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빈집' 털러 가는 미사일, 카타르 하늘서 폭발
이란, 카타르 미군기지에 미사일 14발 발사
미국, 이란 핵 시설 3곳에 벙커버스터 14대 투하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이 시각 세계였습니다.
00:30미군 기지를 공습하고서부터였습니다.
01:00이 시각 세계였습니다.
01:30이 시각 세계였습니다.
02:00이 시각 세계였습니다.
02:02그런데 아무튼 이란의 행보가 지금 아직 확정적이진 않아요.
02:06왜냐하면 추가적인 공격 가능성이 여전히 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계산대로 완전히 끝났다고 말하기는 이른데.
02:13다만 지금 화면에 있는 그 아침 상황만 보더라도 이란과 같은 경우에는 확전을 피하기 위해서 미국에게 마치 약속 대련.
02:21내가 어디 때릴 테니까 미리 피해라 하는 식으로 저렇게 통보를 했고 미군의 피해가 한 명도 없었다는 거 아닙니까?
02:28그렇기 때문에 상황은 조금 더 지켜봐야 된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02:33한 발은 또 보니까 기지 외에 떨어졌기 때문에 별로 이미 또 미군 사상자가 없었던 건 다 비워뒀던 모양이에요.
02:41그만큼 약속 대련, 쇼, 보여주시기 타격.
02:44그런데 잠시만요.
02:46중도으로부터 속보가 또 들어온 게 있어서 한번 그것도 만나봐야 될 것 같습니다.
02:50아까 신범철 박사도 말씀하셨다시피 아직 완벽하게 100% 끝난 게 아니다.
02:58이스라엘 국방장관 말은 이란이 휴전을 약속해놓고도 위반했다.
03:05그러니까 소규모 교전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라는 얘기인 겁니까?
03:08네, 그렇습니다.
03:09그러니까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타임라인이 재밌어요.
03:136시간 동안은 작전을 마무리하고 그다음부터 12시간은 이란이 먼저 정전을 해라.
03:20그다음에 12시간에 이스라엘이 그걸 보고 정전을 하면 24시간 후에 완전히 휴전이 되는 거죠.
03:26그런데 그 시간 과정에서 이란이 부분적인 공격을 했다는 보도가 제기되고 있고
03:31그렇기 때문에 이스라엘 측에서는 반발을 하고 있는 상황인 겁니다.
03:35내일 오후 1시까지는 지켜봐야 될 것 같아요.
03:39그게 이제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제시한 6시간 플러스 24시간이거든요.
03:45그때까지는 산발적인 공격 가능성이 있고 산발적인 공격이 조금 더 커지면
03:50트럼프 대통령이 이야기한 완전한 휴전 합의라는 말이 퇴색되게 돼 있어요.
03:56그렇기 때문에 지금 미국이 양측에 엄청난 압력을 넣고 있는 상황일 것이라고 추측을 합니다.
04:01중차 대한식에 이도왕이 기침을 하시면 어떡해요? 깜짝 놀랐어요.
04:05아니, 뭐 농담입니다.
04:07그 신범철 박사님, 그런데 이런 게 있잖아요.
04:10뭐 휴전은 됐다고 하더라도 지금 속보에 나오는 것다시피
04:13이스라엘도 가만히 있지 않고 이란 수도 테헤란을 타격 지시했다.
04:17그런데 어쨌든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이 참전을 하면서 거의 휴전에 들어갔고
04:24이거는 각자 내부 논리, 그러니까 이렇게 끝날 수는 없잖아라는 약간의 분풀이성으로 조그만 교전이 있다고도 볼 수도 없는 겁니까?
04:34그렇게 볼 수 있습니다.
04:36사실 한국전쟁도 휴전 직후에 부분적인 충돌이 있었어요.
04:40모든 전쟁에는 휴전이라는 합의가 이루어진다 해서 완전한 무력 충돌의 종료는 쉽게 보기 어렵습니다.
04:48지금 이스라엘과 이란과 같은 경우에도 왼쪽 화면에 있는 화면에의 최고 지도자 같은 경우는 자기 체면이 중요한 거예요.
04:56그렇기 때문에 자기는 휴전했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고 있죠.
04:59그렇지만 이란 정부의 입장은 이스라엘이 휴전협정을 어겼다고 이야기하니까 휴전이라는 걸 알고 있는 거고 동의를 했다고 볼 수 있고.
05:07네타냐후 총리 같은 경우도 공식적으로는 수락을 했는데 지금 국방부 장관이 이란의 공격이 이어지기 때문에 조금 더 지켜보겠다.
05:16이렇게 이야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내일 오후까지는 조금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05:22이거는 소규모 교전, 문옥 있어요? 제가 중동 현지에 있는 건 아닙니다만.
05:27일단 휴전을 위반했다는 게 양치의 얘기고 참 이례적이었죠.
05:32땡큐라는 표현, 미리 공격 알려줘서 감사하다.
05:34이렇게 일단은 일단락이 될 수도 있는 거지만 아직 단언할 수는 없고.
05:42그런데 이걸 봐야 될 것 같아요.
05:43여전히 트럼프 정부는 궁극적으로 이란 정권을 교체하고 싶다라는 언급을 숨기지 않고 있습니다.
05:49그런데 이런 부분이 있을 거예요.
06:05전문가시니까 신범철 박사께서도 쭉 이번에 한 만 4나흘에 관련된 내용들을 흐름을 보셨겠지만
06:11그래도 이란 하면 군사력도 하고 페르시아의 왕주 역할, 왕 역할을 했었는데
06:17이번에 벙커에 은신도 하고요.
06:20지금 사실 보면 핵과학자도 그렇고 천모총장도 그렇고 수뇌부가 다 숨졌거든요.
06:25이거 이번에 이란 내부에서도 꽤 파열음이 많을 것 같아요.
06:29정말 무능한 모습을 보여줬다.
06:31이렇게밖에 평가할 수가 없습니다.
06:33이란이 사실 이렇게 쉽게 이스라엘에게 공략당할지 아무도 예측 못했습니다.
06:39나름대로의 보복 능력이 있을 거라고 보았는데
06:41사실 초반에 너무 무기력한 모습을 보임으로 해서 이스라엘에게 유린당했고
06:47미국이 폭격을 함에 있어서도 어떠한 피해도 입지 않는 그런 상황이 국제사회가 다 알게 된 거죠.
06:54그렇기 때문에 미국도 레짐체인지, 정권교체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고요.
06:59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계는 있어요.
07:01지상군이 투입되지 않고는 강제적인 정권교체는 불가능합니다.
07:06그래서 미국이 전하는 메시지는 이란 국민들이 스스로 함에네이를 축출해라 하는 메시지를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전하고 있고
07:15얼마 전에 보도 보셨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시청자분들께서 이란이 인터넷을 중단시켰잖아요.
07:22그건 무엇이냐. 내부의 여론이 동요되는 걸 막기 위함이라고 봅니다.
07:26그런 식으로 사실 이란 내부 정황이 함에네이에게 상당히 불리하게 돌아가는 것은 사실이에요.
07:32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제적인 정권교체를 할 수 있느냐.
07:36이것은 여전히 지상군 투입 없이는 유연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07:40일단은 공중전보다는 백병전 같은 지상전이 완벽히 마무리돼야 사실상 휴전이 된다는 얘기까지.
07:49이란 내부도 36년간 집권한 함에네이에 대한 여론이 꽤 많이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07:54종이 호랑이로 전락한 이란 얘기까지.
07:56백기투항 얘기까지 해봤다면요.
07:58그러면 1위를 만나보기 전에 지금까지 들어온 여러분들이 목소리를 만나볼 차례입니다.
08:03첫 번째 백기투항입니다.
08:05최첨단 시스템이 마냥 좋은 것만 아니라 아까 로봇 택시를 언급하신 것 같아요.
08:12얼마나 애들이 무서웠을까요.
08:14아까 저희가 8위로 짚어봤던 부모가 새벽에 일을 나간 이후에 화마이 휩싸였던 그 어린이 두 명 얘기였습니다.
08:22누구든 증인으로 부르라더니 결국 김민석 후보자 청문회는 0명 아니냐라고 했고요.
08:31총리하실 거면 기본적인 수치는 알아야죠.
08:33그리고 앞서 오늘 청문회 과정에서 제가 잠깐 덧붙이자면
08:37그 장모로부터 받은 돈이 아까 일부분들이 돈을 어떻게 받았냐라고 했는데
08:42김민석 후보자가 조금 전에 해명한 모양이에요.
08:44현금 반, 계좌이체 반 이렇게 얘기를 한 것 같습니다.
08:47마지막 볼게요.
08:48법이 만인에게 평등하지는 않다라고 했습니다.
08:52댓글 5개 모두 감사드립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