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7. 4.
[뭘먹고 자랐길래] 어린 나이에 치열한 경쟁을 겪은 아이돌에게 집밥은 어떤 의미일까. 마음이 지칠 때마다 떠오르던 한 끼, 다시 힘을 내게 했던 따뜻한 밥상. 잘 먹고 잘 자란 이들이 직접 만들어 본 엄마의 밥을 통해, 그들의 인생을 들여다봤다. 이번 주인공은 그룹 AB6IX의 대휘다.
 
“내 몸은 소중하잖아요. 그런데 늘어져 있고 몸에 안 좋은 걸 먹으면, 제 몸에게 너무 미안하더라고요. 좋은 걸 먹고 운동하면서 내 몸을 챙기는 건, 결국 나 자신을 사랑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국민을 모두 프로듀서로 만든 경연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은 수많은 스타를 탄생시켰다. 그중 그룹 AB6IX의 이대휘는 빼놓을 수 없는 주인공이다. 시즌2 시작부터 센터로 등장해 많은 관심을 받았던 그는 경연 내내 데뷔권인 11위 안을 단 한 번도 벗어나지 않으며 실력을 입증했고, 2017년 꿈에 그리던 데뷔를 이뤘다. 그룹 워너원으로 데뷔한 뒤 2019년 AB6IX로 다시 무대에 올랐고, 이후 프로듀서, 연기, 진행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활동 반경을 넓혀왔다. "친구들을 만나 수다 떨고, 노래방에서 소리 지르면서 스트레스를 푼다"고 말하는 그는 평범한 20대 청년의 얼굴을 하다가도, "보여지는 직업인만큼 관리는 기본"이라고 말하며 데뷔 9년 차 베테랑의 면모를 드러낸다.
 
10대였는데, 어느덧 20대 중반이 됐어요. 돌아봤을 때 가장 힘들었던 순간은 언제인가요? 가끔 저도 '벌써 데뷔한 지 9년이나 됐다고?' 하면서 놀라요. 사실 데뷔 전이 더 힘들었어요. 회사가 크지 않았기도 하고, 과연 내가 데뷔할 수 있을지, 또 데뷔해도 잘될 수 있을지 불안했거든요. 그래서인지 데뷔 후에는 오히려 힘들다는...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9261?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오! 칼이 나지잖아?
00:02네, 왜냐면 칼이 무서우니까.
00:04으으! 너무 징그럽게 생겼어!
00:07너무 징그러워.
00:08오마이갓!
00:09에효!
00:11아하! 제발 주님!
00:12으으!
00:14오마이갓! 꽉뚝!
00:16근데 색깔이 왜 이렇게지?
00:17벽돌 레드가 나와야 되는데.
00:27요랬는데?
00:28요래됐습니다.
00:30안녕하세요, AB6IX 대휘입니다.
00:32요 아이가 먹었던 엄마의 요리를 제가 25살이 돼서 해보려고 하는데요.
00:37제목이 너무 후킹하더라고요.
00:39뭘 먹고 자랐길래 저희 엄마가 해주신 밥 먹고 자란 것 뿐인데
00:44그래, 내가 뭘 먹고 이렇게 귀여워졌는지
00:48공개하고 싶어서 왔습니다.
00:52저희 어머니가 요리를 진짜 못하시는데
00:55된장찌개를 유일하게 잘하세요.
00:57어떻게 끓이는지 너무 사실 궁금했거든요?
00:59제가 요리를 하지 않다 보니까
01:01엄마 이거 어떻게 끓여? 물어볼 기회도 없었는데
01:04이 프로그램을 계기로 저도 엄마의 차돌된장찌개 레시피를 좀 알아갈 수 있어서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01:11제가 어렸을 때부터 고기를 안 먹었어요, 많이.
01:16차도를 많이 넣으셨던 기억이 있는데 아마 그래서 좀 오일리하지 않았나.
01:21그런 킥이 한 번 넣어서 그런지 마시고 싶으세요.
01:23두부?
01:24근데 두부였던 것 같기도 하고 아닌가요?
01:26뭐였어요?
01:27고춧가루.
01:27잠시만요.
01:28고춧가루!
01:29저도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01:31레시피를 보고 킥이 뭔지 제가 맞춰보도록 하겠습니다.
01:37자신이 없어요.
01:38근데 레시피를 보고 요리를 못하면 솔직히 바보 아닙니까?
01:42그 바보 제가 오늘 대보겠습니다.
01:45마트가 있네요.
01:59너무 좋은데요?
02:00잠깐만요, 잠깐만요.
02:02아니 왜요? 그냥 뭐 룰이 어딨어요 요리하는데.
02:06육수를.
02:07시작!
02:08아 몰라.
02:13두부, 두부는 중요하니까.
02:15자, 마크에 있는 두부.
02:18Sustainable US Soy.
02:21좋은 거죠, Sustainable.
02:23요거 하나.
02:24대추.
02:26그냥 다 넣으면 되는 거 아니야?
02:30제가 장을 잘 봅니다.
02:32마트가 있어요, 저희 집 앞에.
02:33그래서 거기서 맨날 쇼핑을 하고 안 먹어서 좀 썩어요.
02:37하지만 그래도 장보는 거 잘합니다.
02:40안 써도.
02:41아, 전혀요.
02:45아니, 굴수는 아니에요.
02:47일단 넣으면 되죠, 뭐.
02:52아, 그런 게 어딨어요.
02:54거기 차돌박이가 어딨어요?
02:56차돌을 많이 넣으셨던 기억이...
02:58차돌박이가...
02:59아.
03:00네?
03:02네.
03:03차돌박이.
03:06아직 시간이 있네요.
03:11아, 그래요?
03:12아, 그래요?
03:13아, 그러는 게 어딨어요?
03:15아, 그러는 게 어딨어요?
03:17아, 그러는 게 어딨어요?
03:19아, 맛있겠다, 두부텐도.
03:25아, 맛있겠다, 두부텐도.
03:29지금 얼마나 남았어요, 시간?
03:31아, 좀 여유롭게.
03:35백화점 마냥 쇼핑을 하겠습니다.
03:39아, 무거워.
03:41내려보시는 거예요?
03:42아니, 잠깐만.
03:45자, 됐습니다.
03:46이거 끝이에요?
03:47네.
03:47다른 게 여기 없는 거 있으면...
03:49네.
03:50끝?
03:52네.
03:53일단 그럼 여기 레틴 신동 아바츠가 끝이라고 하셨으니까요.
03:57네.
03:58내려놓으실까요?
03:59네.
04:00아, 저희가 여기...
04:01아.
04:02아.
04:03네.
04:04한번 확인해 볼까요?
04:06자, 어, 다 넣은 거 같아요, 근데.
04:09어느 거 없나요?
04:10네, 코인 육수, 차돌박이, 에어박.
04:14대파.
04:16대파는 제가 안 먹어요.
04:18어머니, 대파 있어?
04:19에잉?
04:20아직 시간 남았다 했죠?
04:21아니, 아니, 아니, 끝난 거예요.
04:23아, 대파가 없네.
04:25어디요?
04:27대파가 어딨어요?
04:29아니, 소품처럼?
04:32뭐 사진을 공개해야 됩니까, 그럼?
04:38Sustainable US Soy.
04:42이게 너무 좋은 거예요, 여러분.
04:44된장.
04:45된장.
04:46Sustainable US Soy.
04:48이 마크를 찾으세요, 여러분.
04:50이게 뭘까요?
04:51Sustainable, 그러니까 지속 가능한 환경에 좋은 콩?
04:56Good Soy.
04:57Good Bean.
05:01저는 부자입니다.
05:03장을 이렇게 1인 가구인데 제 돈이 아니니까 한번 해봤어요.
05:07너무 많이 했으면 뒤에 놔야겠다.
05:09레시피를 편지로 받았습니다.
05:13제가 그래서 편지를 전 실제로 처음 보는 거라서 낭독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05:19일주일에 한 번씩 제 자취방으로 와주세요, 어머니가.
05:23근데 우리 공책이 있어요, 편지 쓰는 공책.
05:26거기다 이렇게 메모처럼 해두고 가시거든요.
05:28저도 밖에서는 애교를 막 부리는 스타일인데 가족한테 애교를 부리는 게 좀 남사스럽고 그런 거예요.
05:35사실 그렇게 해야 되는데.
05:40이렇게 한 번 읽어볼게요.
05:42우리 아들 대돌이에게.
05:43대돌아, 우리 아들 대위는 아무리 배가 고파도 숙제를 끝내지 않고는 절대 밥을 먹으려 하지 않는 책임감 강한 아이였어.
05:51맞습니다. 제가 공부를 어렸을 땐 열심히 했어요.
05:54책임감은 지금도 강해요.
05:56그쵸?
05:57이 촬영을 펑크 내지 않고 왔다는 것이 진정한 책임감 강한 아이죠.
06:02대위는 어릴 때부터 된장찌개를 좋아했어.
06:05두부보다는 국물을 더 많이 먹으면서 항상 하는 말이 엄마, 두부는 물컹해서 별론데.
06:10국물은 시골 냄새나는 것이 맛있네 이러면서 눈웃음을 치던 우리 아들.
06:14아빠가 좋아했던 음식이 된장찌개와 고등어 조림이라서 특별히 더 많이 만들었던 것 같은데
06:20오늘은 대위 좋아했던 엄마의 특별한 된장 레시피를 알려줄게.
06:24여기에 레시피가 이제 뒤에 딱 나오는데
06:27이대로 제가 그대로 만들어보겠습니다.
06:30고고!
06:35먼저 육수를 냅니다.
06:38물은 저는 섞을게요.
06:40이거랑
06:42한 이 정도면 되나?
06:45근데 몇 미리 넣는지가 안 써있네.
06:47엄마는 한 솥을 하세요.
06:49그러니까 하나에 넣으면 정말 일주일 내내 그걸 먹는 거.
06:53자 1번 먼저 육수를 내야 해 멸치 5마리 다시마 2,3조각 코인 육수로 대체해도 괜찮아.
07:03아휴 정말 아휴.
07:05아니 왜냐면 제 뒷모습을 여러분들에게 보여드리고 싶지 않아.
07:09걱정하지 마세요.
07:13놀라지 마세요.
07:14놀랄 필요가 없어요.
07:16아휴 진짜.
07:18너무 그런 거 아니야?
07:19안 써도.
07:20그런가 봐요.
07:21제 뒷모습을 여러분들에게 보여드리고 싶지 않아.
07:23멸치를 안 넣었네.
07:25넣었네.
07:27그 정도?
07:30대여섯 마리 들어갈 것 같습니다.
07:342번.
07:35이때 차돌박이를 넣고 육수를 우려내면 더 깊은 맛을 낼 수 있대요.
07:39차돌박이를 넣었습니다.
07:43평소에 대위가 고기를 잘 안 먹어서 엄마는 차돌박이를 꼭 넣었대요.
07:49맞아요.
07:50그랬던 기억이 납니다.
07:51벌써 맛있어 보여요.
07:52아 근데 코인 육수로 할 걸 그랬다.
07:54코인 육수로 바꿀게요.
07:55왜냐하면 이런 전 이런 게 싫어요.
07:59이렇게 어떻게 하는 거지.
08:03시간이 없을 땐 빠서 넣는 것도 방법입니다 여러분.
08:083번.
08:09육수가 우러나는 동안 대파, 양파, 애호박, 버섯, 두부를 한입 크기로 싹둑 깍둑 설어놔야 된대요.
08:18자 이거를 어떻게 해야 되지?
08:22까붓어요?
08:23안 까붓어요.
08:24처음이에요.
08:28어?
08:29칼이 나는데?
08:30네.
08:31왜냐하면 칼이 무서우니까.
08:33깍둑 깍둑 깍둑.
08:36자 넣습니다.
08:38.
08:40응?
08:41아 다시.. 아 어떡해.
08:44아 모르겠습니다.
08:46자 썰어놓아야 해.
08:47깍둑 깍둑 깍둑.
08:50자 요정도.
08:51오 너무 무섭죠.
08:56저도요.
08:57어떻게?
08:58저 너무 무서워.
08:59자 깍둑.
09:01양파 버섯.
09:03버섯.
09:04버섯은 좋은 곰팡이.
09:07이거는 좋아해.
09:08너무 징그럽게 찍혔어.
09:11너무 징그러워.
09:12오마이 갓!
09:15제발 주님.
09:17어떻게 해야 되는 거야 이거?
09:23오마이 갓, 깍둑.
09:29아 못하겠어요.
09:31두부는 Sustainable US Soy.
09:38이 마크를 기억하세요, 여러분.
09:40이거 두부는 엽떡 단무지 버리듯이.
09:46이것도 깍둑.
09:50이제 육수가 끓으면 된장을 아주 크게 한 숟가락 넣으면 되는데
09:53된장마다 맛이 다르니까 조금씩 넣고 입맛에 맞게 추가하면 돼.
09:57아주 맛있는 된장이고요.
10:00이 정도?
10:01이 정도?
10:02이 정도?
10:03이 정도?
10:04오오오.
10:05근데 색깔이 왜 이렇게 있지?
10:06그쵸?
10:07좀 되게..
10:08베이지?
10:09하하하하하하.
10:10아니.
10:11벽돌 레드가 나와야 되는데
10:13그니까 냄새는 좋은데
10:15맛이..
10:16다진 마늘 안 넣었다!
10:18그래서 그러네.
10:235번.
10:24이제 다진 마늘을 넣었는데
10:25엄마는 특별히 마늘을 많이 넣었어.
10:27한 숟가락 정도 듬뿍 크게 넣었대요.
10:29항상 마늘 이렇게 떠다녔던 것 같아요.
10:31그 알라리.
10:32한 숟가락.
10:37고춧가루도 한 숟가락 넣어주면 칼칼하니 좋대요.
10:41고춧가루로 좀 컬러를 맞춰볼까요?
10:43네.
10:44컬러.
10:45컬러.
10:46컬러.
10:47컬러.
10:48가감해.
10:50야채가 들어가니까
10:51좀 찌개 같습니다.
10:537번.
10:54중불로 팔팔 끓이다 약불로 줄여
10:56뭉근하게 끓이면 끝이래요.
10:58자 이제 찌개는 기다림의 미학이 필요하죠.
11:02엄마를 위해서 제 디저트를 준비했습니다.
11:04두유 팥빙수 만들어볼게요.
11:06자 여러분 엄마를 위한 디저트를 제가 준비했는데 엄마가 단 거를 진짜 싫어하세요.
11:20그래서 두유를 이용한 빙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11:23두유가 뭐예요?
11:24콩으로 만든 음료잖아요.
11:26근데 나이가 들수록 콩을 먹어야 돼요.
11:30왜냐 단백질이 부족해지니까.
11:32그리고 주름 개선에 그렇게 좋다 하더라고요.
11:34물론 울쎄라 썸아지 너무 좋죠.
11:37근데 이런 거 먹는 거부터 바꾸셔야 건강하게 미모를 챙길 수 있는 거지
11:43그 레이저는 여러분 비쌉니다.
11:46여러분 이걸로 한번 챙겨보시고요.
11:49자 어려운 게 하나 없어요.
11:50전 어려운 거 손 대지 않습니다.
11:52네.
11:53오우.
11:54오우.
11:57자 이런 느낌.
11:59자 이렇게.
12:00울쎄라 저리 가라.
12:03더티 플레이팅.
12:04그냥 압구정 스타일.
12:07이렇게.
12:08올려줍니다.
12:12예뻐요 예뻐요 예뻐요.
12:13디저트 완성.
12:19짠.
12:21완성했습니다.
12:22근데 제 생각보단 잘 나왔고요.
12:25일단 컬러가 처음에는 베이지였는데 중간에 이제 에르메스 오렌지 갔다가 지금은 얼추 벽돌 레드가 구현이 됐습니다.
12:33자 일단 국물만 먼저 먹어보겠습니다.
12:40음.
12:41감자탕 맛이 나요.
12:42저희 엄마 레시피였지만 제가 조금 마법을 부린 것들이 몇 개 있어서
12:48네 이게 후추가 맛있네요.
12:52하여튼 엄마 레시피라고 할 순 없겠네요.
12:55요거는.
12:56팥빙수를 먹어볼게요.
13:01음.
13:02음.
13:04확실히 고소하고 두유로 만들다 보니까 담백해요.
13:07레드 비임.
13:08인절미.
13:09두유.
13:10에브리띵 콩.
13:11근데.
13:13맛있습니다.
13:14요거 너무 입가심으로 좋을 것 같고요.
13:16여러분들 이 레시피대로 요리를 해봐주시고 올려주시면 제가 꼭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13:21그리고 유튜브 댓글에도 남겨주세요.
13:23어떤 맛이 났는지.
13:24그러면 폴라로이드 3장 제가 찍어놓은 게 있어요.
13:27아주 요즘에 얼굴 폼이 좋죠 제가.
13:30그 얼굴 드리겠습니다.
13:32이제는 열심히 돈 버니까.
13:34이제 시켜먹읍시다.
13:36엄마 사랑해요.
13:38대휘는 뭘 먹고 이렇게 잘 자랐나.
13:40엄마의 된장찌개 먹고 자랐지.
13:43늦은 나이에 얻은 귀하디귀한 아이였던지라 온 가족 모두는 물론
13:47주변 지인들에게도 엄청난 사랑과 위암을 받고 자라서
13:50우리 대휘도 남을 배려하고 사랑도 듬뿍 줄줄 아는
13:54따뜻한 심성을 가진 아이로 성장한 것이 너무너무 감사하고 대견해.
13:58식사는 거르지 않고 잘 챙겨먹고 잠도 일찍 자야 건강할텐데
14:03그러기가 쉽지 않지.
14:04잘 차려먹고 지금처럼 그대로 멋지게 살아가면
14:07엄마는 늘 감사할 따름이야.
14:09자라는 내내 너무 귀하고 귀했던 우리 아들
14:11몸 건강히 챙겨먹어 평생 사랑한다.
14:14너를 세상에서 제일 사랑하는 엄마가.
14:20falut기
14:23
14:30
14:33
14:37ods
14:38sehen
14:40alar
14:43Jude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