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아는기자]이진숙, ‘카피 킬러’ 검증 못 믿는다?
채널A News
팔로우
2025. 7. 16.
[앵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와 더 팩트체크해봅니다.
Q. 이진숙 후보자가 범학계 국민검증단이 '표절'이라고 한 검증 결과를 부인했어요. 검증단의 '카피 킬러'를 통한 검증, 못 믿겠다는 거예요?
'카피 킬러'란 논문이 기존 논문과 얼마나 비슷한지 표절 여부 판별하는 시스템입니다.
앞서 국민검증단은 이 후보자 논문 표절률이 최대 56%에 이른다고 발표했죠.
그런데 이 후보자는 "신뢰 못한다. 내가 돌려보니 10% 겨우 넘는다"고 했는데요.
이 후보자는 못 믿겠다지만 석박사나 교수들대부분 카피 킬러로 논문 표절 여부따지거든요.
다만 조건 설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표절률 수치는 달라질 수는 있습니다.
한 교수는 "아무리 조건 바꿔도 표절률이 50%대에서 10%대로 낮아지기 쉽지 않다"고 했는데요.
이 후보자가 어떤 논문을 어떤 조건 넣어 카피 킬러로 검증했는지는 알 수 없어 추가 검증은 필요합니다.
Q. 이진숙 후보자가 논문 표절 의혹 부인하면서 "이공계 관행"이라고 수차례 반복했어요. 뭐가 이공계 관행이란 거예요? 맞는 말이에요?
이 후보자는 제자 석박사 논문과 비슷한 시기, 혹은 뒤에 유사한 논문을 발표해 '제자 논문 표절, 가로채기 의혹' 불거졌는데요.
이 후보자 해명은 이겁니다.
"이공계에선 교수와 제자가 같이 공동 연구할 때 기여도에 따라서 제1저자를 결정한다.
이게 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요.
그러니까 교수가 따온 공동 연구주제에 대해 제자가 논문을 1저자로 먼저 발표해도 교수 기여도가 가장 높으니 1저자 등재 문제가 없단 겁니다.
하지만 학계에선 반박이 나왔습니다.
"공대만의 논문 저자 표기 원칙 따로 없다"고요.
Q. 이진숙 후보자는 "내가 수주한 연구, 1저자가 당연하다"고 하잖아요. 소명 됩니까?
이 후보자가 이공계 관행 얘기하면서 근거로 든 게 '2016년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 내용'인데요.
하지만 같은해 발간된 같은 재단 자료집엔 이렇게 적혀있습니다.
'학생 학위 논문을 학술지 논문으로 거의 그대로 전환하면 학생이 제1저자가 되는 게 적절하다'고요.
기여도로 1저자 따진다는 이 후보자 주장과 배치되죠.
검증단도 공식 반박했습니다.
"학생 학위 논문 이용해 자신을 학회지 1저자로 한 것 교육자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요.
Q. 그런데 이해가 안 가는 게, 이 후보자는 자신이 사실상 1저자인데도 제자 논문 통과시켰다는 거예요?
바로 그 부분을 학계도 문제삼고 있는 겁니다.
한 이공계 교수는 "자기가 통과시킨 제자 논문 1저자가 본인이라고 주장하는 건 모순"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래서 오늘 "제자 항의 없었느냐" 질문도 나왔고요.
Q. 민주당 의원은 "논문표절로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사퇴한 예는 없다"고 주장하더라고요?
민주당 김준혁 의원 주장은 이렇습니다.
김인철 후보자는 '방석집 논문심사'로 박순애 후보자는 5세 조기입학 건으로 사퇴했단 겁니다.
그것도 낙마 사유였지만, 논문 표절도 분명 문제 됐습니다.
특히 김병준 부총리는 표절이 아니라고 반박했지만 제자 논문 표절 의혹으로 결국 사퇴했고요.
민주당 내에서도 "무리한 주장"이란 반응 나왔습니다.
이남희 기자 irun@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정치부 이남희 선임 기자와 팩트를 한번 체크를 해보겠습니다.
00:03
이진숙 후보자, 오늘 처음 나왔어요. 해명하려고.
00:06
그런데 논문 표절 아니라는 거예요.
00:08
그러면서 국민검증단이 쓰는 카피킬러 검증을 확인하는 건데
00:13
그걸 신뢰할 수 없다고 얘기를 했습니다.
00:15
그러니까요. 카피킬러 같은 경우는 논문이 기존 논문과 얼마나 비슷한지
00:19
표절 여부를 따져보는 시스템입니다.
00:23
국민검증단이 앞서서 이 후보자 논문 표절률 최대 56%에 이른다.
00:28
이렇게 말했죠.
00:28
그런데 이 후보자는 보신 것처럼 신뢰 못한다.
00:31
내가 돌려보니까 10% 겨우 넘더라. 이렇게 주장을 했습니다.
00:35
이 후보자 못 믿겠다지만 보니까 석박사나 교수들 대부분이
00:39
카피킬러로 논문 표절 여부를 먼저 따져보더라고요.
00:43
그런데 조건 설정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수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00:48
그래서 한 교수가 아무리 조건을 바꿔도 표절률이 50%대에서 10%대로 낮아지기는 쉽지 않다.
00:54
이런 반응을 보이더라고요.
00:56
그런데 이 후보자가 검증했다는 논문 그리고 이 검증단이 검증했다는 논문이 같은지 또 어떤 조건 걸었는지가 지금 나오지가 않았기 때문에 추가 검증은 필요해 보입니다.
01:06
또 이진숙 후보자가 논문 표절 의혹 부인하면서 이런 말을 했어요.
01:11
이 공개의 관행이다.
01:13
이 공개의 관행이라는 게 무슨 말인지 맞는 건지 좀 따져주시죠.
01:17
그러니까요.
01:17
일단 이 후보자 의혹이요.
01:19
제자 석 박사 논문과 비슷한 시기나 혹은 뒤에 유사한 논문을 발표해서 제자 논문 표절 또 가로채기 의혹이 불거진 겁니다.
01:28
해명은 이렇습니다.
01:29
이 공개에서는 교수랑 제자가 같은 연군 주제로 공동 연구할 때 기여도에 따라서 제1저자를 결정한다 이런 겁니다.
01:37
이게 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요.
01:39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교수가 따온 공동 연구 주제 제자가 먼저 논문 1저자로 발표를 해도 교수가 기여도가 높으니까 나중에 1저자 등장하는 거 문제가 없다 이겁니다.
01:50
그런데요.
01:50
학계 반박이 나왔습니다.
01:52
공개만의 논문 저자 표기 원칙은 따로 없다고요.
01:56
그러니까 이진숙 후보자는 내가 수주한 연구는 내가 1저자가 되는 게 당연하다는 거예요.
02:02
그러니까요.
02:03
이게 지금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서 반박을 한 건데 이건 어떤 거예요?
02:06
이거를 한번 맞내지 따져볼게요.
02:08
아까 이 공개 관행을 얘기하면서 근거로 든 게 있습니다.
02:13
2016년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 내용입니다.
02:16
그런데 이 같은 해 발간된 같은 재단의 자료집에는요.
02:20
이 후보자가 말한 것과 다른 게 적혀 있어요.
02:23
뭐라고 돼 있냐면 학생 학위 논문을 학술지 논문으로 거의 그대로 전환하면 학생이 제1저자가 되는 게 맞다 적절하다 이렇게요.
02:33
그러니까 기여도로 1저자 따진다는 이 후보자의 주장과는 완전히 배치가 되는 겁니다.
02:41
오늘 검증단도 공식 반박을 했는데요.
02:45
학생 학위 논문을 이용해서 자신을 학해직 1저자로 한 것은 교육자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렇게 비판을 했습니다.
02:53
그런데 이 후보자 해명을 듣다가 좀 든 의문이 만약에 본인 사회상 1저자가 맞다면 그 전에 재자 논문이 통과가 됐잖아요.
03:02
그럼 그거 통과된 게 잘못된 거 아닙니까?
03:04
그러니까요.
03:05
바로 학계도 그 부분을 문제가 삼고 있습니다.
03:08
한 이공계 교수가 이렇게 말을 했습니다.
03:10
자기가 통과시킨 재자 논문 1저자가 본인이라고 주장하는 거 모순 아니냐.
03:14
논문 신사 제대로 한 거 맞냐.
03:16
이렇게 비판을 했습니다.
03:18
그래서 오늘 청문회 때도 재자 항의 없었느냐 이런 질문이 나오기도 했죠.
03:22
이거는 민주당 의원 얘기인데 한번 팩트체크가 저도 궁금해서.
03:27
그동안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논문 표줄로 낙마했다라고 저희가 소개를 해드렸는데.
03:32
민주당 의원이 논문 표줄로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낙마한 사례는 없다고 얘기를 하더군요.
03:37
나눠 볼게요.
03:37
무슨 말이에요?
03:38
민주당 김준혁 의원 주장입니다.
03:40
김인철 후보자 경우는 방석집 논문 심사로 또 박순혜 후보자는 5살 조기 입학권으로 사퇴했다.
03:48
이겁니다.
03:49
그것도 낙마 사유였죠.
03:50
그런데 분명히 표절도 문제가 당시에 됐습니다.
03:54
특히 김병준 부총리 경우는 표절 아니라고 본인이 굉장히 부인했는데 재자 논문 표절 의혹으로 결국 사퇴를 했습니다.
04:02
민주당 내에서도 오늘 물어보니까요.
04:04
무례한 주장이라는 반응도 나오더라고요.
04:06
네, 잘 들었습니다.
04:07
이남희 선임 기자 살펴봤습니다.
04:10
이남희 선임 기자 살펴봤습니다.
추천
2:24
|
다음 순서
교수단체 "이진숙 논문 표절 심각"...이진숙 "연구 부정 없어" / YTN
YTN news
2025. 7. 14.
2:12
이진숙 “실질적 저자는 나”…의혹 정면 돌파 의지
채널A News
2025. 7. 13.
1:49
“논문 16개 연구 부정…이진숙, 자진 사퇴하라”
채널A News
2025. 7. 14.
1:57
[단독]이진숙, ‘문제없다’ 판정 받았다더니…학회 “판정 중”
채널A News
2025. 7. 17.
2:39
이진숙, 논문 표절 의혹 전면 부인…“가장 큰 실수는 오탈자”
채널A News
2025. 7. 16.
2:08
[단독]권오을 후보자, 논문 표절 의혹…짜깁기 정황
채널A News
2025. 7. 7.
1:48
이진숙 “내가 수주, 1저자 당연” 이공계 교수들 “우린 바보냐”
중앙일보
2025. 7. 16.
2:16
[단독]제자 논문과 유사…이진숙 “청문회서 설명”
채널A News
2025. 7. 4.
1:45
“김건희 표절 발표에 박수 치더니…與 이중적 태도에 분노”
채널A News
2025. 7. 16.
2:15
이진숙, 논문 표절 의심률 74%…노동장관 후보자, 음주운전 벌금형
채널A News
2025. 7. 2.
21:12
[정치 ON] '강행? 사퇴?' 여론에 깊어지는 고민...대통령 선택은? / YTN
YTN news
2025. 7. 17.
15:06
[뉴스UP] "강선우·이진숙 사퇴" 여론 확산...이 대통령, '결단' 하나? / YTN
YTN news
2025. 7. 16.
1:16
[단독] "이진숙, 본인 논문으로 제자 박사학위" 또 의혹 터졌다
중앙일보
2025. 7. 14.
1:24
[단독] 이진숙 "관행"이라지만, 교육부는 그 관행 징계했다
중앙일보
4일 전
2:17
"학계 상황 이해 못 한 것"...이진숙, 표절 의혹 부인 / YTN
YTN news
2025. 7. 16.
5:36
이진숙 청문회...논문 의혹에 "학계 상황 이해 못 한 것" / YTN
YTN news
2025. 7. 16.
2:07
자녀 조기유학 위법 시인…이진숙 장관 후보 “송구”
채널A News
2025. 7. 9.
1:27
[여랑야랑]이진숙 위한 ‘청문회 꿀팁’?
채널A News
6일 전
3:55
[아는기자]강선우 임명 강행…이진숙과 다르다?
채널A News
4일 전
22:49
[뉴스UP] 이진숙 '지명철회' 강선우 '임명수순'...대통령 판단, 배경은? / YTN
YTN news
3일 전
3:31
'논문 표절 의혹' 이진숙 검증대...강선우 '갑질 논란' 여파 계속 / YTN
YTN news
2025. 7. 16.
39:42
[정치 ON] 이진숙 논문표절 의혹 부인..."학계 상황 이해하지 못한 것" / YTN
YTN news
2025. 7. 16.
1:55
[단독]김 여사, ‘석사 논문 표절’ 이의제기 안 해
채널A News
2025. 2. 13.
4:43
[아는기자]자료 제출 ‘거부’ 증인 ‘0명’…‘맹탕’ 청문회?
채널A News
2025. 6. 25.
5:13
"제자 갑질 안되고 보좌관 갑질은 되나?"...대통령 결정 배경은 [Y녹취록] / YTN
YTN news
3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