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사전투표율 ‘역대 최고’…40%도 넘을까
채널A 뉴스TOP10
팔로우
2025. 5. 29.
오후 5시 사전투표율 17.51%… 역대 최고
지난 대선 동시간대 사전투표율보다 1.67%p 높아
동시간대 사전투표율 역대 최고치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한국국토정보공사
00:30
한국국토정보공사
01:00
한국국토정보공사
01:30
한국국토정보공사
01:32
보신 그대로 새 후보도 나란히 사전투표 첫날
01:35
본인의 권리를 행사했습니다.
01:37
저희가 준비한 뉴스타프는 바로 여기부터입니다.
01:40
그 3명의 후보가 777만 명 중에 포함이 돼 있겠죠.
01:46
벌써 이렇게 많은 유권자가 권리를 행사했습니다.
01:51
오늘부터, 그러니까 목요일과 금요일 이틀 동안요.
01:54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가 진행이 됩니다.
01:56
이제는 전반적인 분위기가 사실상의 1차 본투표 느낌인데요.
02:03
그러면 사전투표 첫날, 지금까지 현재 이 시각 투표일부터 살펴보겠습니다.
02:09
제 오른쪽에 그래프가 나와 있습니다.
02:13
검은색이 지난 대선, 윤석열, 이재명 두 후보가 맞붙었던 대선이고
02:17
쭉 봤을 때 Y축이 올라가 있는 투표율이 꽤 높습니다.
02:22
1.21로 시작해서 쭉 점심때 10%를 돌파했고
02:28
지금 현재 17.51%.
02:31
이현정 의원님, 역대급 사전투표율입니다.
02:35
그렇죠.
02:36
2013년도에 사전투표가 도입된 이후에
02:39
지금 사전투표의 첫날 투표율이 가장 높은 것 같습니다.
02:43
물론 지난 대선 같은 경우도
02:46
사실은 역대 선거 때마다 사전투표율이 올라가는 현상은 있습니다.
02:51
그만큼 편리해졌고
02:52
또 투표를 이미 마음에 결정한 분들은 빨리 해놔 놓고
02:56
투표일 날 어디 쉬시거나 놀러 가시겠다는 분들이 꽤 있기 때문에
03:00
아마 사전투표율의 편리성 때문에 꽤 많은 것 같습니다.
03:03
왜냐하면 사전투표는 지정된 투표소가 아니라
03:06
자기가 아무데나 가서 투표를 할 수 있으니까요.
03:09
그만큼 편한 거일 수도 있는데
03:11
이제 문제는 전체 투표율이 높아질까
03:13
이 문제는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 같아요.
03:16
왜냐하면 사전투표율이 높다고 해서
03:17
또 본투표까지 높아질 것인가
03:19
그러니까 이 부분은 여러 가지 아마 좀 더 따져봐야 될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03:24
그만큼 이번 선거에서 빨리 마음에 결정을 한 분들이 많다라는 뜻도 되지 않겠습니까?
03:30
그렇게 해석할 수 있겠네요.
03:31
그런 측면에서 이제 이 추세대로 가자면
03:35
전체 투표율은 꽤 높아질 겁니다.
03:37
그런데 이제 내일 지나보고 본투표 때 과연 얼마나 할 것인지
03:40
또 이제 부정선거론의 어떤 영향으로 인해서
03:44
특히 이제 보수 진영에서는 사전투표를 꽤 꺼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03:49
지금 보시면 대구 지역 같은 경우가
03:51
지금 최저 투표를 기록하고 있잖아요.
03:53
그런 것들이 이제 본투표 때 얼마나 이제 커버, 회복할 수 있을 것인지
03:57
뭐 등등 여러 가지의 바이럴 같은데
03:59
어쨌거나 지금 이번 선거의 초반 열기는
04:02
생각보다 꽤 뜨겁다는 것만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04:05
지금 이제 속보 자막으로도 여러분과 저와 같이 만나보시다시피
04:10
지난 대선 동 시간대, 같은 시간대 사전투표보다
04:12
대략 1.67%포인트가 높다.
04:15
최진봉 교수님.
04:16
이렇게 되면 대략적인 투표율을 한 75 정도로 잡고
04:20
추세대로
04:21
그리고 사전투표율을 40% 전후로 본다면
04:25
유권자 2명 가운데 1명은 이제 본투표가
04:29
본투표 1명, 사전투표 1명 이렇게 하는 셈이 될 것 같아요.
04:32
그렇죠. 만약에 지금 예상하신 것처럼 그렇게 40% 벽을 뚫는다고 하면
04:36
거의 절반 정도, 약 반 정도는 사전투표에서 투표를 하게 되는 것이죠.
04:41
뭐 아까 이재원종 의원들 얘기했지만 편리함도 있고
04:43
또 이미 마음을 정하신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04:46
그리고 또 하나는 이제 이번 선거의 성격이 조기 대선이기 때문에
04:50
심판적 성격이 강하잖아요.
04:52
그러다 보니까 빨리 내가 가지고 있는 이 표를 이용해서 통해서
04:56
본인의 의사를 전달하고 싶은 열망이 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05:00
그런 점들이 결국은 사전투표를 좀 더 높게 만드는 것 같고요.
05:04
이렇게 되면 이제 사실은 사전투표부터가 거의 선거가 된다고 볼 수 없는 것이죠.
05:10
왜냐하면 사전투표 끝나고 나면 사실 그 뒤에 전체적인 분위기는 아니면
05:13
추세를 바뀌기가 좀 어려운 상황이 되거든요.
05:16
절반 정도의 투표가 끝나버리면 사실은 거의 결정된다고밖에 볼 수 없는 상황이 되는 거니까
05:21
물론 좀 지켜봐야 되겠습니다만
05:23
지금으로 본다면 30% 후반대에서 40%까지도 갈 수 있는
05:27
그런 가능성은 충분히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05:29
그런데 이제 물론 여러 논평 중에 심판적 성격이 강하다는 건
05:32
또 사람마다 또 생각이 다를 수는 있으니까요.
05:36
서울이 17.04%의 투표율인데
05:39
제가 잠깐 놓쳤던 조금 전 지역별로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05:45
어디가 가장 높고 어디가 비교적 가장 투표율이 낮은지를 한번 살펴볼 텐데
05:50
정영진 변호사님, 저 같이 좀 보시겠습니다.
05:53
여기 보면 속보로 한번 같이 보실까요?
05:55
전라남도가 32%를 이미 넘었습니다.
05:59
유권자 10명 가운데 3명이 이미 사전투표 첫날 아직 딱 끝나지도 않았는데 투표를 했고
06:04
가장 낮은 지역은 바로 대구입니다.
06:07
11.95%
06:08
유불리에 대한 해석이 나올 수가 있겠어요?
06:12
저것만 봐서는요.
06:13
얼핏 봐도 대구보다 전남의 투표율이 사전투표율이 한 두 배반 이상 되는 것 같다.
06:20
그런 생각은 드는데
06:21
전통적으로 보수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본투표에 투표하고
06:25
그다음에 진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사전투표를 하는 게 일반적인 경향인 것 같고요.
06:31
이게 누가 뭐라고 해도 보스토파트는 TK고
06:35
그다음에 PK고 이렇게 생각되지 않습니까?
06:37
이런 경향이 이번 대선에도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들고요.
06:42
역시 조금 전에 이현종 위원님 말씀하셨지만
06:44
가장 중요한 것은 어느 지역에서 사전투표와 본투표를 합한 최종 투표율이
06:51
어느 지역이 가장 높을 것인가 그게 굉장히 중요하지 않을까
06:55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06:56
정 변호사께 질문 하나 드리면
06:57
지난주부터인가요?
06:59
국민의힘 지도부, 김문수보 포함해서 사전투표 꼭 해야 된다.
07:03
사전투표로 뭔가 투표율을 끌어올려서 바람을 일으켜야
07:07
국민의힘 입장에서 김문수보 입장에서는 대역전극을 노릴 수 있다는 얘기를 했는데
07:11
지금 상황만 봐서는 사전투표율이 모르겠어요.
07:16
보스토파트라고 불리는 높지 않기 때문에
07:18
국민의힘의 시선이라면 좀 고민이 깊을 것 같기도 해서요.
07:22
그러니까 아마 이제 그래도 TK나 아니면 PK나 아니면 보수 지지하는 그러한 분들은
07:28
사전투표에 대해서 왠지 깨림직한 그런 생각을 가진 분들이
07:32
제 주변에도 여러 분 계시더라고요.
07:35
그러니까 국민의힘에서는 어떻게 해야 되느냐.
07:37
사전투표도 많이 해야 되지만 결국은
07:40
6월 3일에 있는 본투표에 총력을 기울여서
07:43
그때 지지하는 지지자들로부터 많은 지지를 얻어야 된다.
07:47
지금은 어쨌든 이번 대선은 그렇게 갈 수밖에 없지 않나 그런 생각 듭니다.
07:51
대구가 11.95%고 부산이 15.34%입니다.
07:57
전라남도가 대구보다 산술적으로 봤을 땐 거의 3배 가까이 투표율이 높은데요.
08:03
장윤윤 변호사님 여기 보면 벌써 700만 명 넘게 770만 명이 투표를 했고
08:10
지난 대선의 사전투표율이 최종 26%, 지지난 대선 26%였고 지난 대선 36%
08:16
최종 투표율은 같았는데 이렇게 되면 최종 투표율이 비슷하고 사전투표율이 높아지고
08:22
지역별로도 글쎄요.
08:24
민주당도 벌써 사전투표율 높은 거에 대해서 반색하는 분위기도 있더라고요.
08:28
그냥 사전투표율이 높으면 전통적으로 민주당이 유리한 거 아니냐라고 했지만
08:34
사실 그 공식도 지난 대선 때는 깨졌었습니다.
08:37
지난 대선 때 사전투표율이 역대급으로 제일 높아서 36.93%를 기록했었는데
08:43
그 당시에 선출된 대통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었기 때문에
08:47
사전투표율이 높다고 해서 꼭 한 진영이 유리하다.
08:51
이 공식은 이제는 더는 유효하지 않은 것 같고요.
08:54
다만 추세로 봤을 때 이 부분이 지난 19대 대선 때는 26%
08:59
그리고 지난 20대 대선 때 36%로 한 10%포인트씩 계속 사전투표율이 올라가고 있다 보니까
09:05
아마 이번에도 40%를 넘지 않겠느냐.
09:09
그렇지만 보시는 것처럼 전체 투표율을 견인하고 많이 올리는 데에는 사전투표가 또 한계지
09:15
그냥 이 사전투표를 하시는 비율 자체가 늘어나고 있는 그런 추세로 자리매김하는 것 같습니다.
09:21
결국은 판세를 알 수 없고 이제 투표가 본격적으로 본투표 성격의 1차 느낌
09:29
사전투표가 시작이 됐기 때문에 결국 역대 최고인 40% 선을 넘을지가
09:35
여러 각 후보 간의 유불리를 따지는 복잡한 해석들이 많이 나올 거예요.
09:41
감사합니다.
09:43
감사합니다.
09:44
감사합니다.
09:45
감사합니다.
추천
3:50
|
다음 순서
김진의 돌직구쇼 - 2월 13일 신문브리핑
채널A News
2025. 2. 13.
8:01
탄핵 반대 집회 열기 커지는데…중도층, 여권 이탈?
채널A News
2025. 2. 18.
13:45
김용 판결문에 이재명 ‘130번’ 언급
채널A News
2025. 2. 7.
1:24
알고 보니 ‘장난감 물총’…은행 털려다 잡혀
채널A 뉴스TOP10
2025. 2. 11.
6:16
사전투표율, 이번에도 ‘서고동저’ 현상…이유는?
채널A News
2025. 5. 31.
4:38
흉기 습격에 실탄 쏴 제압…‘실탄 사용’ 조사받는 경찰
채널A News
2025. 2. 27.
6:54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핀셋 지정’ 전환
채널A News
2025. 2. 13.
3:41
옷걸이에 테이프 붙여 ‘슥’…사찰 침입해 불전함 현금 훔쳐
채널A News
2025. 6. 12.
9:12
민주당, 이재명 ‘1강 독주 체제’…김경수·김동연 ‘도전장’
채널A News
2025. 4. 20.
4:35
김진의 돌직구쇼 - 5월 2일 신문브리핑
채널A News
2025. 5. 2.
8:36
‘이 사람’ 뜨자 與 절반 모였다
채널A 뉴스TOP10
2025. 2. 19.
15:45
공식 선거운동 돌입…국민의힘 선대위 분위기는?
채널A News
2025. 5. 13.
4:00
‘55억 박나래 집’ 침입해 금품 훔친 도둑 잡혔다
채널A 뉴스TOP10
2025. 4. 14.
8:04
‘尹 선고’ 언급 없던 헌재…4월 선고 가시화
채널A 뉴스TOP10
2025. 3. 27.
9:43
‘서울 집값’ 10년간 2.5배 올랐다…상승폭 제일 큰 곳은?
채널A News
4일 전
4:00
불 꺼줬더니…소방에 ‘508만 원 배상’ 요구?
채널A 뉴스TOP10
2025. 2. 24.
9:37
“현역 의원 50~60명과도 접촉”…‘한덕수 국민추대위’ 출범
채널A 뉴스TOP10
2025. 4. 22.
1:30
도로 한복판서 ‘쿨쿨’, 무슨 일?
채널A 뉴스TOP10
2025. 4. 3.
10:26
출마 선언도 안 했는데…‘장미 대선’ 변수된 한덕수
채널A News
2025. 4. 14.
12:05
[돌직구 강력반]‘대구 스토킹 살해’ 40대 나흘 만에 체포
채널A News
2025. 6. 16.
7:20
김민석 의혹 쏟아지자…與 “주진우는요?”
채널A 뉴스TOP10
5일 전
9:21
경선 규칙 바꾼 민주…‘이낙연 트라우마’ 작용?
채널A News
2025. 4. 14.
12:04
‘尹 vs 홍장원’ 직접 공방 벌이나?
채널A News
2025. 2. 4.
2:46
잠자는 ‘치매 머니’ 154조 원…GDP 6.4% 수준
채널A News
2025. 5. 7.
3:26
서울 세운상가 인근 건물서 화재…주변 도로 통제
채널A 뉴스TOP10
2025.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