혹 제기에 버티기 전략?
채널A News
2025. 7. 11.
0:45
국민의힘 김재원, 대구 중·남구 보궐선거 출마의사 철회
연합뉴스TV
2022. 1. 31.
1:19
유승민 "국민의힘 대선후보 선출 방식은 국민 대상 사기"
중앙일보
2025. 4. 11.
9:06
국민의힘 108석…한동훈 ‘덕분’ vs 한동훈 ‘탓’
채널A 뉴스TOP10
2024. 5. 18.
12:22
한동훈, 내일 오전 기자회견…韓 ‘버티기’에 친윤계 반발
채널A 뉴스TOP10
2024. 12. 15.
2:08
권성동, 떠나는 날까지 개혁안 반대…김용태 “미래는 없다”
채널A News
2025. 6. 12.
11:30
결론없는 5시간 격론…국민의힘, 쇄신 발도 못 뗐다
채널A News
2025. 6. 10.
9:05
김문수, ‘35세’ 김용태 비대위원장 내정
채널A 뉴스TOP10
2025. 5. 12.
2:49
‘중일마’ 김태효, 이번엔 ‘국기 경례 거부’ 논란
채널A News
2024. 9. 27.
11:54
국민의힘, 3일 대선 후보 확정…빠듯한 단일화 시간표
채널A News
2025.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