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16.


[앵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와 더 팩트체크해봅니다.

Q. 이진숙 후보자가 범학계 국민검증단이 '표절'이라고 한 검증 결과를 부인했어요. 검증단의 '카피 킬러'를 통한 검증, 못 믿겠다는 거예요?

'카피 킬러'란 논문이 기존 논문과 얼마나 비슷한지 표절 여부 판별하는 시스템입니다.

앞서 국민검증단은 이 후보자 논문 표절률이 최대 56%에 이른다고 발표했죠.  

그런데 이 후보자는 "신뢰 못한다. 내가 돌려보니 10% 겨우 넘는다"고 했는데요.

이 후보자는 못 믿겠다지만 석박사나 교수들대부분 카피 킬러로  논문 표절 여부따지거든요. 

다만 조건 설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표절률 수치는 달라질 수는 있습니다. 

한 교수는 "아무리 조건 바꿔도 표절률이 50%대에서 10%대로 낮아지기 쉽지 않다"고 했는데요.

이 후보자가 어떤 논문을 어떤 조건 넣어 카피 킬러로 검증했는지는 알 수 없어 추가 검증은 필요합니다. 

Q. 이진숙 후보자가 논문 표절 의혹 부인하면서 "이공계 관행"이라고 수차례 반복했어요. 뭐가 이공계 관행이란 거예요? 맞는 말이에요?

이 후보자는 제자 석박사 논문과 비슷한 시기, 혹은 뒤에 유사한 논문을 발표해 '제자 논문 표절, 가로채기 의혹' 불거졌는데요.

이 후보자 해명은 이겁니다.

"이공계에선 교수와 제자가 같이 공동 연구할 때 기여도에 따라서 제1저자를 결정한다. 

이게 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요.

그러니까 교수가 따온 공동 연구주제에 대해 제자가 논문을 1저자로 먼저 발표해도 교수 기여도가 가장 높으니 1저자 등재 문제가 없단 겁니다.

하지만 학계에선 반박이 나왔습니다. 

"공대만의 논문 저자 표기 원칙 따로 없다"고요.

Q. 이진숙 후보자는 "내가 수주한 연구, 1저자가 당연하다"고 하잖아요. 소명 됩니까?

이 후보자가 이공계 관행 얘기하면서 근거로 든 게 '2016년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 내용'인데요. 

하지만 같은해 발간된 같은 재단 자료집엔 이렇게 적혀있습니다. 

'학생 학위 논문을 학술지 논문으로 거의 그대로 전환하면 학생이 제1저자가 되는 게 적절하다'고요.

기여도로 1저자 따진다는 이 후보자 주장과 배치되죠.

검증단도 공식 반박했습니다. 

"학생 학위 논문 이용해 자신을 학회지 1저자로 한 것 교육자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요.

Q. 그런데 이해가 안 가는 게, 이 후보자는 자신이 사실상 1저자인데도 제자 논문 통과시켰다는 거예요?

바로 그 부분을 학계도 문제삼고 있는 겁니다. 

한 이공계 교수는 "자기가 통과시킨 제자 논문 1저자가 본인이라고 주장하는 건 모순"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래서 오늘 "제자 항의 없었느냐" 질문도 나왔고요. 

Q. 민주당 의원은 "논문표절로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사퇴한 예는 없다"고 주장하더라고요?

민주당 김준혁 의원 주장은 이렇습니다. 

김인철 후보자는 '방석집 논문심사'로 박순애 후보자는 5세 조기입학 건으로 사퇴했단 겁니다.

그것도 낙마 사유였지만, 논문 표절도 분명 문제 됐습니다. 

특히 김병준 부총리는 표절이 아니라고 반박했지만 제자 논문 표절 의혹으로 결국 사퇴했고요. 

민주당 내에서도 "무리한 주장"이란 반응 나왔습니다.


이남희 기자 irun@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정치부 이남희 선임 기자와 팩트를 한번 체크를 해보겠습니다.
00:03이진숙 후보자, 오늘 처음 나왔어요. 해명하려고.
00:06그런데 논문 표절 아니라는 거예요.
00:08그러면서 국민검증단이 쓰는 카피킬러 검증을 확인하는 건데
00:13그걸 신뢰할 수 없다고 얘기를 했습니다.
00:15그러니까요. 카피킬러 같은 경우는 논문이 기존 논문과 얼마나 비슷한지
00:19표절 여부를 따져보는 시스템입니다.
00:23국민검증단이 앞서서 이 후보자 논문 표절률 최대 56%에 이른다.
00:28이렇게 말했죠.
00:28그런데 이 후보자는 보신 것처럼 신뢰 못한다.
00:31내가 돌려보니까 10% 겨우 넘더라. 이렇게 주장을 했습니다.
00:35이 후보자 못 믿겠다지만 보니까 석박사나 교수들 대부분이
00:39카피킬러로 논문 표절 여부를 먼저 따져보더라고요.
00:43그런데 조건 설정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수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00:48그래서 한 교수가 아무리 조건을 바꿔도 표절률이 50%대에서 10%대로 낮아지기는 쉽지 않다.
00:54이런 반응을 보이더라고요.
00:56그런데 이 후보자가 검증했다는 논문 그리고 이 검증단이 검증했다는 논문이 같은지 또 어떤 조건 걸었는지가 지금 나오지가 않았기 때문에 추가 검증은 필요해 보입니다.
01:06또 이진숙 후보자가 논문 표절 의혹 부인하면서 이런 말을 했어요.
01:11이 공개의 관행이다.
01:13이 공개의 관행이라는 게 무슨 말인지 맞는 건지 좀 따져주시죠.
01:17그러니까요.
01:17일단 이 후보자 의혹이요.
01:19제자 석 박사 논문과 비슷한 시기나 혹은 뒤에 유사한 논문을 발표해서 제자 논문 표절 또 가로채기 의혹이 불거진 겁니다.
01:28해명은 이렇습니다.
01:29이 공개에서는 교수랑 제자가 같은 연군 주제로 공동 연구할 때 기여도에 따라서 제1저자를 결정한다 이런 겁니다.
01:37이게 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요.
01:39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교수가 따온 공동 연구 주제 제자가 먼저 논문 1저자로 발표를 해도 교수가 기여도가 높으니까 나중에 1저자 등장하는 거 문제가 없다 이겁니다.
01:50그런데요.
01:50학계 반박이 나왔습니다.
01:52공개만의 논문 저자 표기 원칙은 따로 없다고요.
01:56그러니까 이진숙 후보자는 내가 수주한 연구는 내가 1저자가 되는 게 당연하다는 거예요.
02:02그러니까요.
02:03이게 지금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서 반박을 한 건데 이건 어떤 거예요?
02:06이거를 한번 맞내지 따져볼게요.
02:08아까 이 공개 관행을 얘기하면서 근거로 든 게 있습니다.
02:132016년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 내용입니다.
02:16그런데 이 같은 해 발간된 같은 재단의 자료집에는요.
02:20이 후보자가 말한 것과 다른 게 적혀 있어요.
02:23뭐라고 돼 있냐면 학생 학위 논문을 학술지 논문으로 거의 그대로 전환하면 학생이 제1저자가 되는 게 맞다 적절하다 이렇게요.
02:33그러니까 기여도로 1저자 따진다는 이 후보자의 주장과는 완전히 배치가 되는 겁니다.
02:41오늘 검증단도 공식 반박을 했는데요.
02:45학생 학위 논문을 이용해서 자신을 학해직 1저자로 한 것은 교육자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렇게 비판을 했습니다.
02:53그런데 이 후보자 해명을 듣다가 좀 든 의문이 만약에 본인 사회상 1저자가 맞다면 그 전에 재자 논문이 통과가 됐잖아요.
03:02그럼 그거 통과된 게 잘못된 거 아닙니까?
03:04그러니까요.
03:05바로 학계도 그 부분을 문제가 삼고 있습니다.
03:08한 이공계 교수가 이렇게 말을 했습니다.
03:10자기가 통과시킨 재자 논문 1저자가 본인이라고 주장하는 거 모순 아니냐.
03:14논문 신사 제대로 한 거 맞냐.
03:16이렇게 비판을 했습니다.
03:18그래서 오늘 청문회 때도 재자 항의 없었느냐 이런 질문이 나오기도 했죠.
03:22이거는 민주당 의원 얘기인데 한번 팩트체크가 저도 궁금해서.
03:27그동안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논문 표줄로 낙마했다라고 저희가 소개를 해드렸는데.
03:32민주당 의원이 논문 표줄로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낙마한 사례는 없다고 얘기를 하더군요.
03:37나눠 볼게요.
03:37무슨 말이에요?
03:38민주당 김준혁 의원 주장입니다.
03:40김인철 후보자 경우는 방석집 논문 심사로 또 박순혜 후보자는 5살 조기 입학권으로 사퇴했다.
03:48이겁니다.
03:49그것도 낙마 사유였죠.
03:50그런데 분명히 표절도 문제가 당시에 됐습니다.
03:54특히 김병준 부총리 경우는 표절 아니라고 본인이 굉장히 부인했는데 재자 논문 표절 의혹으로 결국 사퇴를 했습니다.
04:02민주당 내에서도 오늘 물어보니까요.
04:04무례한 주장이라는 반응도 나오더라고요.
04:06네, 잘 들었습니다.
04:07이남희 선임 기자 살펴봤습니다.
04:10이남희 선임 기자 살펴봤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