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제자 논문 표절’ 등 논문 관련 여러 의혹에 대해 “이공계 관행”이라고 해명했지만, 정작 교육부는 과거 비슷한 사안을 징계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후보자는 지난 16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제자의 학위 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자신을 제1 저자로 기재해 학술지에 발표했다’는 위원들의 지적에 대해 “학생들이 발표하기 전 제가 연구 책임자로 수행했던 연구들”이라며 “제1 저자가 되는 것은 당연한 일로 이공계의 일반적 관행”이라고 맞섰다. 이어 “(‘제자 논문 표절’ ‘논문 가로채기’ 등의 지적은)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교육부는 비슷한 사안을 달리 판단했다. 교육부는 2017년 5월 경북대 종합 감사에서 제자 석사 학위 논문을 요약해 학술지에 게재한 뒤 같은 논문을 교내 학술연구과제 연구 결과물로 제출한 의학과 교수 A씨를 경징계했다. A씨가 받은 연구비 900만원도 회수됐다.
 
2015년 부산교대 감사에서도 제자 4명의 석사학위 논문을 요약·정리해 학회지에 게재하고 이를 연구물로 제출, 연구비 8850만원을 받은 교수 2명을 징계했다. 2018년 충북대에선 제자의 석사학위 논문을 출처 표기 없이 교수 단독 명의로 게재한 뒤 연구과제 실적물로 낸 교수가 중징계를 받은 일도 있었다.
 
한국연구재단도 이 후보자의 말과 달리 ‘이공계 관행’으로 판단하지 않았다. 재단은 과거 제자의 학위 논문 중 일부를 활용한 논문 3편을 학술지에 게재하고, 이를 연구비 지원 기관의 결과물로 제출한 교수 B씨의 행위를 ‘부당한 저자표시’에 해당한다고 봤다. B씨는 제자 논문 속 일부 통계 등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출처를 밝히지 않았고 저자 명단에서도 해당 제자를 제외했다. B씨는 재단 측에 “제자에게 승낙을 받았고, 논문 역시 내가 지도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소명했지...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2838?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범학계 국민검증단이 20일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해당 논문은
00:08논문이 아닌 복제물 수준이라며 이 후보자는 자진 사퇴하고 대통령실은 지명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00:16검증단은 이날 성명을 통해 이 후보자의 주요 논문을 원문과 일대일 대조하는 방식으로 정밀 검증한 결과
00:23독사 붙여넣기 수준의 구조적 유사성이 확인됐다며 단순한 표절을 넘어 학술적 진실성과 연구윤리를 정면으로 훼손한 심각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00:33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논문 2개와 제자 A씨의 박사학위 논문을 비교해 검증했다.
00:40검증단은 표절 탐지 프로그램으로는 포착할 수 없는 실험 설계와 문단 구성, 해석 등 본질적 유사성을 직접 원문 대조를 통해 발견했다며
00:49학문을 모독하고 연구윤리를 위반한 자가교육 행정을 총괄한다는 것은 대한민국 교육의 수치라고 강조했다.
00:56이와 함께 검증단은 이 후보자가 임명될 경우 교육부의 학술연구윤리 정책은 정당성과 설득력을 잃을 것이라며
01:04필요시 국제학술기구와 연대해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01:08한편 이 후보자는 지난 16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제자 논문 표절 등 논문 관련 여러 의국에 대해
01:15이 공개 관행이라고 해명했지만 정작 교육부는 과거 비슷한 사안을 징계한 것으로 확인됐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