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앵커]
아는 기자, 정치부 이준성 기자와 함께합니다.

Q. 방금 발표가 됐는데, 강선후 후보자는 살렸군요?

네. 우상호 정무수석 발표 내용 앞서 보셨듯이, 지명 철회는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 한 명 뿐이었습니다. 

강선우 후보자는 지명하겠다는 뜻을 밝힌 거죠.

Q. 결국 강 후보자를 살리는 군요? 부담이 될텐데 이유가 뭘까요?

우 수석은 오늘 브리핑에서 강 후보자를 살리는 이유를 별도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대통령이 종합적으로 내린 결론”이라고요.

우 수석이 종합 보고를 한 건 어제였지만, 저희가 취재해보면 그 전부터 강 후보자는 살릴 것 같다는 기류가 대통령실과 여당 내에서 일부 감지가 됐습니다.

강 후보자는 이진숙 후보자와 다르다, 라는 건데요.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결국 일을 잘 할 수 있냐 없냐가 중요한 기준이 될 것 같다"고 했습니다.

이진숙 후보자는 논문 표절보다 답변을 제대로 못한 '전문성' 부족이 더 문제라는 겁니다.

[고민정 / 더불어민주당 의원]
"툭하고 질문만 나와도 술술술술 후보자님의 교육적 철학이 나와야 하는 거거든요. 굉장히 실망스럽다."

반면 강 후보자는 여성가족부 정책 관련 질의에 무리 없이 답했고, 적격자라는 겁니다.

Q. 그래도 민주당 보좌진에, 시민단체에서도 사퇴 얘기를 하는데 부담이 없을까요?

여기서부터는 강 후보자 특수성이 작동한 걸로 보이는데요.

강 후보자는 현역 의원이죠.

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래, 현역 의원 낙마 사례는 '0명'입니다. 

우 수석은 오늘 국회의원이냐, 아니냐가 고민에 영향을 미치진 않았다고 했지만, 20년 넘는 관행이 깨진다면, 강 후보자의 정치 인생에 치명적인 타격이 되는 거죠.

Q. 이재명 대통령이 전에 이런 말 한 적 있어요. "이진숙 후보자는 내가 추천한 사람이 아니다" 그런 인연도 영향을 미쳤을까요?

아무래도 무시할 수 없었을 거라는 게 여권 내 해석입니다.

강 후보자는 지난 2021년 대선 경선 때부터 이재명 후보 캠프에 합류하면서 '친명'으로 분류돼 왔습니다.

선대위 대변인도 맡고, 대통령 당선 후엔 국정기획위원회에 합류했죠.

정책적, 정무적으로 신뢰가 깊습니다. 

인사 청문 과정에서 이 대통령이 단식 투쟁하던 시절, 강 후보자가 이불을 덮어주며 챙겼던 영상이 재부각되기도 했습니다.

Q. 이진숙 후보자는 지명 철회를 해버렸어요?

네, 보통 자진사퇴 형태로 퇴로를 열어주는 경우가 많은데 지명 철회를 했다는 건, 내가 잘못 뽑았다고 인정을 한 거죠. 

강 후보자는 살리는 대신, 민심을 내가 무시하는 건 아니다는 의지도 보여준 걸로 해석됩니다.

Q. 그런데 진보 시민단체들도 반대했는데 부담은 없을까요?

지난주 참여연대에 이어 오늘 경실련도 "강선우 후보자 임명하면 국민 지지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죠.

민주당 전직 보좌진 협의회도 사퇴 요구를 한 상황에서, 이 대통령의 강행 부담 되는 대목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여론이 버텨줬거든요.

금요일에 발표된 여론조사를 보면, 이 대통령 국정 지지도가 지난주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강 후보자 인사청문회 직후 3일간 진행된 조사였는데, 지지율에 영향을 못 미친 거죠.

어제 송언석 원내대표가 안된다고 했는데도 강행하면서 국민의힘도 강하게 반발할 것 같죠.

일단은 여론 믿고 부담 되더라도 가보겠다, 결정한 걸로 보입니다.

여권 내에서는 여론을 달랠 추가 행보로 결자해지 해야 하지 않겠냐, 의견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이준성 기자였습니다.




이준성 기자 jsl@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아는 기자, 정치부 이준성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00:05이 기자, 조금 전에 발표가 됐습니다.
00:08강선우 후보자는 일단 살렸군요.
00:11우상호 정무수석 발표 내용 앞서 보셨듯이 지명철에는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한 명뿐이었습니다.
00:18강선우 후보자는 지명하겠다는 뜻을 밝힌 거죠.
00:21부담이 될 텐데 이유가 뭘까요?
00:23우수석은 오늘 브리핑에서 강 후보자를 살리는 이유를 별도로 설명하진 않았습니다.
00:28대통령이 종합적으로 내린 결론이라고요.
00:31우수석이 종합보고를 한 건 어제였지만 저희가 취재해보면 그 전부터 강 후보자는 살릴 것 같다는 기류가 대통령실과 여당 내에서는 일부 감지됐습니다.
00:41강 후보자는 이진숙 후보자와는 다르다라는 건데요.
00:45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00:47결국 일을 잘할 수 있냐 없냐가 중요한 기준이 될 것 같다고 했습니다.
00:52이진숙 후보자는 논문 표절보다 답변을 제대로 못한 전문성 부족이 더 문제라는 겁니다.
00:58툭 하고 질문만 나와도 술술술술 후보자님의 교육적 철학이 나와야 되는 거거든요.
01:06굉장히 실망스럽다.
01:08반면 강 후보자는 여성가족부 정책 관련 질의에 무리 없이 답했고 적격자라는 겁니다.
01:14그런데 이 기자 강 후보자 같은 경우에는 민주당 보좌진 뿐만 아니라 시민단체에서도 사퇴 얘기를 했는데요.
01:22부담이 없을까요?
01:23여기서는 강 후보자의 특수성이 작용했던 걸로 보입니다.
01:27강 후보자는 아시다시피 현역 의원이죠.
01:30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래 현역 의원 낙마 사례는 0명입니다.
01:35우수석은 오늘 국회의원이냐 아니냐가 고민에 영향을 미치진 않았다고 했지만
01:3920년 넘는 관행이 깨진다면 강 후보자의 정치 인생에도 치명적인 타격이 되는 겁니다.
01:45이재명 대통령이 전에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01:47이진숙 후보자는 내가 추천한 사람이 아니다.
01:51혹시 이런 인연이 오늘 결정에 영향을 좀 미쳤을까요?
01:55아무래도 무시할 수는 없었을 거라는 게 여건 내 해석입니다.
01:59강 후보자는 지난 2021년 대선 경선 때부터 이재명 후보 캠프에 합류하면서 친명으로 분류돼 왔습니다.
02:06선대위 대변인도 맡았고 대통령 당선 후엔 국정기획위원회에 합류했죠.
02:11정책적 그리고 정무적으로 신뢰가 깊습니다.
02:13인사 청문 과정에서 이 대통령이 단식 투쟁하던 시절 강 후보자가 이불을 덮어주며 챙겼던 영상이 재부각되기로 했습니다.
02:22이진숙 후보자는 지명 철회를 해버렸는데 이건 어떤 뜻입니까?
02:26보통은 자진 사퇴 형태로 퇴로를 열어주는 경우가 많은데요.
02:30지명 철회를 했다는 건 내가 잘못 뽑았다고 인정을 하는 겁니다.
02:35강 후보자는 살리는 대신 민심을 내가 무시하는 건 아니라는 의지도 보여준 걸로 해석됩니다.
02:40마찬가지로 앞서 진보 시민단체들도 반대를 했습니다.
02:44이곳에 대한 또 다른 부담은 없을까요?
02:46말씀하신 것처럼 지난주 참여연대에 이어 오늘 경실련에서도 강선 후 후보자가 임명하면 국민 지지를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02:55민주당 전직 보좌진 협의에도 사퇴 요구를 한 상황에서 이 대통령의 강행이 부담되는 대목 분명히 있습니다.
03:01하지만 아직은 여론이 버텨졌습니다.
03:04금요일에 발표된 여론조사를 보면 이 대통령 국정 지지도가 지난주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03:11강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직후 3일간 진행된 조사였는데 지지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겁니다.
03:18어제 송원석 원내대표가 안 된다고 했는데도 강행하면서 국민의힘도 강하게 반발할 것 같죠?
03:24일단은 여론을 믿고 부담이 되더라도 가보겠다고 결정한 걸로 보입니다.
03:28다만 여권 내에서는 여론을 달랠 추가 행보로 강선 후보자가 직접 결자 해제해야 하지 않겠냐는 의견도 나옵니다.
03:36네,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
03:39감사합니다.
03:40감사합니다.
03:41감사합니다.
03:42감사합니다.
03:43감사합니다.
03:44감사합니다.
03:45감사합니다.
03:46감사합니다.
03:47감사합니다.
03:48감사합니다.
03:49감사합니다.
03:50감사합니다.
03:51감사합니다.
03:52감사합니다.
03:53감사합니다.
03:54감사합니다.
03:55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