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7. 6.
카테고리
📺
TV트랜스크립트
00:00:00성적을 부탁해 티처스 시즌 2 함께 하고 있습니다.
00:00:14제주도 소녀 혜인이 기억나십니까?
00:00:16네.
00:00:16혜인이 기억나시죠?
00:00:17독순이였어요.
00:00:18제가 너무 부러워가지고 평소 배를 잡고 있었는데
00:00:21왜요?
00:00:22맞아요.
00:00:23고등학교 선행만 나가서
00:00:25승재쌤이 그러지 마라 중학 치마를 하는 걸로
00:00:29공부 방법을 바꿔봐라.
00:00:30맞아요.
00:00:31얘기했지 않습니까?
00:00:32그래서 녹화 후에 공부 방법을 싹 바꿔봤대요.
00:00:35그랬더니 KMO 기아 문제가 풀렸습니다.
00:00:38오 올림피아도.
00:00:40증거 사진입니다.
00:00:42중학 심화에 집중하니까 이게 풀리더라.
00:00:45이게 정말 승재인 선생님의 매직인 것 같아.
00:00:48중학 심화만 제대로 풀어도 되네 풀리네.
00:00:51선행이 답이 아니었네요.
00:00:53보고야 믿느냐.
00:00:55보고야 믿었다.
00:00:57매번 놀라운 성적 매직을 선상하는 우리 티처스에게
00:01:00또 어떤 분들이 오셨을까요?
00:01:02도전 학생과 가족 모셔보겠습니다.
00:01:03나왔어요.
00:01:04어서 오세요.
00:01:07어머.
00:01:08뭐야.
00:01:09뭐야.
00:01:10뭐야.
00:01:11동생이.
00:01:12누나 따라 하겠지 뭐.
00:01:13동생이 아니.
00:01:14아니네.
00:01:15본인이 주인군이야?
00:01:16뭐야.
00:01:17뭐야.
00:01:18너무 애기인 것 같아?
00:01:19세상에.
00:01:20얘가 도전 학생이야.
00:01:21진짜.
00:01:22도전 학생이 아닌데?
00:01:23형 어딨어요 형.
00:01:24얘 금쪽이 아닌데 잘못 온 거 아니야?
00:01:26어머나.
00:01:27저는 성남동 초에 다니고 있는 초삼량아엘입니다.
00:01:31초등학교 3학년이에요.
00:01:32귀여워.
00:01:33초삼.
00:01:34티처스 역사상 최연소 도전 학생이에요.
00:01:37그러니까.
00:01:38아엘이가 직접 신청한 거예요?
00:01:39엄마가 신청하셨고요.
00:01:41적절하게 티처스 방송 잘 신청해 주신 것 같아.
00:01:44어머나.
00:01:45야.
00:01:46얘 말 왜 잘해?
00:01:47적절한 단어를 알아?
00:01:49적절한.
00:01:50왜 적절했다 생각해요?
00:01:52이 티처스에서 선생님이 알려주시는 정보를 통해서
00:01:56저가 하나 더 발전할 수 있잖아요.
00:02:02야.
00:02:03소름 돋았어.
00:02:04말을 왜 이렇게 잘해?
00:02:05나 오늘 또 대학 온 예정이네.
00:02:06아니 말을 왜 이렇게 잘해?
00:02:08조리있다.
00:02:09역대급인데요?
00:02:10역대네.
00:02:11역대급은 김유칠.
00:02:144살 때 한 걸 그랬어?
00:02:16컴퓨터가 메가팬이 있을 것 같아.
00:02:21대박인데?
00:02:22역대급?
00:02:23역대급은?
00:02:24역대급은?
00:02:25역대급은?
00:02:26역대급은?
00:02:27오 대박이다.
00:02:28저는 7살 때는 바둑대회에서 1등을 했어요.
00:02:31바둑을 둬?
00:02:33상바벌성?
00:02:34대박이다.
00:02:35어머머머머머.
00:02:36멋있다.
00:02:38영화다 영화.
00:02:40그냥 넣어버렸네.
00:02:41상의.
00:02:42대박.
00:02:43공부가 보세요.
00:02:44이세종이 좀 닮았어.
00:02:46어떻게 평소에 좀 닮았어?
00:02:48웃는 상인데.
00:02:49저는 공부하는 게 제일 좋고 궁금한 것도 엄청 많아요.
00:02:53귀여워.
00:02:54진짜.
00:02:55왜 구구단은 구구단이에요?
00:02:56어머.
00:02:57대한민국의 무게중심은 어떻게 해요?
00:02:59대한민국의 무게중심은 어떻게 해요?
00:03:00대한민국의 무게중심은 어떻게 해요?
00:03:01대한민국의 무게중심은 어떻게 해요?
00:03:02대전 정도 아닐까?
00:03:03왜 순서상 0, 0은 아무 사분면에서 포함되지 않는 거예요?
00:03:07어머 어머 질문 수준봐.
00:03:09아 몰라요?
00:03:10엄마 다 와.
00:03:11아 이해된다.
00:03:13엄마 어떡하러.
00:03:14그런데 엄마 아빠랑은 말이 안 통해서요.
00:03:17말이 안 통해.
00:03:19티처스 선생님들에게 물어보고 싶은 게 정말 많거든요.
00:03:22진짜?
00:03:23정순재 선생님.
00:03:25선생님은 피곤한 지수혈이 뭔지 아시죠?
00:03:28피곤한 지수혈을 안 하네요.
00:03:30말이 돼 이게?
00:03:32그게 뭐야.
00:03:33뭐야.
00:03:34어째서 자연 속에서 피곤한 지수혈이 성립하는 건가요?
00:03:37와.
00:03:38조정식 선생님.
00:03:39영어책을 빨리 읽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00:03:41와 귀여워.
00:03:42꼭 알려주세요.
00:03:43도와주세요.
00:03:44티처스.
00:03:45와우.
00:03:47귀여워.
00:03:48미치겠다.
00:03:49아니 근데 지금 8살에 바둑대회를 재패했어요.
00:03:52지금 공행급수로는 성급하고 있고요.
00:03:567살 때는 세계 어린이분들 때문에 5등 했어요.
00:03:59전 세계.
00:04:00진짜 대단하다.
00:04:01더 소름 끼치는 거는 지원서 맨 마지막 한 번이에요.
00:04:05뭐라고 했어요.
00:04:06어머 귀여워.
00:04:07티처스 얘기 하고 싶은 말.
00:04:08어머 귀여워.
00:04:09티처스 얘기 하고 싶은 말.
00:04:10티처스 얘기 하고 싶은 말.
00:04:11한 수 잘 배우겠습니다.
00:04:13와.
00:04:14티처스 얘기.
00:04:15티처스 얘기.
00:04:16이게 바둑요거잖아요.
00:04:17바둑 들어온 거예요.
00:04:18바둑 들어온 거예요.
00:04:19키우시면서 얘는 진짜 너무 남과 다르다라고 느낀 적이 많았을 것 같은데.
00:04:23일단 아예린은 뭐든지 하나를 가르쳐주면 스펀지처럼 쫙쫙 빨아들이는 약간 교육의 가성비가 굉장히 좋은 친구거든요.
00:04:32교육 가성비.
00:04:33너무 좋겠다.
00:04:34물을 알려줘도.
00:04:35슥 던지면 싹 그냥.
00:04:36네네.
00:04:37완전 다르다.
00:04:38아예린이의 고민은 좀 차원이 다릅니다.
00:04:40그러네요.
00:04:41일단 승재쌤.
00:04:42네?
00:04:43피보나치 수요를 아세요?
00:04:44네.
00:04:45뭐예요?
00:04:46앞에 있던 수와 그 두 번째 전에 있던 수를 더한 수가 그 다음 수가 되는 게 특이해요.
00:04:52그러면 피보나치 수요를 얘기해보자.
00:04:54내가 시작할게.
00:04:551.
00:04:561.
00:04:572.
00:04:583.
00:04:595.
00:05:008.
00:05:0113.
00:05:02그렇게 쭉 나갔을 때 어떤 항이랑 그 앞에 있는 숫자를 나누면 점점 어떤 숫자에 가까워진대요.
00:05:08황금비.
00:05:09황금비.
00:05:11뭐라고 황금비?
00:05:12황금비.
00:05:13황금비.
00:05:14황금비.
00:05:15황금비.
00:05:16그게 뭐야.
00:05:171.618.1이라 그랬어요.
00:05:18황금비.
00:05:19언제 배우는 거야 그거.
00:05:20황금비.
00:05:21황금비는 세상에 있는 자연의 이치가 황금비에 이제 가까운.
00:05:24그렇게 황금비를 따르는 것들만 생존해서 살아남은 걸로 또 알려져 있고.
00:05:29옆에서 어머님이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00:05:32아니 그 정식쌤 영어책 빨리 읽는 법은 어떻게 해야 돼요.
00:05:36근데 좀 재밌는 거는 빠르게 읽는 법 얘기를 하잖아요.
00:05:39이게 세계적인 기업을 읽은 많은 사람들 있잖아요.
00:05:42딜 게이치라든가 일론 머스크라든가 이런 사람들한테 꼭 하나의 초능력을 가지고 싶다면 뭘 가지고 싶냐고 얘기하네요.
00:05:48공통적으로 제일 많이 하는 얘기가 텍스트를 빠르게 읽고 빠르게 이해하고 싶다거든요.
00:05:52어머 왜 많이 많이 습득하고 싶어서.
00:05:55그래서 이것도 지적 호기심인 것 같아서 되게 좀 좋네요.
00:05:59더 빨리 읽어서 더 많이 알고 싶어요?
00:06:02빨리 읽어서 빨리 해석하고 숙제 빨리 끝내고 싶어요.
00:06:05숙제를 빨리 끝내고 싶어요.
00:06:06숙제 빨리 끝내고 싶어요.
00:06:07중요한 일이죠.
00:06:08영어를 싫어하시는군요.
00:06:11이럴 땐 또 애기네.
00:06:12귀여워.
00:06:13일단은 범상치 않은 친구.
00:06:15범상치 않은 친구.
00:06:17머리는 엄마 닮았어요 아빠 닮았어요?
00:06:20닮았으면 고민이어서 여길 안 나왔을 것 같아요.
00:06:23안 닮아서.
00:06:24두 분의 머리를 안 닮아서.
00:06:26저희도 저희한테 이런 아이가 나올 거라서 생각을 못 했거든요.
00:06:30매일이 약간 당황의 연속이.
00:06:32매일이 매일이.
00:06:33네네.
00:06:34보통 이때 초, 3학생들은 되게 많이 공부해서 힘들어지는 시기예요 원래는.
00:06:393학년 때 확 어려워지죠.
00:06:40맞아요.
00:06:41초등학교 1학년 2학년까지는 국어 수학 통합 교과로 배우다가
00:06:443학년 때 사회하고 과학하고 영어를 처음 배워요.
00:06:47완전 분과가 딱 되는 시기예요.
00:06:48그리고 특히 수학이 이제 마지막 건에 분수와 소수가 되는 거예요.
00:06:51맞아요.
00:06:52이때 정말 살면서 첫 번째 스포자가 된다 이런 말이 있어요.
00:06:55맞아요.
00:06:56그래서 이때 아이 공부를 위해서 부모님이 힘들어지는 시기예요 원래.
00:06:59맞아요.
00:07:00그러면 티처스 최연소 조선학생.
00:07:05초3 아예린은 과연 어떤 고민이 있을까요?
00:07:09고민이 있긴 할까요?
00:07:10너무 궁금해요.
00:07:11너무 궁금해요.
00:07:12보여드리겠습니다.
00:07:13væ� 쌍 안전릿 scissors
00:07:19유튜브 트레이 everyone
00:07:21amidurb interesting
00:07:22Monster
00:07:25왠케 일질 one
00:07:266시에 일어나요?
00:07:27뭐예요?
00:07:28이거 zabak
00:07:32어머 세수도
00:07:33야물딱치게 세수한다
00:07:35어머 어머 어머 어머 어머
00:07:39설마
00:07:40어머 어머 어머
00:07:42아니 아애라 그렇구나
00:07:44나 오늘 집에 가서 잡돌이 한다 애들
00:07:47저건 말이 안 돼
00:07:48점수
00:07:49한자
00:07:52한자 되게 어려운 거 같은데
00:07:55그럼 어려운 건데
00:07:5610살이죠 지금
00:07:58네
00:07:58아 뭘 물어보시려고
00:08:01믿기지가 않네 정말
00:08:03아유 예뻐라
00:08:06동생도 여동생이네
00:08:08아침밥 다 됐다 밥 먹자
00:08:10토마토 달걀돋밥
00:08:11맛있겠다
00:08:12근데 오늘 밥은
00:08:13봐봐 뭔가 특징이 있어
00:08:16오 밥으로도 대화를 안
00:08:18빨간 소판남보라고
00:08:20맞아
00:08:20무지개 빛깔하고 비슷하게 하려고
00:08:23아니 엄마도 차 안 보니까
00:08:25되게 노력 많이 하시는 거예요
00:08:27그러니 그냥 엄마 아니에요
00:08:28아일도 맛있어?
00:08:30아빠 황금물은
00:08:33응
00:08:34파이처럼 무리수거든요
00:08:36파이가 무리수야?
00:08:37그거 어떻게 알았어?
00:08:38원에 기름문에 원에 둔네를 해야 되거든요
00:08:41어머나
00:08:42그걸 하면 3.14 1억 5에 6 5 3 5 8 9 치고
00:08:45어머 어머 어머 어머 어머
00:08:46이거 몇 자리까지 와
00:08:47그걸 외우고 있어?
00:08:48어디까지 외우고 있어?
00:08:49아빠는
00:08:49여기 5천 자리까지 기록했거든요
00:08:51아빠 저거
00:08:52아빠는 못 외웠으니까 보고 있을 테니까
00:08:54과연 몇 가지 외우는지 한번 보여줘
00:08:56네
00:08:57어머 어머 어머 어머 어머
00:08:58야 이런 모습도 처음 보네
00:09:00쟤는 저거 게임하고 있는 거예요
00:09:01맞아요
00:09:02어허
00:09:033.14 1 5 9 6 5 3 5 8 9 7 9
00:09:11진짜 맞았어?
00:09:124 5 2 3 8 4 1 1 6 8 4 1 9 7 3 9 9 3 7 5 1 0
00:09:21오 여기까지 50
00:09:23몇 가지 외웠다고?
00:09:23여기까지 50
00:09:2450
00:09:2550
00:09:25어떻게 외우는 거야? 그냥 외우는 거야?
00:09:27다시 그냥 3.14부터 하면 그냥 자연스럽게 4338 32 7 9가 나오고
00:09:31어머
00:09:31왜?
00:09:32그냥 머릿속에 기억을 전화한 거야
00:09:34정승재 쓰는데 못 외우지 않아?
00:09:35아니 뭐야 내가 어떻게 알아 저거
00:09:37하하하하하하
00:09:39저거 어떻게 알아?
00:09:41아까 80짜리까지 외우고 왔게 됐거든요
00:09:4380짜리까지 외웠다고?
00:09:45아까 아까 그랬는데
00:09:464자리를 까먹었어요
00:09:474자리를 까먹었어요
00:09:48그러면 70여석까지 나가?
00:09:50그게 어디니?
00:09:51그게 어디야?
00:09:52아들
00:09:53오늘 무슨 책 읽을 거야?
00:09:55도서관에서?
00:09:56저 수학 책이요
00:09:57수학 책?
00:09:58수학 진짜 좋아하는구나
00:09:59그런가 보다
00:10:00수학을 사랑하네
00:10:01아니 어머님도 도서관에도 데려가시고 참 노력 많이 하시는 거 같아
00:10:04그러니까 맞아요
00:10:06알아서 읽어졌기니 얼마나 좋을까
00:10:09얼마나 행복하실까
00:10:11사랑스럽다
00:10:12아 잠깐만 이제 다 봤던 거 같아
00:10:15봤던 거다
00:10:16저기는 봤던 거고
00:10:17음 여기는 다 읽었어
00:10:21어머 어머 어머 어머 어머
00:10:22이 도서관 업데이트 좀 해야겠다
00:10:24그러네
00:10:25도서관이 못 따라가네
00:10:26못 따라가네
00:10:27엄마 여기서 볼만한 책이 없어요
00:10:30볼만한 책 없어
00:10:31어머 이거 어디 가야 돼 그러면 또
00:10:33뭐야 좀 미워가 많대요 3층 3층
00:10:353층?
00:10:363층은 근데 너무 짜는 못하는데
00:10:38어? 어? 어디에요?
00:10:40아이들이 깜짝 놀러가서는 조용히 말해야 돼.
00:10:43알겠어.
00:10:44어머.
00:10:45와.
00:10:46이 수준이 이제는 전문도서로.
00:10:49대수학.
00:10:50이게 이해가 될까요?
00:10:53뭔가 재밌겠다.
00:10:55여기.
00:10:56뭔데?
00:10:57확통이다.
00:10:58확률과 통계?
00:10:59확률과 통계.
00:11:00미적.
00:11:01어?
00:11:03와.
00:11:04궁금한가 보다.
00:11:05진짜 궁금한가 보다.
00:11:07우와.
00:11:12웬일이야.
00:11:14뭘 제일 잊고 싶어? 이 수준이?
00:11:16이렇게.
00:11:17뭐야?
00:11:18와 이게 정말.
00:11:19뭐야.
00:11:20어머.
00:11:21어머.
00:11:22찬란한 멸종은 대멸종이라는 생물의 75%가 한 번에 없어지는 것을 말해요.
00:11:28아 귀여워. 미치겠다.
00:11:30아 진짜?
00:11:31네.
00:11:32어머니 영혼 좀 좀.
00:11:34영혼을 좀 더 줘.
00:11:36그리고 삼각함수는
00:11:38어째서 삼각형이 이런 곡선 모양을 그리게 되는지?
00:11:41그런 것도 알고 싶고.
00:11:43그런 것도 알아?
00:11:44삼각함수가 곡선인 걸 알아?
00:11:47어?
00:11:48고장해.
00:11:49그럼 어떻게 알지?
00:11:50어떻게 알아요?
00:11:51그러니까 그걸 어떻게 알지?
00:11:52미적분은 녀석에 가면 많이 어려워지니까
00:11:55지금부터 살짝 개념을 다져놓으려고 해요.
00:11:58개념을 다져놓을 거예요.
00:11:59개념을 다져놓을 거예요.
00:12:00저런 표현을 어떻게 배웠어?
00:12:02누구한테 배웠니?
00:12:03그럼 그 말을.
00:12:04이거 보면 개념을 다질 수 있을까?
00:12:07너무 어려울 것 같은데?
00:12:08아니에요.
00:12:09재밌어 보여?
00:12:10마냥 못해도 할 거예요.
00:12:11그래.
00:12:12저의 한계치를 시험해보는 게 좋아요.
00:12:15한계치를 시험해?
00:12:16나의 한계를 알고 싶대.
00:12:17넘사벽이야.
00:12:18다른 세상에서 온 것 같은 느낌?
00:12:19그러니까.
00:12:20제일 흥미로웠던 게 어떤 거예요?
00:12:23자매는 게 너무 많은데.
00:12:25그래도.
00:12:26수학 퍼즐과 논리 패러독스라는
00:12:29뉴턴 잡지가 있어요.
00:12:31뉴턴 잡지가 있어요.
00:12:32뉴턴 잡지.
00:12:34미치겠다.
00:12:35수학과학 쪽 확 꽂혀있다.
00:12:37확 꽂혀있다.
00:12:38문제 중에서 되게 재밌는 문제가 나온 건가요?
00:12:40아 그랬어?
00:12:41진짜 미치겠다.
00:12:42맞아 맞아 맞아.
00:12:43근데 어머니 진짜 아이를 책 너무 많이 읽죠.
00:12:45하루에 몇 권 정도 읽고 그러면.
00:12:47학교 도서관을 가장 많이 지금은 이용하고 있는데
00:12:51빌린 책이 300권이 지금 넘어가는
00:12:55책벌레.
00:12:57유명하겠다, 학교에서.
00:12:59진짜 아이를 책이 너무 많이 읽죠.
00:13:00하루에 몇 권 정도 읽고 그러면.
00:13:02학교 도서관을 가장 많이 지금은 이용하고 있는데
00:13:05빌린 책이 300권이 지금 넘어가는
00:13:10책벌레.
00:13:12유명하겠다, 학교에서.
00:13:14마일이가 아침에 학교 등교하면서 1차로 먼저 대출을 해요.
00:13:18대출을 해서 점심시간 전까지 쉬는 시간을 1차 책을 읽고
00:13:23점심 먹고 그걸 반납하고 2차 대출을 해요.
00:13:27그러면 이제 학교할 때 반납하고 또 3차 대출을 하고.
00:13:33아까 보니까 영상에서 4살 때 한글을 뺐더라고요.
00:13:37아니 우리 딸 얘기 안 할 수 없는 게 우리 딸은 7살 때.
00:13:40아니 혜진 씨 얘기하지 맙시다.
00:13:42아니 그렇긴 한데 너무 지금.
00:13:44저도 부르부르 올라가요.
00:13:46또래보다 엄청나게 빠른 거거든요.
00:13:49사실 집에서 뭔가 가르쳐 준 거는 없어요.
00:13:52저희는 이제 다만 해줬던 거는 흑백밖에 보이지 않는 신생아일 때부터 책을 되게 많이 읽어줬어요.
00:13:58기저귀 차고 누워 있을 때 옆에서 저도 같이 누워서 책 읽고 또 책 읽고.
00:14:04아마 그 글자가 그냥 이렇게 들어간 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좀 들긴 해요.
00:14:09제가 지금 아이리 좀 국어 텍스트 읽고 이해하는 능력 한번 보려고 해요.
00:14:14좀 가지고 없는데.
00:14:16글자 읽을 수 있겠어?
00:14:17안 졸려?
00:14:19가만히 앉아 있는 거다 뭘 하는 걸 좋아.
00:14:21이거 재밌을 거야 수학 관련한 거라서.
00:14:23미션이 주어진다.
00:14:24아이리 여기서부터 여기까지만 한번 읽어볼래?
00:14:28그리고 이해되는 방법을.
00:14:30아니 아니 혼자서 혼자서 읽고 이해되면 삼촌한테 얘기해주면 돼.
00:14:33기네.
00:14:34일반적으로 초등학교 3학년 아이들이 읽고 이해하면 글은 안 읽을 수 있죠.
00:14:38진짜 집중력도 좋다.
00:14:41대단한 집중력.
00:14:43집중력이 너무 좋아.
00:14:46뭐야 한 표시 다 읽었어?
00:14:50그러니까 왜 이렇게 빨리 읽어.
00:14:52텍스트 읽은 속도 장난 아니야.
00:14:53정보 처리 속도가 장난 아니야 지금.
00:14:55표 어떻게 하는지 이해가?
00:14:57그러니까 여기 앞에 행, 열.
00:15:00열, 열, 열, 열, 열, 열, 열, 열, 열, 열, 열.
00:15:02그리고 약간 시저 암호 같은 방법으로 이렇게 돌려서
00:15:07그 나오는 영어 알파벳 가지고 해석하는 거예요.
00:15:11와?
00:15:12너 잠깐만 나와봐봐.
00:15:13왜 또 와야?
00:15:14저 저 저 난습기 이거 한번 해봐주세요.
00:15:16얘 할 것 같아.
00:15:17난 이따가 포기했어 나 진짜.
00:15:18간다 간다.
00:15:19한번 해볼래?
00:15:20이거 이거 어떻게 나오는지 한번 해볼래?
00:15:22나 한번 해봐봐.
00:15:24얘 미쳤다.
00:15:25현타우도 향타.
00:15:26응.
00:15:27어.
00:15:28아.
00:15:29감사합니다.
00:15:30오.
00:15:31그 다음에 맨 마지막 거만 하면 되겠다.
00:15:35오.
00:15:36러브였네.
00:15:37오 잘하네.
00:15:38하하.
00:15:39빠르다 너무 빨라.
00:15:40빨랐다.
00:15:41야 너 너무 잘한다.
00:15:43얘 얘 진짜 너무 빨라.
00:15:45방금 본 텍스트가요.
00:15:47네.
00:15:48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 정도 되는 애들이 볼 만한
00:15:51독서 지문 정도 난이도는 될 거예요.
00:15:53오.
00:15:54얘는 한국어를 이해하는 능력이
00:15:56포르에 비해서 많이 앞서 있네요.
00:15:58많이.
00:15:59응용하는 거랑
00:16:00그 다음에 읽는 속도랑
00:16:01속도가
00:16:02좀 남다르긴 하다 진짜.
00:16:03네.
00:16:04얼마나 뿌듯하실까.
00:16:05우리 애를 책 보고 있어?
00:16:07응.
00:16:08책만 보니 하루 종일.
00:16:10프라세오디뮴
00:16:12메오디뮴
00:16:13프롬메톰
00:16:14프루아테로란
00:16:15공용권이 있는 거.
00:16:17아이라.
00:16:18아이린 이렇게 읽는 것도 즐거워?
00:16:20또 즐거워?
00:16:21응.
00:16:22읽어도 행복해?
00:16:23응.
00:16:24어머.
00:16:25야 이걸로 책이 모자르겠어.
00:16:27수시로 업데이트 해 줘야겠다.
00:16:29와 수준들이 다 높다.
00:16:33얘 이거 아예 안 하겠네.
00:16:35핸드폰 스마트.
00:16:36아예 안 하잖아.
00:16:37네네.
00:16:38친구들이랑 놀아야 될 거 아니에요.
00:16:40그렇긴 한데.
00:16:42책이 더 재밌어?
00:16:43책이 더 재밌어?
00:16:44책이 더 재밌어?
00:16:45책이 더 재밌어?
00:16:47엄마가 못 하게 하는구나.
00:16:48엄마가 못 하게 하는구나.
00:16:49솔직히 얘기해.
00:16:50엄마 안 봐.
00:16:51게임을 하고 싶은 생각이 있구나.
00:16:53하고 싶은 생각이 있구나.
00:16:54하고 싶은 생각이 있는데.
00:16:55솔직하다.
00:16:56아예린은 이렇게 공부나 독서나 이런 부분들을 한 번 하면 끝까지 파고드는 성격이거든요.
00:17:03근데 그럼 게임도 끝까지 파야 돼요.
00:17:06절제하는 거 뭐 이런 걸 하기가 좀 어려울 것 같아서.
00:17:09맞아요.
00:17:10좀 자제시키고자.
00:17:11저는 무조건 잘해주고 있어요.
00:17:13성격을 아니까.
00:17:15너는 꼴찌야.
00:17:17한 두 분 정도.
00:17:19아이고.
00:17:20너무 예뻐.
00:17:21너는.
00:17:22어디 갔어?
00:17:23어디 갔어?
00:17:24책 읽고 있는 거 아니야?
00:17:25아이.
00:17:26소인수분 아니까.
00:17:27얘 뭐 대학원생이야.
00:17:28진짜 미치겠다.
00:17:29항상 저 책상에 앉아있어.
00:17:32정배혁은 그래도 아니고.
00:17:35날 말리지 마 엄마.
00:17:37뭐예요?
00:17:38이거 뭐야?
00:17:39어머 중2 거를.
00:17:405년 중3?
00:17:415년 중3?
00:17:42선행이네요 진짜.
00:17:43아 이거 못 해낸 거야 이거.
00:17:44못 해낸 거야.
00:17:45엄마.
00:17:46어.
00:17:47저 1차 부동차 갈게요.
00:17:48뭐야.
00:17:49근데 저걸 웃으면서 얘기해.
00:17:51아.
00:17:52아.
00:17:53부동차 갈 수 있고.
00:17:551번에 대수인 분이랑.
00:17:58분수인 경우에는.
00:17:59분모의 최소공배수를 곱해서.
00:18:03자연수로 바꾼 다음.
00:18:05똑같이 동료항이나 이항을 해가지고 계산을 해요.
00:18:08어머.
00:18:10일반적인 초사면 이제 분수 배우는 건데.
00:18:13괜히 분수로 10을 만드니까.
00:18:14미치겠다.
00:18:15아이고.
00:18:16와.
00:18:17가장 클 때.
00:18:20제일 작은 음수인 마이너스 자가 되어야 하고요.
00:18:252보다 작은 양수 1을 대입합니다.
00:18:28마지막으로 10과 마이너스 5의 합은 플러스 5입니다.
00:18:34어머.
00:18:35야.
00:18:36양음의 개념 되게 어렵잖아.
00:18:38그치 그치.
00:18:39이걸 벌써 아는 거야.
00:18:40지금.
00:18:41음수를 더 했어.
00:18:42그냥 뺀 게 아니라.
00:18:43그러니까.
00:18:44정확한 개념을 알아.
00:18:45그러니까.
00:18:46대단하다.
00:18:47언제부터 수학을 배우기 시작한 거죠?
00:18:49이제 여섯 살에 자기는 수로 이렇게 덧셈 뺄셈 하는 게 좋으니까.
00:18:54수학을 하는 학원을 보내달라고 하더라고요.
00:18:57근데 이제.
00:18:58그럼 너가 수학이 그렇게 좋으면.
00:19:00그냥 이거 하루에 한 장씩만 풀어봐.
00:19:02그냥 이렇게 줬는데.
00:19:04그거를 한 5일, 6일 만에 한 권을 다 풀어서.
00:19:07나이스.
00:19:08엄마나 두 번째 책 주세요.
00:19:09이렇게 하더라고요.
00:19:10놀이 아저씨.
00:19:11엄마, 아빠한테 안 배웠어.
00:19:12네, 안 배웠어.
00:19:13근데 혼자서 책 보고 터득한 거예요?
00:19:15네.
00:19:16이야.
00:19:17숫자 개념을 어떻게 그렇게.
00:19:18그러니까 그게 어떻게 되지.
00:19:19그게 어떻게 되지.
00:19:20그러니까.
00:19:21말도 안 돼.
00:19:22네.
00:19:24저거 이왕 하는 것도 다 알까?
00:19:29어머.
00:19:30왜왜.
00:19:31어, 달려왔나.
00:19:32어, 이거는 좀 안 풀리나 보네.
00:19:33안 풀려요.
00:19:34우리 애기 안 풀려요.
00:19:40어떻게 해야 되지?
00:19:41어떻게.
00:19:42그러니까.
00:19:43음.
00:19:46100년 재문 있어요.
00:19:48100년 재문 있어요.
00:19:50피디님.
00:19:51피디님 모르실걸?
00:19:52그 얘기 얼마나 당황하셨습니까?
00:19:55피처스, 피디, 저거 다 안다고 생각하는 거예요?
00:19:57그럴 수도 있겠다, 애들은.
00:19:59여기 1차 부정식에서 부정식이 두 개일 때
00:20:03장수왕을 이항하면 두 개에 다 이항하는 거예요?
00:20:07아니면 한 개에만 이항하는 거예요?
00:20:10아, 귀여워.
00:20:11미치겠다.
00:20:12수왕을 잘못해요.
00:20:13미안해요.
00:20:14아, 뭐하나.
00:20:16아, 피디스 왜?
00:20:17아, 노력이라도 해.
00:20:20누가 나의 궁금증을 풀어줄 거야.
00:20:21아, 민망하네 지금.
00:20:22미안하다, 우리가.
00:20:26어떻게 다 해놓을 때 지겠지.
00:20:29문제를 가만히 바라보고 있다 보면
00:20:31어떻게 해야 될지 그냥 방법이 생각나.
00:20:33가만히 바라본대.
00:20:34와, 배우지 않아.
00:20:36나왔어.
00:20:37진짜 대단하다.
00:20:38와.
00:20:39아예일이 지금 뭐 배우고 있어요?
00:20:41안 어려워요?
00:20:42지금 중학교 1학년 1학기 심화 과정이랑 중학교 2학년 1학기 선행 나가고 있고요.
00:20:522학년 지겠다.
00:20:54지금 수학을 5년이나 먼저 선행을 하고 있는데
00:20:57네.
00:20:58정승재 씨.
00:20:59너무 빠른 거 아니에요?
00:21:00이해를 어느 정도 하냐에 따라서 좀 달라진 거 같은데.
00:21:04그걸 체크해봐도 되겠다.
00:21:05알아라.
00:21:06네?
00:21:07삼촌이 몇 가지만 물어봐도 돼?
00:21:09네.
00:21:10아.
00:21:11이항이 뭐예요?
00:21:12아까 이항이 이항 방이에요.
00:21:14그래.
00:21:15어...
00:21:17부등식이나 방정식을 풀 때
00:21:20항을 다른 쪽으로 옮기는 걸 말하거든요.
00:21:25이리 와봐, 이리 와봐.
00:21:27삼촌 데리러 나갔다.
00:21:28놀이터 데리러 나갔다.
00:21:29여기가 아이리한테 놀이터예요, 지금.
00:21:31그러니까.
00:21:32아이코야.
00:21:33아이코야.
00:21:34아이코야.
00:21:35여기 올라갈까요?
00:21:37아 쟤 이거 단상 위에 올라가 있는 거 봐.
00:21:40귀여워 죽겠어.
00:21:41귀여워.
00:21:42아이코야.
00:21:44이거 한번 이항해 보세요.
00:21:50왜 얘가 넘어가면서 플러스 1이 돼?
00:21:54이유가 뭐예요?
00:21:55당정식의 성질이
00:21:57같은 수를 빼거나 같은 수를 더하거나 곱하거나 나눠도
00:22:01그 X의 결과값은 변하지 않거든요.
00:22:04얘를 이항한다는 뜻은
00:22:06양쪽에다가 더하기 1을 하나씩 한다는 의미와 같은 거거든요.
00:22:10보통 넘어가면 그냥 부호가 바뀐다고 생각하는데
00:22:12그냥 그렇게 내왔는데
00:22:131을 더한다는 개념은 진짜.
00:22:14결과값은 똑같으니까
00:22:16X는 4.
00:22:17아 너 어떻게 알았어.
00:22:18너무 잘한다.
00:22:19알고 있네.
00:22:20알고 있네.
00:22:21진짜 알고 있네.
00:22:22어머.
00:22:23이제 한번 좌표와 그래프 내가 잘하니까
00:22:27좌표와 그래프 잘해.
00:22:29여기는 좌표와 그래프 C.
00:22:32어머.
00:22:33저것도 진짜로 힘든데.
00:22:35좌표를 이렇게 기하로.
00:22:37어머.
00:22:38주위에 좀 이런 말을 알아?
00:22:40어머.
00:22:41동네에서 소문났겠다.
00:22:43진짜 유명하겠다.
00:22:44어머.
00:22:45이야.
00:22:46이게 뭐야?
00:22:47풀이 과정이 왜 없어?
00:22:48그렇게?
00:22:49집사?
00:22:50저는 제가 잘하고 자신 있는 문제들은
00:22:53그냥 다 암산으로 풀어요.
00:22:55아 다 암산으로 하는구나.
00:22:57진짜?
00:22:58진짜?
00:22:59이상하지 않아?
00:23:00저거 뭐지?
00:23:01그러니까.
00:23:04엄마.
00:23:06엄마 일단 좌표와 그래프 채점해주세요.
00:23:09어.
00:23:10와.
00:23:11채점한 맛 나겠다 엄마.
00:23:13역시 엄마 저 좌표와 그래픔 강점이죠.
00:23:16이야 너무 잘한다 진짜.
00:23:19아이라 근데 풀이가 없어도 이렇게 그냥 할 수 있어?
00:23:22응.
00:23:23왜?
00:23:24그럼 팔만 설명해줘봐 그럼요.
00:23:26오 설명해줘봐 그리스네요.
00:23:29너무 좋아요.
00:23:30그럼 팔만 설명해줘봐 그럼요.
00:23:32S축 위에 정의란 말은 Y좌표가 0이랑 얘기해요.
00:23:35Y좌표가 0이라고 하려면 A가 무조건 3이 돼야 돼요.
00:23:390하고 2이기 때문에 순서성 0하고 2가 돼요.
00:23:42네.
00:23:43다 알고 했네.
00:23:44지금은 맞았는데
00:23:45머릿속으로만 자꾸 생각하다 보면
00:23:48실수를 할 수도 있잖아.
00:23:49아니 아니 할 필요가 없어요.
00:23:51실수 할 수도 있잖아.
00:23:53에이 실수할 이유가 없어요.
00:23:55에이 실수할 이유가 없어요.
00:23:57에이.
00:23:58저건 좀 좀 재수 없다 야.
00:24:01재수 없는 게 좀 위험한 거 아닌가?
00:24:03위험하죠.
00:24:04저건 좀 바꿔야 돼.
00:24:05저건 엄마 말 듣는 게 맞을 것 같아요.
00:24:07저는 두 분 어떤 전공 하셨는지 좀 궁금해요.
00:24:11저는 미술 전공을 했어요.
00:24:13미술을 하셨어요.
00:24:14어머니는 음악 전공을 했어요.
00:24:16음악?
00:24:17어떻게 이르냐.
00:24:18그래서 더 놀라셨겠다.
00:24:19그래서 더 놀랐고 그래서 더 해결책을 주기가 어려워요.
00:24:23조언을 구할 데가 없고 많이 배우고 싶어하는 공부 욕심이 있는데
00:24:27그 길을 걸어가 본 적이 없기 때문에
00:24:30뭘 어떻게 해줘야 될지 사실 전혀 모르겠어요.
00:24:38오케이 슬루도 깨자.
00:24:39오케이 슬루도 깨자.
00:24:40오케이 슬루도 깨자.
00:24:41그래 일해야지.
00:24:43아 이게 막 아우.
00:24:44아우 지금 마음이 놓인다.
00:24:45야 소화 된다 소화 돼.
00:24:46아우 정말.
00:24:47이게 초등학생이지.
00:24:48그래.
00:24:49그래.
00:24:50일해야지 건강해주라.
00:24:51그래.
00:24:52게임하고 싶어.
00:24:53게임은 평일에 안 해.
00:24:55안 해.
00:24:56진짜 거의 안 해.
00:24:57야 너희들은 궁금한 거 성기면 누구한테 물어봐.
00:24:59나는 문단이랑 문장 막 그런 게 좀 헷갈려.
00:25:04이게 뭐야 물어봐서 엄마가
00:25:06야야 말해줬어.
00:25:08나는 엄마 아니면 아빠가
00:25:10그렇지 거의 다 그렇게 물어보지.
00:25:12어.
00:25:13나는 수학 공부 같은 걸 엄마 아빠한테 물어보면
00:25:15엄마 아빠가 답변을 못 해줘.
00:25:17왜?
00:25:18왜?
00:25:19내가 너무 잘해가지고
00:25:21내가 너무 잘해가지고
00:25:23내가 너무 잘해가지고
00:25:24내가 너무 잘해.
00:25:25야.
00:25:26내가 그랬나?
00:25:27대놓고 디스.
00:25:28거기서 뭐 배워?
00:25:29중위에서?
00:25:301차 부등식.
00:25:31부등식이 뭐야?
00:25:33상수왕 엑셀 개소를 위행하거나
00:25:35어머 상수왕 엑셀 개소를 위행하거나
00:25:36마지막에 수의 범위를 보았고
00:25:37집중력 안 돼 이제.
00:25:38결과가 통하나 이게.
00:25:39뭘 하는지 모르겠는데?
00:25:41나도 모르겠어.
00:25:42그래.
00:25:43아니 왜 그래요?
00:25:44저게 일반적인 반응이지.
00:25:46야.
00:25:47엄마 저거 오늘
00:25:49로그를 배웠거든요.
00:25:52로그가 뭐냐면
00:25:54어? 로그를 알아?
00:25:55밑에 제곱에다가 로그 1024
00:25:58이런 식으로 적어놓는 거예요.
00:25:59아우 잘 때까지.
00:26:01얘 수학이 진짜 너무 좋은가 봐.
00:26:02수학을 더 좋아한다.
00:26:03수학이 너무 좋은가.
00:26:04대념을 파거든요.
00:26:06저거 원래 그냥 2항 해가지고
00:26:08둘 다 마이너스 되면
00:26:09지금 엄마한테 얘기하는 줄 아는데.
00:26:11네. 2층 친구들어서 저한테 말하는 거예요.
00:26:13잘했네.
00:26:14잘했네.
00:26:15아들 이제 자고 우리 내일 아침에 만나.
00:26:18어머님이 주말에 끊으셨어.
00:26:19자고 내일 아침에 만나자고.
00:26:21엄마 뉴턴해서 엄마.
00:26:23아우.
00:26:24그만하자.
00:26:25아 혜재씨가 인간적이냐.
00:26:27아우.
00:26:28안 맞아 저러면 또 힘들 것 같아.
00:26:29나 이해돼 엄마 마음도.
00:26:31아이리는 세상에 그렇게 궁금한 게 많아요.
00:26:33네 궁금한 게 너무 많아가지고
00:26:35하루가 부족할 정도.
00:26:37어머.
00:26:38하루가 부족할 정도.
00:26:39어머.
00:26:40뭐야.
00:26:41지금 이게 녹화가 문제가 아닌데 그치.
00:26:42그렇지.
00:26:43아엘아.
00:26:44삼촌이 뭐 하나 설명을 해줄 테니까
00:26:47한번 듣고 이해가 되는지 한번 볼래?
00:26:49그래그래.
00:26:50어 네.
00:26:51어 그럴래?
00:26:52잠깐 나와 볼래?
00:26:53내가 지금부터 하는 마음을 잘 들어.
00:26:55엄마 아빠 아엘이 승재 삼촌
00:27:01다섯 명이 일렬로 줄을 쓰는데
00:27:04네.
00:27:05그 가지수가 총 몇 가지일까?
00:27:07120가지.
00:27:08어머 그거 총 몇 가지일까?
00:27:09120가지.
00:27:10어머.
00:27:11그것도 알아요.
00:27:12와.
00:27:13120가지잖아요.
00:27:14그중에서 아엘이가 승재 삼촌보다
00:27:18앞에 줄 서는 경우의 수는 몇 가지일까요?
00:27:21앞에 줄 서는 경우의 수는 몇 가지일까요?
00:27:2560가지.
00:27:26왜?
00:27:27네.
00:27:28어 일단 제가 승재 삼촌보다 앞에 있는 경우의 수라
00:27:32제가 승재 삼촌보다 뒤에 있는 경우의 수가 두 가지니까
00:27:35어.
00:27:36그거 너 어디서 들었어?
00:27:38표정을.
00:27:39어디서.
00:27:40그냥 방금 생각했는데요.
00:27:41방금 생각했어?
00:27:42네.
00:27:43어.
00:27:44와 나 미치겠네.
00:27:45승재 쌤 지금 놀래가 왜왜왜.
00:27:46아니 지금 봐봐요.
00:27:47이걸 보고 되게 고등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해야 될까 아엘이 다음에 승재가 그 사이에 정식쌤이 와도 되는데 그렇게 시작을 하는데.
00:27:55그렇죠.
00:27:56얘는 철학적으로 곧바로 답이 나와.
00:27:59그러니까 아엘이가 승재보다 먼저 서는 방법이 있고 승재가 아엘이보다 먼저 서는 방법이 있잖아요.
00:28:06그런데 세상은 공평하기 때문에 아엘이가 승재보다 먼저 서는 게 더 많을 이유가 없잖아.
00:28:13그러니까 순서를 만드는 방법의 수가 두 가지니까 위로 나누면 될 것 같은데요.
00:28:18우와.
00:28:19두 가지니까 위로 나누면 될 것 같은데요.
00:28:21우와.
00:28:22이게 사고가 돼버리네.
00:28:23고3이에요.
00:28:24고3 확통.
00:28:25이게 지금 고3 확통이에요?
00:28:27모르겠네.
00:28:28어머.
00:28:29자.
00:28:30이게 무슨 확통이에요?
00:28:314점짜리 문제를 한번 드릴게요.
00:28:32이걸 가지고 왔어요?
00:28:33이거 수능 문제 아니에요?
00:28:35이거 수능 문제 아니에요?
00:28:37여기 들어가는 숫자 3개 합이 뒤에 나오는 숫자 3개 합보다 큰 경우예요.
00:28:43이게 고3 문제예요?
00:28:45고3 문제?
00:28:464점이에요, 4점.
00:28:47생각하고 있어, 생각하고 있어.
00:28:48240까지?
00:28:50어떻게?
00:28:51일단 여기서.
00:28:52암산하지 말고.
00:28:53얘기해줘.
00:28:54암산하지 말고 여기다가 한번 써줘.
00:28:57엄마가 아까 전에.
00:28:58암산은 중요하자.
00:28:59잠깐만.
00:29:00나 지금 흥흥.
00:29:01지금 갑자기 흥분하셨어.
00:29:03어.
00:29:04머릿속에 있는 걸 써봐요.
00:29:07720 안 해요?
00:29:09야.
00:29:10야.
00:29:11경우의 수가.
00:29:12얘네가 더 큰 경우의 수랑 얘네가 더 큰 경우의 수랑 같은 경우의 수가 있잖아요.
00:29:16네.
00:29:17그럼 얘를 3으로 나눠주면 240 안이에요?
00:29:20240 안이에요?
00:29:22아.
00:29:23그렇게 단순하게 생각했구나.
00:29:24맞아요.
00:29:25너무 단순하게 생각했어.
00:29:26잘 봐봐.
00:29:27이거 다 더하면 얼마예요?
00:29:281부터 여기까지 더하라고요?
00:29:2921이요.
00:29:30어.
00:29:3121이잖아요?
00:29:32네.
00:29:33그러면 이 두 개가 같아지는 경우가 있을까 없을까?
00:29:3620?
00:29:37아니 없어요.
00:29:38왜 없어요?
00:29:3921은 2로 나누면 분수가 소수가 되겠다.
00:29:42그렇지.
00:29:432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니까 왼쪽이 더 크거나 오른쪽이 더 크겠지.
00:29:47네.
00:29:48그럼 답은 얼마일까?
00:29:49아.
00:29:50360.
00:29:51그래요.
00:29:52360까지.
00:29:53맞았어요?
00:29:54살짝 힌트를 주니까 곧바로 풀어내잖아요.
00:29:57그러니까 이해력도 완전히 최상이고.
00:29:59우와.
00:30:00저러면 어떻게 하지?
00:30:01그러니까.
00:30:02나도 모르겠는데?
00:30:04우리가 집에서 사실 설명을 해달라.
00:30:08알려달라.
00:30:09학업적인 거 안 주잖아.
00:30:10그렇지.
00:30:11처음 본 거야.
00:30:12오빠도 처음이지?
00:30:13나 처음 봤어.
00:30:14나도 처음이야.
00:30:15진짜.
00:30:16어머님 나도 처음이야.
00:30:17얼굴이 지금 어머니 발그레졌어.
00:30:19지금 너무 놀라셨어요.
00:30:20어머니 처음 봤어요.
00:30:21처음 봤어요.
00:30:22제가.
00:30:23아니 고3 애들도 다섯 명이 줄 서는 경우에 수가 120까지 곧바로 안 나오는 애들이 얼마나 많은데.
00:30:28대박이야.
00:30:29대박.
00:30:30난 너무 놀란다 진짜.
00:30:32왜 매일매일 놀라시는지.
00:30:34저는 지금 만난 지 두 시간 됐는데 알겠네요.
00:30:37너무 잘한다 진짜.
00:30:39애들은 뭐 마냥 신났는데 뭐.
00:30:42아이린에 관한 선생님은 어때요?
00:30:44참관 수업 갔었거든요.
00:30:46근데 되게 약간 열려있는 분 같았어요.
00:30:50오늘 학원 없어요?
00:30:52아니 공부방 갔다 왔지.
00:30:53공부방을?
00:30:54초등학교 3학년이 벌써?
00:30:55점점 애들이 학년으로 갈수록 공부하는 시간도 점점 많아지니까.
00:30:59학원을 보내서 조금 스케줄을 좀 짜줘야 되나 고민하고 있는 거지.
00:31:04그쵸 이때부터 이제.
00:31:06고학년 직전.
00:31:07고민이야.
00:31:08아니 아이린 수학하고 영어도 가면 아이린 안 힘들어해?
00:31:13맞아 맞아.
00:31:14아이린은 그게 재미가 있대요.
00:31:16너무 좋아하니까.
00:31:19근데 또 지금 이렇게 친구들이랑 노는 모습 보면 이렇게 놀아야 될 것 같은데.
00:31:26그렇지.
00:31:27그걸 또 마냥 놀 수만은 없으니까.
00:31:29맞아.
00:31:30일단 노는 거 보면서도 불안해.
00:31:32엄마 마음이.
00:31:33어쩔 수 없어.
00:31:34하긴 우리 아들도 반에 학교 하고 난 날에는 자기밖에 없다더라.
00:31:41워낙에 본인이 지적오기심이 있는 거잖아.
00:31:43네.
00:31:44잘할 거 같긴 한데.
00:31:46근데 이렇게 했다가 나중에 진짜 공부를 해야 될 때가 오잖아요.
00:31:51오히려 그때 그만하고 싶다 이럴까 봐 그때 가서 이제 힘 빠지면 어쩌냐고.
00:31:57지금은 좀 놀기도 하고 할 수 있는 선까지만 그냥.
00:32:02아이린이 일단 원하고 있고 그걸 가는 걸 즐거워하고 있으니까 보내고는 있는데
00:32:09이제 시간이 지나서 나중에 이제 정작 정말 열심히 해야 될 중고등학교가 남아있잖아요.
00:32:14그렇지.
00:32:15근데 이제 그때 지쳐서 이제 그때 나 공부 그만하고 싶다 이렇게 될까 봐.
00:32:20난 엄마 마음 유예돼.
00:32:21제일 중요한 순간이 놔버릴까 봐.
00:32:23네.
00:32:24그게 제일 좀 고민이에요.
00:32:25진짜?
00:32:26네.
00:32:27종종 있긴 있죠.
00:32:28그런 친구들이.
00:32:29그러니까 어렸을 때부터 선행을 지나치게 시켰을 때 소화를 잘 했어요.
00:32:33엄마가 시킨 만큼.
00:32:34그랬던 애들이 나중에 번아웃 오는 경우는 있어요.
00:32:36근데 스스로 하니까.
00:32:37얘는 본인이 원하는 거잖아.
00:32:39저는 이런 애들이 중간에 지치는 걸 본 적은 없는 것 같은데.
00:32:41그러니까.
00:32:42그런 걱정은 안 해도 되겠다.
00:32:44나 너무 떨려.
00:32:46저도 떨려.
00:32:49안녕하세요.
00:32:50안녕하세요.
00:32:51안녕하세요.
00:32:52누구세요?
00:32:53누구세요?
00:32:54어떤 고민이 있으시고 어떤 게 궁금하신지.
00:32:58초등 컨설팅.
00:32:59초등 컨설팅.
00:33:00초등 의대반.
00:33:01정말 몰랐어.
00:33:02진짜 몰랐어.
00:33:04저희 아이도 지금 초등학교 3학년.
00:33:07근데 제 눈에는 너무 아직 아기 같거든요.
00:33:10근데 진짜로 대치동이나 그런 학군제에서는 4세 고시.
00:33:157세 고시.
00:33:16초등 의대반이라는 게 있다.
00:33:18이렇게 들었는데.
00:33:19나 저런 얘기 냄새로 정말 쉽지 않다.
00:33:22일단 학습적인 측면에서 초삼이 중요한 건 맞아요.
00:33:26그래요?
00:33:27공부족을 할 가능성이 있는지 아닌지를 궁금해하는 또 본격적인 시기이기도 해서.
00:33:33일단 대치동에서 하는 로드맵은 영류를 4세 아니면 5세부터 보내서 많이 당겨졌어요.
00:33:40그래서 1학년 때만 돼도 미국 교과서 3학년 걸로 영어 수업을 유창하게 토론도 하고.
00:33:47영어 혹시 6대 영역이 있는 거 아세요?
00:33:516대 영역은 뭐야?
00:33:52저거 뭔데? 나도 처음 들어봤는데?
00:33:534대 영역 이제 리딩 리스닝에 스피킹 라이팅에 6대가 문법이랑 어휘.
00:33:59어휘.
00:34:01정말?
00:34:02초 11월에 유명 인기 학원 또 고시 보는 거예요.
00:34:08그 학원을 위한 또 고시, 학원 입학 테스트.
00:34:12가장 들어가기 힘든.
00:34:14현실입니다, 현실.
00:34:16초 5 정도부터는 이제 또 국어 학원이 인기 학원이 있어요.
00:34:21아, 국어 학원도 다녀요? 나 몰랐어.
00:34:24또 하나 중요한 부분이 의대는 수식 뿐만 아니라 정시에서도 면접을 봐요.
00:34:30MMI?
00:34:31MMI 면접이라고.
00:34:33면접마저도 어릴 때부터 뭐 글쓰기도 하고 스피치도 하고 하면서.
00:34:38다요, 다.
00:34:39미리미리 다 초등 때부터 준비를 시키는구나.
00:34:41이거 안 하면 안 됩니다.
00:34:42숨 막힌다, 숨 막혀.
00:34:44그리고 제가 또 궁금했던 게 수학이나 과학에 이렇게 관심이 많다 보니까 이런 진로 방향이 있을지 그게 좀 알고 싶어요.
00:34:54과학고 영재구를 가겠다 하면 경시대회 준비를 좀 많이 해야 돼요.
00:34:58그렇죠.
00:34:59초 6쯤 혹은 중 1에 이제 수상을 해서 상을 받고.
00:35:03요건 좀 의미 있을 수 있지 않나요?
00:35:05요런 친구들은.
00:35:06KM 뭐 이런 거는.
00:35:07그치 이런 애들이야.
00:35:08그러니까 이런 애들은 이미 있잖아.
00:35:09또 수학만 할 수 없잖아요.
00:35:10과학도 해야죠.
00:35:11그래서 물류 올림피아드, 화학 올림피아드도 이제 준비를 합니다.
00:35:15그래서 입시가 워낙에 복잡하니까 그거에 어머님들이 좀 신경을 써주시는 게 좋고
00:35:20공부해두시면 훨씬 도움이 되실 거예요.
00:35:23네.
00:35:24입시 정보가 워낙 많이 쏟아지니까 오히려 이런 선택이 되게 어려울 것 같아요.
00:35:30네. 맞아요.
00:35:31이거를 추천해 주시는 분들도 이제 다 좋은 마음으로 추천을 하시지만
00:35:36본인들의 관점이 다 다르기 때문에 이제 들을수록 더 혼란스러운 거예요.
00:35:41우리 아이한테 맞는 게 도대체 뭘까.
00:35:43그러시겠다.
00:35:44네.
00:35:45사실은 이 시기에 로드맵을 짜는 게 저는 정말로 말이 안 된다고 생각을 하는 게
00:35:49아이의 재능이 어떻게 발현될지 모르잖아요.
00:35:51저는 아에리만큼 발현되는 게 되게 특이한 케이스라고 생각하고
00:35:55거의 대부분의 경우는 알 수 없는 경우라고 생각하거든요.
00:35:58어지간한 대치동이나 이런 데 나와 있는 입시 컨설팅 학원에서
00:36:02측정하기가 되게 힘든 친구일 거예요.
00:36:05선행을 전형적으로 되게 많이 한 케이스도 아니고
00:36:08그러니까 그 테스트를 보면 얘가 오히려 점수가 더 낮을 수도 있으니까
00:36:10훨씬 낮을 거예요.
00:36:11네. 그러니까.
00:36:12거기는 짜여진 대로 갔던 애들이니까.
00:36:13걔들이 시스템에 관리가 되어 있죠.
00:36:15근데 실제로 사고력을 봤을 때 걔들이랑 비교했을 때
00:36:17저는 얘가 안 딸릴 거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00:36:19그런데 어머님이 거기다가 맞춰서 얘를 시켜버리시는 순간
00:36:23오히려 얘가 가지고 있는 재능이 꺾여버리죠.
00:36:25오. 그렇겠다.
00:36:28네. 그러면 일반적으로 우리가 얘기하면
00:36:31입시 로드맵이라고 하는 거는 독이에요?
00:36:34근데 보통 어머님들이 이렇게 알아보시는 정보가
00:36:37맘카페라든가 아니면 좀 컨설팅 업체들을 통해서 알아보는 거잖아요.
00:36:41그런데 그런 데서 알아보는 정보들이 정말 작은 표견을 가지고
00:36:45침소 공대되는 경우들이 너무 많아요.
00:36:47가입을 말아야 돼.
00:36:48소위에게는 발언력이 세신 분들은 딱 두 종류밖에 없어요.
00:36:51첫 번째는 뭐냐면 정말 내 아이를 잘 키운 경우.
00:36:54보통 이제 내 아이를 잘 키운 경우는 근데
00:36:56부모님의 정보력이 뛰어난 사람의 경우에는
00:36:58애 자체가 잘해서 가능성이 없거든요.
00:37:00근데 그거랑 똑같은 루트 따라간다고 해서
00:37:02우리 애도 잘할 수 있으리라는 보장은 없죠.
00:37:04그렇죠. 그렇죠.
00:37:05그리고 이제 두 번째는 뭐냐면
00:37:06그냥 글을 자주 쓰시기 때문에 내 인비가 되시는 경우.
00:37:08이 경우는 정보의 신뢰도를 알 수가 없는 거예요.
00:37:11공포만. 커미 전문가.
00:37:12이제 들어가서 보면 또 불안하잖아요.
00:37:14이게 불안해 이상하게.
00:37:16그래서 저는 저희 아이한테 어떤 로드맵을 짜줘야 될지는
00:37:19우리 애 자체의 기질과 단서를 보고 판단을 해야 되는 거라고 생각을 해요.
00:37:24너무 걱정되실 것 같긴 해. 이해됩니다.
00:37:28아니 너무 잘하는데 뭐 걱정하라고 그랬어요.
00:37:33그러니까 잘하는데.
00:37:34근데 저렇게 큰 소리를 읽기 쉽지 않은데.
00:37:43영류를 다니고 그런 건 아니죠.
00:37:45아니.
00:37:46말도 안 돼.
00:37:48와이라 상친이 지났어요.
00:37:49영감스러운 바람 보다.
00:37:50아.
00:37:51I think that is a track balloon over.
00:37:54뭐 시기.
00:37:55저는 단어를 쓰는 것을 싫어하거든요.
00:37:58그래서 주로 눈으로 외우는 편이에요.
00:38:02단어 쓰는 걸 싫어하는구나.
00:38:04아 눈으로.
00:38:05이거 괜찮다고 했었는데.
00:38:06아 눈으로 한다.
00:38:07fell or hung down loosely.
00:38:10어머님 뭔가를 좀.
00:38:12밥들이 찬 눈으로 굴러 떨어져다.
00:38:14아들.
00:38:15방금 아엘이 암기하는 거 봤는데 그냥 그렇게 해가지고 암기가 돼?
00:38:19그렇게 해가지고 암기가 돼?
00:38:20단어 정도는 좀 쓰면서 해야 돼.
00:38:23어?
00:38:25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암기한 거야?
00:38:27전체적으로 쭉 한번 훑었는데요.
00:38:29그러면 그건 암기가 아니지.
00:38:31리딩이지.
00:38:33읽은 거잖아 그치?
00:38:34어.
00:38:35하나만 오늘 하나만 외우더라도 정확하게 외우는 게 중요하지.
00:38:38그치?
00:38:39맞아 엄마 마음은 그럴 거 같아.
00:38:41정확하게 외우는 걸 주목할 거 같아.
00:38:43어 여기서 처음으로 약간 스트레스.
00:38:45나도 없잖아.
00:38:46음.
00:38:471번이라도 해봐.
00:38:48에드마이얼스.
00:38:50에드마이얼스.
00:38:51에드마이얼의 복수.
00:38:52가해 과거형.
00:38:53응?
00:38:54어?
00:38:55아니야.
00:38:56어 뭐.
00:38:57어.
00:38:58감탄 합류 바라볼까?
00:39:00아니.
00:39:01뭐였지?
00:39:02그 전에 틀렸는데.
00:39:04감탄하다.
00:39:05아니 과거형은 그런 게 아닌데.
00:39:07아 근데.
00:39:09문제 있어 보니 났는데.
00:39:10저걸 굳이 막.
00:39:11그렇게까지.
00:39:12무조건 명칭을 뽑아내야 될 나이도 아니고.
00:39:13명칭을 뽑아내는 거 아닙니까.
00:39:14네.
00:39:15과거형은 그런 게 아닌데.
00:39:17그의 새 책을 작업 중이다.
00:39:20그는 그의 새 책을 작업 중이다.
00:39:25아엘아.
00:39:26다시 외우세요.
00:39:29오.
00:39:30예문 해석을 외워해요?
00:39:31처음에 뭐 지금.
00:39:32문장을 통으로 외우자 했으니까.
00:39:33예문을 아예 통으로.
00:39:34어머.
00:39:35아엘아.
00:39:36영어 하는 게 왜 이렇게 안 외워지고.
00:39:39왜 뭐가 이렇게 싫은 거야?
00:39:42단어를 외우는 게 싫은 거야.
00:39:44단어를 외우는 게 싫은 거야.
00:39:45싫어.
00:39:46단어를 외워야 그 다음이 있잖아.
00:39:49말을 잘 하려면.
00:39:50단어 대충 빨리 쓰가지고 읽을 수 있고.
00:39:52읽을 수 있다고 뜻을 아는 건 아니잖아.
00:39:54아엘이랑 엄마랑 대화할 때도 이 한글 말에 단어 뜻을 알기 때문에 대화가 가능한 거잖아.
00:39:59어.
00:40:00어.
00:40:01이제 좀 애 같다.
00:40:02어.
00:40:03그렇다.
00:40:04이게 이름이 영어 흥미 떨어져.
00:40:05그래.
00:40:06그럴 거 같아.
00:40:07그럴 거 같아.
00:40:08세상에 어떻게 하면 좋아.
00:40:09아엘이랑 단어 외우는 거 왜 싫어?
00:40:11어.
00:40:12스펠링하고 뜻, 예문, 해석 외우면은 10개 단어를 외우는 거여도 외우는 건 스무 가지 넘거나.
00:40:23음.
00:40:24그럴 수 있지.
00:40:25그래 점점 늘어나더라고.
00:40:26그러면 아엘이랑 영어로 되어 있는 책을 읽는 것도 싫어?
00:40:29어.
00:40:30그거는.
00:40:31음.
00:40:32그거는 좋은 거.
00:40:33음.
00:40:34그러면 아엘이 지금 하고 있는 공부법 어떤 거 같아요?
00:40:37저는 솔직히 얘기하면 어머님이 공부를 좀 잘못 시키시는 거 아닐까.
00:40:42어머님이 공부를 좀 잘못 시키시는 거 아닐까.
00:40:44어.
00:40:45지금 영어 예문을 외우도록 시킨다.
00:40:47라거나 3인칭 단수 현재형 이런 용어를 써야 되니까 이제 그게 싫은 거예요.
00:40:52어.
00:40:53근데 오히려 수학 같은 영역은 어머님 아버님이 알아서 맡기니까 얘가 너무 재밌게 공부를 했었는데 영어는 이제 어머님 아버님이 좀 아시니까.
00:41:02내가 하기에 맞는 공부법을 아엘이한테 좀 추천을 해 주셨던 거 같아요.
00:41:06저 어렸을 때 하던 그런 거처럼.
00:41:08네.
00:41:09그 방법이 틀린 건 아닌데 아엘이게 맞는 방법은 아니었다.
00:41:12그러니까 이제 얘가 자꾸 영어 특미를 읽고 싫어하고 재미없어하고.
00:41:16음.
00:41:17아엘아.
00:41:18어드마이얼이라는 단어 뜻 기억하고 있어?
00:41:20무슨 뜻이었지?
00:41:21감탄하며 바라보던가.
00:41:23어.
00:41:24근데 한 번 외운 건 아니자목네.
00:41:25여기에 지금 다 어드마이얼이 들어가 있잖아.
00:41:28응.
00:41:29근데 여기 어드마이얼이 생긴 모양 가지고 두 개로 분류를 나눠볼 수 있겠어?
00:41:33한 번 고민해 봐봐.
00:41:34나 너 될 것 같아.
00:41:36어.
00:41:37어떻게 하지?
00:41:38뭐가 어떻게 나누면 될 것 같아?
00:41:40뒷짐 진 거 봐.
00:41:42어.
00:41:43어.
00:41:44아.
00:41:45어.
00:41:46알았어.
00:41:47미치겠다.
00:41:48어.
00:41:49야.
00:41:50말도 안 돼.
00:41:52진짜.
00:41:53어.
00:41:54두 개 어떻게 구분했어?
00:41:55어떻게 구분했어?
00:41:56어떻게 구분했어?
00:41:57그.
00:41:58얘네들은 다 S가 애드마이얼에 붙어있고.
00:42:00응응응.
00:42:01그 나머지 애드마이얼은 S가 안 붙어있어.
00:42:04그러면.
00:42:05네.
00:42:06S가 붙어있는 애들끼리의 공통점이 보일까?
00:42:10있잖아.
00:42:11다 이거 3인칭 현재 단수형 아닌가?
00:42:13있잖아.
00:42:14다 이거 3인칭 현재 단수형 아닌가?
00:42:16그니까 왜 그렇게 3인칭 현재 단수형이 왜 생기는 거야?
00:42:20왜냐면
00:42:21아워클래스 있어요.
00:42:24응응.
00:42:25응응.
00:42:26응응.
00:42:27응.
00:42:28근데 이건 히쉬리드 아니잖아.
00:42:31아워클래스니까 이트 아니에요.
00:42:34어.
00:42:35이트 아니에요.
00:42:36어.
00:42:37어.
00:42:38구분이 되는구나.
00:42:39뭐야 뭐야.
00:42:40중학생들한테 물어봐도요.
00:42:41아워에는 내가 들어가 있으니까 1인칭 아니에요?
00:42:44우리 1인칭인데.
00:42:45아워클래스가 이제 3인칭인게 정확하게 딱 오는 거잖아.
00:42:48언어적으로.
00:42:49감각이.
00:42:50어.
00:42:51감각이 있네.
00:42:52나는 내 아들이면 단어 외우기 안 시킬 것 같아.
00:42:54진짜?
00:42:55단어 아예 공부 안 시킬 것 같아.
00:42:56왜왜?
00:42:57이런 친구들은 텍스트를 많이 보면
00:42:59어떤 경우에 뭘 쓰고 하는지가 익숙해져요.
00:43:02영어를 영어로 인식하는 거야.
00:43:04그렇죠.
00:43:05그래서 얘가 영어로 되어 있는 뉴턴 같은 잡지들도 볼 수 있으면
00:43:08너무 신나게 공부를 할 수 있겠죠.
00:43:09그러겠다.
00:43:10음.
00:43:11그게 훨씬 더 좋은 학습법이에요.
00:43:13엄마 이제 안 할게 아이라.
00:43:15죄송해요.
00:43:16엄마 이제 안 할게.
00:43:17그냥 내버려 두면 되겠다.
00:43:19아이라.
00:43:20다 찍혔어.
00:43:21대박이다.
00:43:22준비.
00:43:24시작.
00:43:25뭐지?
00:43:26이게 뭐야?
00:43:28검사하는 거냐?
00:43:30검사하나 보다.
00:43:31웩슬러 검사.
00:43:33어머.
00:43:34자리 너무 많았다.
00:43:36힘들어.
00:43:37힘들지?
00:43:38저 검사 시간도 계속.
00:43:39궁금했고?
00:43:40어려웠어요.
00:43:41아니요.
00:43:42어떻게 해?
00:43:43아직 얘기인데.
00:43:44아이리 결과가 나왔어요?
00:43:46응.
00:43:47결과가 어떻게 나왔을까요?
00:43:49그러니까요.
00:43:50예측이 안 돼요.
00:43:51예측 불가.
00:43:53어머니 아이리의 전투 지능은 궁금해.
00:43:56궁금해.
00:43:57잘 나올 수밖에 없지.
00:43:58얼마일까?
00:43:59내 키보다 클 것 같아.
00:44:01아이리의 전체 지능은 143.
00:44:04어우.
00:44:05어우 맞네.
00:44:06143.
00:44:07어우 맞네.
00:44:08역대네.
00:44:09역대급인데.
00:44:10역대네.
00:44:11너무 낮다.
00:44:12143이라는 말은요.
00:44:14백분위가 99.8이라는 뜻이에요.
00:44:17매우 우수.
00:44:19상위 0.2% 정도.
00:44:21와.
00:44:22영재 맞아.
00:44:23진짜 영재요?
00:44:24어머님 너무 좋으셨겠다.
00:44:25엄마 좋아하시네.
00:44:26좋지.
00:44:27그럼.
00:44:28어떤 기분이에요?
00:44:29특히 공간 지각 능력이 압도적이다.
00:44:31상위 0.1%보다 높으면.
00:44:33높으면.
00:44:34측정이 통계적으로 되질 않는다.
00:44:36와.
00:44:37와.
00:44:38와.
00:44:39와.
00:44:40와.
00:44:41와.
00:44:42와.
00:44:43와.
00:44:44와.
00:44:45와.
00:44:46와.
00:44:47와.
00:44:48와.
00:44:49와.
00:44:50와.
00:44:51와.
00:44:52와.
00:44:53와.
00:44:54초대키다.
00:44:55와.
00:44:56와.
00:44:57와.
00:44:59아마 아이 육아하시거나 교육하시는 게 좀 힘드실 수 있어요.
00:45:03특별한 아이를 키운다는 게.
00:45:05그래서 좀 힘든 것 같아요.
00:45:07오히려 크면 클수록 어떻게 해야 될지 더 갈피를 못 잡겠어요.
00:45:12그렇지. 그럴 수 있지.
00:45:14너무 뛰어나서.
00:45:14맞아.
00:45:15정말 이해돼요.
00:45:16맞아.
00:45:17지적 호기심이 강하다 하게 되면
00:45:19나중에는 부모님이 지도를 하려고 해도
00:45:22지도가 안 되시는 순간들이 오실 수 있어서요.
00:45:24좀 더 다양한 자극과
00:45:27교육 전문가들의 코칭을 받으시는 게 필요할 것 같아요.
00:45:30맞아.
00:45:31너 어디서 만나느냐고 또.
00:45:33그러니까.
00:45:34쉽지 않다.
00:45:35여보 뭐 마실래?
00:45:37나 그냥 물.
00:45:38웩슬러 검사 받았거든.
00:45:41맞아.
00:45:42143이 나왔어요.
00:45:43143이 나왔다고?
00:45:43근데 이제 그게 높게 나오니까
00:45:46더 부담되는 거야.
00:45:48부담되셨지.
00:45:49맞아.
00:45:49정말.
00:45:50지금은 이제 초3 정도니까
00:45:52엄마 못한다, 아빠 못한다, 모르네 하면서
00:45:56약간 놀리듯이 하고 끝나는데
00:45:57초등 고학년만 돼도
00:46:00엄마한테 말해도 어차피 몰라.
00:46:02어차피 몰라.
00:46:03그냥 말 안 할래.
00:46:05이렇게 될 것도 같고.
00:46:08맞아.
00:46:08이것도 왠지 서운하면서
00:46:10좀 그런 것 같아.
00:46:11맞는 말이니까 또.
00:46:12사춘기 오면 또 더 그럴 수 있어.
00:46:13그렇지.
00:46:14맞아.
00:46:15아이린은 친구하고는 그래서
00:46:17잘 지내?
00:46:18무시하고 그러진 않아?
00:46:19근데 나는 이것도 걱정될 것 같아.
00:46:21친구와의 관계.
00:46:22친구들이 나한테 이상한 말을 한다.
00:46:26이런 말을 한 적이 있으니까
00:46:27어?
00:46:28아혜리가 하는 말이
00:46:29무슨 말이에요, 선생님?
00:46:31아혜리 또 이상한 말 한다.
00:46:33이렇게 했다고.
00:46:34아 정말?
00:46:34그런 말을 들으니까 또
00:46:36안쓰럽지.
00:46:38너무 다르니까.
00:46:39대화가 진짜 안 될 것 같긴 했고.
00:46:41이제 초등학교 1학년 때
00:46:43처음 영어학원 갔을 때
00:46:44같이 배정받았던 친구들이
00:46:463, 4, 5, 6
00:46:49이제 누나 형아들이 있는 반에
00:46:51이제 배정을 다녔었어요.
00:46:53근데 이제 막 짓궂은 장난들도 있고
00:46:55뭐 여러 가지 그렇게 마음이 좀 힘든 부분들이 있어서
00:46:58왜냐면은 너무 이제 질투했겠지.
00:47:00그럴 거야.
00:47:01애씨들도.
00:47:01자존심도 상하고 형들도.
00:47:03존재 상하고.
00:47:04아니 아혜리처럼 이런 영재성이 짙은 아이들이
00:47:07좀 친구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이 있나요?
00:47:10네.
00:47:11이 나이대에는 너무 뛰어나버리면 힘들 것 같다라는 게
00:47:13좀 이해가 너무 잘 돼가지고.
00:47:15관계성을 형성을 또래들이라고 못하면
00:47:19나중에 진짜 많이 힘들어하는 거 왔더라고요.
00:47:22관계 정서라고 하는 개념이 참 중요한 거네요.
00:47:24어떻게 보면.
00:47:25그게 없으면 오히려 영재성이 나중에 떨어져서
00:47:27사라져버리는 게 되게 많으니까.
00:47:29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잖아요.
00:47:30맞아.
00:47:31아 그러겠다.
00:47:33지금 그래서 영재원에 올해 3월부터
00:47:36입학을 해서 다니고 있어요.
00:47:38다행이다.
00:47:40또래하고는 확실히 좀 다르다 보니까
00:47:42이제 어떤 지적 호기심을 채워줄 수 있는
00:47:44그런 것들을 나눌 수 있는
00:47:46무조건.
00:47:46친구들을 좀 만들어주는 게 좋다.
00:47:48거기서는 좀 소통이 잘 되겠다.
00:47:49친구들이랑.
00:47:50영재원 애들이랑 친해지다가 제가 봤을 때는
00:47:53중학교 2학년 끝나고 간 다음에
00:47:55영재국에서 비슷한 애들끼리 모여가지고
00:47:56있는 게 최고일 것 같아요.
00:47:58확실히 다르긴 다르다.
00:48:01수업을 시작하겠습니다.
00:48:02어디야?
00:48:03주직선상이잖아.
00:48:04중등반이요.
00:48:05중등반이요.
00:48:05와우.
00:48:06그쵸?
00:48:07네 아혜리가 고등수학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구나.
00:48:10궁금증이 있었구나.
00:48:10이제 어 그럼 거기 가면 이런 거 배워요?
00:48:13뭐 로그 배워요?
00:48:14그럼 더 해볼래요.
00:48:15아 진짜?
00:48:16어 진짜?
00:48:17우릴 수 있어?
00:48:18이건 아이로 알 것 같은데
00:48:20정수 모음 아닐까 해라?
00:48:21정수 모음 아닐까 해라?
00:48:23어? 양과 음으로.
00:48:25양과 음과 또 하나?
00:48:27어 그.
00:48:28양도 아니고 음도 아니고.
00:48:290.
00:48:29그렇지.
00:48:30아이고.
00:48:32신기하시겠다.
00:48:33반말로 뭐라고 해?
00:48:34자연.
00:48:35아유 피부 쳐.
00:48:36자연스러워서.
00:48:37이거는 어려워.
00:48:38어려워서 잘 봐야 돼.
00:48:41아이고 좀 앞에 안 찍고 그랬다.
00:48:43큰 형님 때문에 안 보이네.
00:48:45이거 뭐 나오겠어?
00:48:461.
00:48:471만 원.
00:48:47아이고.
00:48:48X 0 대입했어.
00:48:49여기 뭐 나와?
00:48:508.
00:48:51어머 어머.
00:48:513이지?
00:48:523은 얼마였다?
00:48:533.
00:48:54진짜 대단하다.
00:48:55이거 바탕으로 밑에 5-3에 2번 있죠?
00:48:58그거 하나만 풀어봅시다.
00:48:59이거랑 똑같아요.
00:49:00이거 고1인데?
00:49:03이야 지웠다 썼다 반복하면서 열심히 하네 우리.
00:49:08이거 답은 너네 뭐 나왔어?
00:49:113분의 2요.
00:49:123분의 2 나왔어?
00:49:13어렵지 않죠?
00:49:14어 이거야 이거.
00:49:16고생했어요.
00:49:17아니 고1문제 너무 잘하는데?
00:49:191.
00:49:202.
00:49:212.
00:49:222.
00:49:232.
00:49:242.
00:49:252.
00:49:262.
00:49:273.
00:49:28얘들은 많이 형들 같은데?
00:49:292.
00:49:303.
00:49:313.
00:49:323.
00:49:333.
00:49:343.
00:49:353.
00:49:363.
00:49:373.
00:49:384.
00:49:394.
00:49:403.
00:49:414.
00:49:423.
00:49:434.
00:49:445.
00:49:453.
00:49:465.
00:49:476.
00:49:484.
00:49:497.
00:49:506.
00:49:515.
00:49:526.
00:49:539.
00:49:545.
00:49:555.
00:49:566.
00:49:575.
00:49:586.
00:49:596.
00:50:006.
00:50:01체크를 해봐야 될 것 같아요.
00:50:03다 100점 맞았겠지 뭐.
00:50:096개 기준으로는 이제
00:50:11두 문제를 맞춘 거거든요 어머니.
00:50:13두 문제를 맞춘 거거든요 어머니.
00:50:15이상하다.
00:50:17100점 아니에요?
00:50:194개 틀렸네.
00:50:21어? 이상하다.
00:50:233분의 1 정도를 맞추고 있는 상태이기는 해요.
00:50:33엄마 인생 처음 겪는 좌절이다.
00:50:37지금 이 점수로 바로 그 반을 공부하는 거는
00:50:40좋지는 않을 것 같고요 어머니.
00:50:42지금 선행을 되게 호기심이 많아서 많이 나가 있는 상태인데
00:50:46그걸 추천드리진 않을 것 같아요.
00:50:48선행 속도를 여기서 더 내는 건 추천드리진 않을 것 같고요.
00:50:52아이고.
00:50:54이 아래에서 조금 더 이제 다지기가 좀 필요한 상태인 것 같고
00:50:58계속 다음 걸 하는 건 이게 초등 영재에만 머무르고
00:51:02중등 영재, 고등 영재에는 도달 못할 수도 있는
00:51:07도달 못할 수도 있는 케이스가 될 수도 있거든요.
00:51:10좀 재학년 것들에서 좀 어려운 문제집들
00:51:13그 연습을 사실 병행하는 게
00:51:16장기적인 안목에서는 아이들이 공부에 좀 도움이 되지 않을까.
00:51:20네네.
00:51:22와 이런 얘기 들으면 불안하실 것 같아.
00:51:23그렇죠 그렇죠.
00:51:29아이를 왜 이렇게 시무룩해?
00:51:31아이고.
00:51:32어?
00:51:33솔직히 시험 이렇게 못 본 게 약간
00:51:36충격이고
00:51:38어.
00:51:39좌절감이 좀 들어.
00:51:40어이.
00:51:41좌절감이 좀 들어.
00:51:42어이.
00:51:43세상에.
00:51:46근데 아이들 괜찮아.
00:51:47맞아.
00:51:48점수 낮게 봐야 되는 게
00:51:50처음이긴 하잖아.
00:51:51맞아.
00:51:52항상.
00:51:53아버님도 많이 당황하신 것 같은데요.
00:51:55네.
00:51:56진짜로 좀 놀래긴 했어.
00:51:59어?
00:52:00점수가 그렇게 나와가지고.
00:52:02엄마 더 이상 그런 말 하지 마세요.
00:52:04진짜.
00:52:05저 속상해야 진짜.
00:52:06저 속상해야 진짜.
00:52:07저 속상해야 진짜.
00:52:08자존심.
00:52:09아.
00:52:10난 속상했구나.
00:52:13이렇게까지나
00:52:15틀려본 게 처음이어가지고
00:52:17엄마도 좀
00:52:19놀라긴 했어.
00:52:20두 개 맞힌 게 신기한 건데.
00:52:21정말.
00:52:22선행을 하는 걸 조금 그만할까 봐.
00:52:25음.
00:52:26어.
00:52:27근데.
00:52:28아.
00:52:29모르겠다.
00:52:30끌고 온 것 같은 느낌도 있고.
00:52:33좀 애가.
00:52:34저렇게 하는 거 보니까.
00:52:36아예 선행하는 게 조금.
00:52:39좀 고민이 되네.
00:52:42많이 마음이 힘들었나 보다.
00:52:44아예.
00:52:45어려웠어?
00:52:46아니면 실수였어?
00:52:47일단.
00:52:48문제가 많이 어려웠고.
00:52:50어려웠고.
00:52:51어려웠고.
00:52:52한 번 더 접해보지 않았군요.
00:52:53음.
00:52:54놀라긴 했었어요.
00:52:55약간은.
00:52:56우울한 개구리처럼
00:52:57내가 그렇게 생각을 했었을까
00:52:59이런 생각도 들고.
00:53:00혼란이 오셨겠어요.
00:53:02이렇게 점수가 나오니까
00:53:03이게 생각이 조금 많아지더라고요.
00:53:05그래서 아.
00:53:06우리가 하고 있는 방법이 좀 많이 잘못됐을까.
00:53:09이런 의심을 조금 처음 해보는.
00:53:12가뜩이나 선행이 부정적이셨는데.
00:53:13그러니까 선행을 너무 많이 뺐나.
00:53:15그러니까요.
00:53:16이런 생각도 드셨을 것 같아요.
00:53:17어떤 수학에서 10년 인생 첫 좌절이었고요.
00:53:20네.
00:53:21선행을 여기서 지금 아버지 생각대로 좀.
00:53:23멈춰야 된다는 신호입니까?
00:53:24아니 선행을 멈추는 게 아니라 선행을 좀.
00:53:27어.
00:53:28체계적으로 해야 될 필요는 있는 것 같아요.
00:53:29체계적으로 해야 돼요.
00:53:30그러니까.
00:53:31아까 VCR에서 선생님이 말리는 이유가 뭐냐면.
00:53:33네.
00:53:34천재가 아니라서 말리는 것이 아니라.
00:53:36기초 연산이 지금 대부분 안 돼 있어요.
00:53:38아.
00:53:39모든 것들을 다 머릿속으로만 해결하려고 해서.
00:53:41그럼 또 실수하게 되고.
00:53:42그러니까 모든 거를 식을 안 세워요.
00:53:44네.
00:53:45그거를 수학에서 되게 중요한 파트거든.
00:53:48보통 제가 지금 초등학교 강의도 조금 하고 있는데.
00:53:52네.
00:53:53뭐 예를 들어서 네모를 빼면 7이다.
00:53:56그러니까 중학교 가면 아예리가 공부하듯이 이거 넘겨서 풀거든요.
00:54:01네.
00:54:02이거 이렇게 넘겨서 3 이렇게 풀거든.
00:54:04네.
00:54:059가 되고.
00:54:062 빼면 8이 되고.
00:54:073 빼면 7이 되잖아요.
00:54:08맞아요.
00:54:09초등학교 과정은 2항이라는 걸 하는 것이 아니라.
00:54:12아.
00:54:1310에서 얼마를 빼서 7이 될지를 아는 방법은.
00:54:1610에서 7을 빼는 방법이 있구나.
00:54:182항 개념이 아니라.
00:54:19그런 식으로 생각하도록 만드는 게 초등학교 과정이에요.
00:54:24그렇게 생각해야지만 중학교 고등학교 올라가서 훨씬 더 응용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고 있으니까.
00:54:31이 전문가들은 그거를 시키는데도 불구하고 선행을 그렇게 공부하는 학생들이 너무 많아요.
00:54:37애들은 하나하나씩 생각해서 푸는데 나는 생각도 안 하고 고등학교 방식을 이용하니까 너무 빠르네.
00:54:43그거는 수많은 걸 놓치고 그냥 건너뛰는 과정이라는 거.
00:54:48거기에서 성질을 조금만 죽이고 차근차근 교과서에 나온 대로 학습할 필요도 분명히 있어요.
00:54:56교과서에 나온 대로.
00:54:58어머님 아버님은 오늘 어떠셨어요.
00:55:00도움이 많이 되셨어요.
00:55:01저 사실 아까.
00:55:03좀.
00:55:04아예리를 보는데.
00:55:07마음이 좀 울컥했어요.
00:55:10그러니까 아예리 안에 이렇게 신나고 재미있는 것들이 가득하고.
00:55:15이거를 이렇게 설명하고 받아줄 수 있는 사람을 만났을 때.
00:55:19이렇게 반짝반짝일 수 있는데.
00:55:21내가 그걸 받쳐주지 못하는 것 같아서.
00:55:24아예.
00:55:25말씀을 너무 잘해주고 계시네요.
00:55:27그럼.
00:55:28울컥하신 것 같아요.
00:55:29약간 울컥하신 것 같아요.
00:55:30울컥하셔서.
00:55:31미안한 마음에.
00:55:32전혀 늦지 않아서.
00:55:33울컥하실 이유도 없는 것 같아요.
00:55:35지금부터 바로 작업이 되는 거니까.
00:55:37앞으로 갈고 현명하게 전략 잘 세워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인재가 되길.
00:55:42인재가 되길.
00:55:43와 좋다.
00:55:49아예리 안녕.
00:55:50선생님 우리 집에 무슨 일이세요?
00:55:52아 너블러 갔지.
00:55:53아버님 어머님이 도와주셔야 될 몫일 것 같고.
00:55:55정거장에 오게 될지.
00:55:57그것도 식을 세울 줄 알아요.
00:55:59Someday it will solidify.
00:56:01지금부터 연습하면 되죠.
00:56:03오케이.
00:56:04It gets lighter.
00:56:05같이 같이.
00:56:06같이 준비 한번 해보자.
00:56:072보다 작아요.
00:56:082보다 작아요.
00:56:09네.
00:56:10너무 좋아.
00:56:14생선이 보고 싶었어 안 보고 싶었어?
00:56:16보고 싶었어요.
00:56:18진짜?
00:56:19그랬어?
00:56:20어머 어머 어머 다 사줄까?
00:56:22저기 이거 다 먹으러 갔다 응?
00:56:24네.
00:56:25레인보우 빙소토.
00:56:26아 그거 좋아해요.
00:56:27얼마를 기다리면 올까 이게?
00:56:30지금 두 개를 만들잖아.
00:56:33우리가 딱 걸린 시간을 계산해서 하나 만드는데 걸린 시간을 계산해보자.
00:56:37모든 거 만드는데 시간이 똑같다고 가져갈 때.
00:56:41그렇지 똑같다고.
00:56:42멋지다.
00:56:43어쩜 이렇게 똑똑해.
00:56:45맛있어.
00:56:47어?
00:56:49승차장이다.
00:56:50아침 6시에 첫 차가 오고 밤 11시에 마지막 차가 온대.
00:56:57그런데 배차 간격이 15분이래.
00:57:00응.
00:57:01하루에 몇 대의 버스가 저 정거장에 오게 될지 그것도 식을 세울 줄 알아야 돼.
00:57:06간격 플러스 1.
00:57:08우리 여기서 식 세우는 연습 좀 하자.
00:57:12네.
00:57:13응?
00:57:14네.
00:57:15봐봐.
00:57:17천만 원의 운행 수입이 있으려면 승객이 한 대당 평균 몇 명 이상이어야 하는가?
00:57:25간테랑 네모로 치면.
00:57:28목표 액수.
00:57:29네모.
00:57:32곱하기.
00:57:33곱하기까지 써야 돼요?
00:57:34어 써야 돼.
00:57:351200 네모로 하면 안 되나?
00:57:38곱하기 네모.
00:57:39가우스 쳐요.
00:57:41응?
00:57:42가우스 쳐요.
00:57:43가우스를 치자구.
00:57:47그래 가우스 쳐요.
00:57:50엔.
00:57:51천만.
00:57:54에?
00:57:55아닌데 뭔가 좀 이상한데.
00:57:56X가 들어가야 되는데.
00:57:58아 잠시만.
00:57:59그래서 식을 세워야 된다니까?
00:58:00식을 세우는 거 연습하자.
00:58:01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
00:58:05오늘 미분과 적금 배우려고 했는데
00:58:07미적분을 할 때가 아니야
00:58:09자 이거 한번 해볼게 이제 봐봐
00:58:116% 소금물의 양은 이게 문제야
00:58:18이걸 머릿속으로 하려고 하면 되게 어렵다?
00:58:21식을 세우면 되게 쉬워져
00:58:23어 소금물을...
00:58:26모르겠다
00:58:26지금 봐봐
00:58:276%의 소금물 더하기
00:58:292%의 소금물은 8%의 소금물
00:58:32어 여기 이제 다 완성해봐
00:58:35네모 더하기 200
00:58:38가로 쳐야지
00:58:39네모 더하기 600
00:58:44100
00:58:46이렇게 세우라
00:58:47드디어 한번 맞췄다
00:58:49식 세우는 거의 중요함을 알았느냐?
00:58:52넵
00:58:52이 과정을 쓰는 게 수학이야
00:58:54체계적으로 생각하는 훈련
00:58:57꼭 틀리는 한이 있더라도
00:58:59그래 틀리는 한이 있더라도 꼭 식 세워야
00:59:00세우겠습니다
00:59:01꼭 그렇게 해
00:59:03네
00:59:05아...
00:59:06진짜 귀찮아...
00:59:14아...
00:59:16진짜 귀찮아...
00:59:18국회의원 성과를 4년마다
00:59:20대성애 성과를 5년만...
00:59:222조 원성 씩...
00:59:242년...
00:59:26아이리의 문제가 뭐예요?
00:59:292조 원성 씩...
00:59:322조 원성 씩...
00:59:37288
00:59:392조 원성 씩...
00:59:50도전
00:59:522조 원성 씩...
00:59:54피자의 한 조각이 넓이도는 얼마일까?
00:59:57아리가 넓이도 할 수 있어?
00:59:59아 맞다 맨날 갖고 다니는 거
01:00:02곱하기 15cm
01:00:07아이라 그러면은 포테이토 피자 한 판은
01:00:10우리 셋이 고평하게 나눠 먹어 먹는 거야
01:00:13그냥 엄마 이것만 외우시면 돼요 초등수학에서
01:00:16네모는 아니고 세모는
01:00:19세모 분에 네모
01:00:23팔, 여덟 조각이 있죠?
01:00:25얘를 3분에 넘어갔대요
01:00:282와 3분에 2가 나와요
01:00:30한 사람당 두 조각 먹고
01:00:33나머지 두 조각은 여섯 조각으로 나눠야 돼
01:00:36여섯 조각으로 나눠서 두 개씩 먹는 거예요
01:00:38가위로 잘라서
01:00:40여기다가 전체 여덟 조각
01:00:433, 3, 5, 5,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1:00:52그럼 정답 나온 거야?
01:00:54네
01:00:55그러면 고등학교 형들은 어떤 걸 배울까 되게 궁금하지?
01:00:59네!
01:01:00그치?
01:01:01네!
01:01:02그러면 1차 함수가 뭔지 알아요?
01:01:04아니요
01:01:05거기서부터 공부해보자
01:01:07떨리네
01:01:09봐봐
01:01:113x 플러스 1이라는 것을 1차 함수라고 했고
01:01:15그래서 이렇게 생기잖아 그치?
01:01:17오
01:01:18맞지?
01:01:19이렇게 돼 있고 여기 뾰족하잖아
01:01:22딱 3일 때는 등호를 쓰지만
01:01:25네
01:01:26x에다가 화살표를 붙이면
01:01:28x가 3으로 가까이 갈 때 이런 뜻이야
01:01:31그럼 y가 어디로 가까이 가?
01:01:33아
01:01:34아
01:01:35x축은 그냥 x만 판다는 걸
01:01:37y축은 y로 판단해
01:01:38그렇지
01:01:39x는 좌우만 판단하는 거고
01:01:41y는 위아래
01:01:43어디로 가까이 간다고?
01:01:44y는 e로 가까이 가
01:01:46e로 가까이 가는데 e보다 커 작아?
01:01:48e보다 작아요
01:01:49e보다 작아요
01:01:50네
01:01:51너무 좋아
01:01:56너무 좋아
01:01:57이게 고등학교 2, 3학년 형들
01:02:00누나들이 배우는 교과서야
01:02:02여기 있잖아
01:02:03미분계수
01:02:04x가 a로 가까이 갈 때
01:02:05x 마이너스 a분에
01:02:07fx만 5
01:02:08아우리가 썼던 거 적 있네
01:02:10아우리가 썼던 거 적 있네
01:02:12근데 오늘은 맛만 본 거고
01:02:14차근차근
01:02:15그러니까 뭐 공부해야겠어
01:02:16중2과정
01:02:17중3과정
01:02:18고1과정
01:02:19열심히 공부하면
01:02:20훨씬 더 이해 잘 되고
01:02:21아이리는 정말 잘할 수 있고
01:02:23회사님보다 훨씬 더 잘할 거야
01:02:24알겠습니다
01:02:25생동지
01:02:30우리 집에 가면
01:02:32더 먹고 싶어
01:02:33간식이요?
01:02:34수박?
01:02:35아이리 안녕
01:02:37아이리 안녕
01:02:38선생님 우리 집에 무슨 일이세요?
01:02:40너 몰러 갔지
01:02:41귀여워
01:02:43귀여워 이렇게 보니까
01:02:44너 아직 초등학생 맞구나
01:02:45이렇게 보니까
01:02:46요새 영어책 뭐 읽어?
01:02:48이거
01:02:51이거
01:02:53재밌게 봤어?
01:02:54마지막으로 다 읽지는 않았어요
01:02:56음
01:02:57별로 재미없어서 다 안 읽었지?
01:02:58네
01:02:59그렇지
01:03:00딱 봐도 알겠다
01:03:01아저씨가
01:03:03너를 읽으라고 책을 좀 가지고 왔거든
01:03:06아이들 수준에 맞는 책들 구한다고
01:03:09불야불압 구할 수 있는 것들만 일단 구해봤거든
01:03:11리턴 키즈
01:03:13아 안 어려워
01:03:15너 이거
01:03:16태양계에 대한 얘기는 알잖아 다
01:03:18오 홍염이다
01:03:19응
01:03:20홍염이 지구까지 와요?
01:03:21홍염이 지구까지 닿으면
01:03:23인류는 멸총하지 않아
01:03:24멸망하지 않을까?
01:03:25소양소는 지금 이 아파트에 추락하면 어디 죽어요?
01:03:28죽지 않을까?
01:03:30말 나온 김에 한번 해보자
01:03:31야 나도 궁금하다
01:03:32문제를 만들어보자
01:03:33대기를 통과하고
01:03:34어 대기를 통과할 때
01:03:36아 그 일단 가동을 해놔야죠 지름을
01:03:38아 그렇지 그렇지
01:03:40지름이 1cm
01:03:42어떤 속도로 대기를 통과할 때인지 알지
01:03:431kg
01:03:44시속 1kg
01:03:45시속 1kg
01:03:46통과하면 어떨까?
01:03:48아주 흥미로운 책
01:03:50충분히 빨라야 된다
01:03:52초속 11kg 이상
01:03:53아 공중폭발도 일어나는구나
01:03:55어?
01:03:56이런 것도 한번 해보면 좋겠다
01:03:57아이라
01:03:58네
01:03:59이거 읽고 난 다음에
01:04:00매일
01:04:01하나 정도의 문장을
01:04:03챗피티에 질문할 걸 영어로 만들어
01:04:06음
01:04:07이 안에서 이 주제 가지고 이것저것 질문들을 끄집어내잖아
01:04:10네
01:04:11그럼 그걸로 나중에 대본 쫙 만들어가지고
01:04:13칠판 앞에서 발표 쫙 한번 해보자 영어로
01:04:15네 알겠어요
01:04:16제가 준비해볼게요
01:04:17응 그래
01:04:22아 이제 책 읽어야겠다
01:04:24언제 어떻게 할지
01:04:26het is the first spacecraft to see.
01:04:45해왕성에는 왜 검색을 사용되고 있고
01:04:51굿지안
01:04:55피엘스는 우리의 소울 시스템이 제일 강한 planet
01:05:04피엘스는 우리의 소울 시스템이 제일 강한 planet
01:05:08구조해야 된다고 왜 요강을 계속 올려보면서 안 구분한 거예요
01:05:14We know what Venus is.
01:05:20What?
01:05:21You're from so giant world.
01:05:24와, 진짜 많네 생각보다.
01:05:34한번 해봅시다.
01:05:38해보세요.
01:05:39음, lava flows around the Venus surface and why it don't solidify?
01:05:47And the answer is,
01:05:50NASA doesn't solidify quickly,
01:05:53but someday it will solidify.
01:05:58The next question is,
01:06:00why Pluto is not a planet?
01:06:04gravity, tall.
01:06:06아,
01:06:09근데 명왕성은 그중에 뭐가 안 되는 거야?
01:06:11여기서 세 번째가 있어요.
01:06:13와,
01:06:14원래 알고 있었어 그런 거?
01:06:16beauty가 많은 걸 알 수 있더라고요.
01:06:18그렇구나.
01:06:19오쌤님 이런 거 처음 알았다.
01:06:21재밌네요.
01:06:22아이나, 할아버지.
01:06:24제가 오늘은 발표 준비물을 이렇게 해봤어요.
01:06:29괜찮은데, 아들?
01:06:32Why does a spacecraft consist of three separate parts?
01:06:36굳이 세 부분으로 나눴나요?
01:06:38It gets lighter.
01:06:40연료를 다 쓰면 이게 떨어져 나가서 더 가벼워지니까.
01:06:45가벼운 게 더 빨리 나갈 수 있잖아요.
01:06:47I hope you get interesting the part of space.
01:06:50이 발표를 듣고 우주에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01:06:54안녕.
01:06:55아이나, 어떡하지?
01:06:56우와.
01:06:57어우, 사랑해요.
01:07:00아들.
01:07:01네?
01:07:02오늘 어때?
01:07:04설레요.
01:07:06설레?
01:07:07진짜?
01:07:08기대되는 마음대로 있지?
01:07:09네.
01:07:10됐지?
01:07:11아이라, 도착했어.
01:07:13욱서 토론 면술 2초 1.
01:07:17왜 촬영을 했냐?
01:07:19지금 여기에서 책 제목이 뭐였어?
01:07:21제일 움직인하다.
01:07:23자, 지금 번갈아 가면서 읽어볼 건데
01:07:26어떻게 게으르게 살았니, 이 나라에서는?
01:07:28침대에서 누워서 움직이죠.
01:07:30아, 맞아. 침대에 누워서 돌아다니고.
01:07:32창문에 스피커 달려.
01:07:34아, 창문에 스피커 달려 있었지.
01:07:36상상 그만하고 직접 움직이지 않고.
01:07:39움직이지 않고 상상을 하고.
01:07:40네.
01:07:41우리가 지금 얘기한 거 오른쪽에다가 적어볼 거야.
01:07:43게으름뱅이 나라를 알리는 거.
01:07:45이 나라 어떤 점이 좋은지.
01:07:47게으름뱅이 나라는 생각이 현실이 되는 곳입니다.
01:07:54게으름뱅이 나라에 가면 너무 게을러지는 게 문제입니다.
01:07:58저는 일을 열심히 한 만큼 자신의 이익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01:08:03게으름뱅이 나라라는 고전책으로 수업을 해봤고요.
01:08:06지금 3학년 교과 과정에서도 목표가 요약하고 간추리고 이런 것들을 하는 거라서
01:08:11지금 읽고 하는 것들은 지금 되게 잘 이루어지고 있고 어휘량도 잘 가고 있는 것 같아요.
01:08:16지금 아이들이 여러 가지 수준의 독서 다양한 양의 독서를 한다고 했는데
01:08:22그래도 아이들 발달 단계에 적합한 책들은 있거든요.
01:08:25학교에서 권장도서로 주어진다거나 하는 것처럼 당장에는 쉬워 보이지만
01:08:30그거에 대해서 추론적으로 깊이 있게 어머니랑 얘기하고
01:08:33사고해보다 보면 건드려보지 못했던 생각들을 건드릴 수 있거든요.
01:08:37네.
01:08:38너무 상담 감사합니다.
01:08:40네.
01:08:41조정식 선생님 저에게 영어를 즐겁게 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1:08:47거기 지역 이름이 노르망디 지역이야.
01:08:50아.
01:08:51노르망디 상륙적장.
01:08:52네.
01:08:53거기야.
01:08:54세계 2차도.
01:08:55맞아.
01:08:56정승재 선생님 아무리 작은 계산이어도
01:08:59이제 풀이 과정을 꼭 쓰면서 식을 세우는 연습을 할게요.
01:09:03선생님은 정말 잘 가르치시는 것 같아요.
01:09:06아니 내가 일을 가지 아니야.
01:09:07그렇게.
01:09:08그렇게.
01:09:09그녀의 종사인이 בה Birgoff
01:09:14선생님 감사합니다.
01:09:16피처스 사랑해요.
01:09:18바다 Хren
01:09:26손 자세 발 등 좀 붙이고
01:09:28몸이 기억해.
01:09:29모이면 저.
01:09:30이게 말이 돼?
01:09:31주학기 2학년이나 하지?
01:09:32뭐가 되어있을 거야?
01:09:33의사.
01:09:34내일은 뭐 해야 되지?
01:09:35이번 주 뭐 해야 되지?
01:09:36주학기회를 10년 계획세요?
01:09:37기회를 10년 계획이세요?
01:09:385학년 때 강원도로 이사를
01:09:39사립초등학교로 이사를 갔거든요
01:09:41계획표 짠 거는
01:09:42민사구를 목적표로 하고 있거든
01:09:44공부도 체력이 있어야 하는 거야
01:09:45매니저시네
01:09:47아빠의 계획이 맞는 계획이었던 텐데
01:09:48할 말이 굉장히 많고
01:09:49그래요
01:09:50좋은 얘기들은 아닐 것 같아요
01:09:52했어, 서빈아?
01:09:53거의
01:09:54거의?
01:09:55모든 기준이 다 아빠다
01:09:56기계예요, 기계 속에
01:09:57그냥 처음부터 다 뜯어 고쳐야 된다
01:09:59내 말에 들어 봐
01:10:011초가 아까워지고
01:10:02자기 생각은 없어진 거
01:10:04서빈이 어딨냐
01:10:05너 모르는 거야, 너 모르
01:10:06혼자 스스로 계획을 짜는 게 포인트인 거고
01:10:08스스로 해보는 것도
01:10:09후보의 시작입니다
01:10:10아버지가 그렇게 말씀하셨어?
01:10:12저는 나랑 공부하고 있는 거예요?
01:10:14제가 제작진분들한테 부탁을 드렸습니다
01:10:16말씀 한 번 나눠보고 싶다고
추천
5:51
|
다음 순서
1:11:00
1:13:16
1:12:45
1:10:00
1:10:37
24:40
45:48
1:06:24
1:14:13
1:26:19
1:14:49
23:50
1:46:59
1:33:47
1:15:06
22:52
1:12:41
48:04
1:1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