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이재명 “이건 싸우자는 것”…김문수·이준석에 한마디
채널A News
팔로우
2025. 5. 18.
이재명 “이건 싸우자는 것”…김문수·이준석에 한마디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그럼 이재명 후보부터 주도권 토론 시작하시죠.
00:04
우리 사회가 참으로 토론 대화가 많이 부족합니다.
00:10
토론과 대화를 하려면 상대를 존중하고 왜곡하지 말아야 됩니다.
00:14
상대의 말을 왜곡해서 조작을 해서 네가 이렇게 말했지 이렇게 주장을 하면 이건 토론이 아니라 싸우자는 거죠.
00:22
규제 프리도시라고 우리 김문수 후보 말씀하시면 규제가 전혀 없단 말이야?
00:27
그러면 교통신호도 없애겠다는 거야? 이런 식으로 말하면 안 되는 거죠.
00:32
그건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꼭 필요한 규제 외에는 대부분 풀겠다 이런 뜻으로 저는 이해를 합니다.
00:39
앞으로 토론에서 상대가 하는 말이나 이런 것들을 왜곡해서 조작해서 없는 말 가지고 또는 엉뚱하게 이렇게 안 하면 합리적인 토론이 가능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합니다.
00:51
마찬가지예요.
00:53
이준석 후보 지금 농촌 기본소득 5조 원, 7조 원 들었는데 하겠다는 거냐.
00:59
농촌 기본소득을 저희가 도입을 하는데 제가 그렇게 다 전면적으로 한다고 하지 않았어요.
01:04
예를 들면 도, 시군, 특이군 되겠죠.
01:08
이런 데서 매칭으로 조금씩 나눠서 하고 가능한 범위에 예를 들면 인구 소멸 위기가 큰 지역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한다고 하지 않습니까?
01:17
그걸 왜 한꺼번에 한다고 전제를 하고 공격을 하나 이해가 좀 안 된다 이 말씀을 드리고요.
01:24
기업 규제 합리화 얘기를 많이 하시지 않습니까?
01:26
저도 동의합니다.
01:28
기업 규제, 불필요한 규제가 많죠.
01:31
공직자, 공무원들이 좀 자기 편하려고 하는 그런 규제가 많아요.
01:34
그런 건 당연히 줄여야죠, 없애거나.
01:37
또 시대에 안 맞는 규제가 많아요.
01:39
그런 거 없애야죠.
01:41
또 새로운 영역에 대한 신설 규제도 가능하면 절제하는 게 필요하죠.
01:44
저는 이래서 규제에 대해서는 이렇게 표현하고 싶어요.
01:48
완화, 해소 이렇게 말하지 말고 합리화하자.
01:51
필요한 규제는 강화하고 불필요한 규제는 해제하거나 완화하자.
01:55
합쳐서 규제, 합리화 이런 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01:59
김은수 후보님, 제가 하나 여쭤볼게요.
02:02
김은수 후보님도 경기도지사를 하셨는데 수도권 규제 완화해야 된다고 많이 주장하셨죠?
02:08
그렇습니다.
02:08
저는 아주 적극적으로 주장했습니다.
02:10
그럼 수도권 규제를 그렇게 완화를 하면 수도권 집중에 따른 대한민국의 지속성장에 장애되는 요인, 지방이 소멸하는 이 문제 어떻게 합니까?
02:19
지금 수도권 규제 완화 중에 하나가 바로 평택 삼성 반도체 공장 120만 평이 규제 완화로 가능했고요.
02:30
또 이천에 SK하이닉스도 콩밭을 하던 것을 규제를 완화해서 하이닉스를 했습니다.
02:38
그럼 그것이 지방에 마이너스가 됐습니까?
02:41
다 외국으로 가려고 하는 기업을 제가 유치를 해가지고 지방 사람들도 거기 와서 다 취업을 하고 그게 지방에 무슨 문제가 있습니까?
02:51
알겠습니다.
02:52
말씀의 취지는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완화하자는 거지 수도권을 대폭 규제를 풀어가지고 팽창시키자.
02:59
그건 아니라는 말씀이죠?
03:00
제 주장은 지방을 우선 해제하고 그다음에 수도권을 합리적인 해제를 하자.
03:07
규칙은 좀 치게 가면서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03:10
어쨌든 알겠습니다.
03:12
그런데 아까 규제 프리도시 말씀도 하셨잖아요.
03:15
저는 수도권에 대한 규제를 합리화할 필요가 있다.
03:19
예를 들면 말씀하신 것처럼 규제를 안 풀어주면 해외로 나갈 기업들.
03:23
이런 건 우리가 받아야 되겠죠.
03:25
해제 완화를 해서 잡아놔야 되겠죠.
03:28
해외에서 기업이 들어오는데 수도권 외에는 도저히 갈 수가 없다.
03:30
그런 경우는 필수적이니까 하는데 그 외에 수도권의 용도 규제를 완화한다든지 일반적 규제를 완화한다든지 이런 건 좀 하면 안 된다.
03:41
그건 지방에 대해서 기회를 박탈하는 거다.
03:44
이 생각을 말씀을 드리고 저는 시장 또 도시사를 할 때도 이 주장은 계속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03:51
우리 다른 분한테 한번 여쭤보려고 해요.
03:53
이 지방을 다녀보면 실제로 매우 심각하잖아요.
03:59
지방 소멸 문제가.
04:00
그런데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지방에 기업도 있어야 되고 학교도 있어야 되고 주거 문화, 생활 환경도 좋아야 되고
04:08
지방인 사람이 서울로 오지 않게 뭔가를 해야 되는데
04:11
저는 거기에 핵심적 요소가 몇 개 있다고 생각해요.
04:14
첫째는 지방으로 갈 경우에 앞으로 에너지 문제가 상당히 심각할 텐데
04:19
서남해안 동해안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 갈 거니까
04:24
그쪽에 전력 요금을 차등을 좀 둬가지고 전력이 생산되는 지역에 좀 싸게 에너지 공급을 해주면 좋겠다.
04:33
두 번째는 지방으로 갈 경우에 대규모로 좀 감세나 면세를 좀 해주자.
04:38
세 번째는 예를 들면 세 번째로는 규제를 대대적으로 좀 완화, 꼭 필요한 규제 외에는 완화해주자 이것이고요.
04:48
거기 덧붙여서 전국 단위로 서울대처럼 못 되겠지만 거점 단위로 국립대학들 집중 지원을 해가지고
04:56
좀 거기서 인재들이 양성될 수 있게 하면 좋겠다 이 생각을 하고 있는데
05:00
우리 권영국 후보님은 이런 지방균형발전 문제에 대해서 근본적인 대책이나 이런 거 고민해보셨는지 말씀해주시죠.
05:08
예, 저는 기본적으로 지방분권을 먼저 고민을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05:15
지금 읍면동의 자치권이 1961년, 60년이겠죠.
05:20
그 5, 6혁명, 아, 9대타 때 그때 자치권이 사라졌습니다.
05:27
지금까지도 회복이 안 되고 있습니다.
05:30
이 문제부터 짚겠습니다.
05:32
두 번째는 차라리 이렇게 제안 드리겠습니다.
05:35
재생에너지가 있는 곳에 공장을 설립할 수 있는 허가를 내줄 수 있도록 정책을 하면
05:43
훨씬 더 빨리 지방분산과 지방에서 에너지를 서울로 끌어오지 않고 지방에서 할 수 있도록 그 제안을 드리겠습니다.
05:52
그러니까 전력요금을 지금은 생산지와 원격지의 소비지의 가격이 똑같은데
05:59
장기적으로는 그 차등을 좀 둬서 왜냐하면 송전의 비용이 드니까요.
06:03
거의 합리적이죠.
06:04
생산지 가격을 낮추면 서남해안, 호남, 또 경남 이 지역에
06:08
지금 이준석 후보는 잘 동의를 안 하지만 데이터 센터라든지
06:13
재생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그런 기업들을 유치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06:18
정말로 중요한 것은 이 나라가 이제는
06:21
중앙 집중으로는 도저히 더 이상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06:26
지방에 대한 분권과 지원을 이제는
06:29
시액 아니라 국가가 존속, 지속 발전하기 위한 필수 정책이다, 전략이다.
06:34
이렇게 생각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추천
1:30
|
다음 순서
[여랑야랑]너도 나도 현장으로
채널A News
오늘
14:32
심야 의총서 “단일화 빨리 결단”…김문수·당 지도부 충돌
채널A News
2025. 5. 6.
24:38
김문수, 대선 후보 일정 중단…“당에서 끌어내리려 해”
채널A 뉴스TOP10
2025. 5. 6.
3:30
“지인이 울면서 전화”…신애라, 사망설에 일침
채널A 뉴스TOP10
2025. 6. 15.
1:29
모든 혐의 “아니다” 부정하더니…허경영 구속
채널A 뉴스TOP10
2025. 5. 17.
4:27
시민단체 ‘대북전단 살포’ 이유…“생사 확인만 해달라”
채널A News
2025. 6. 16.
7:30
민주당, ‘방탄 입법’ 강행…국힘 “차라리 李 유죄금지법”
채널A News
2025. 5. 8.
6:21
[핫피플]트럼프, 머스크 신당 창당에 “터무니없는 일”
채널A News
2025. 7. 7.
3:15
與 일각 “탄핵심판 변론 재개”…헌재 겨냥 총공세
채널A News
2025. 3. 11.
11:47
유시민 “표현 거칠었다”…주호영 “나라 발전 기여한 국민 모독”
채널A News
2025. 6. 3.
6:23
[핫피플]트럼프 “북한과 갈등 풀겠다”…北 “날강도적인 美”
채널A News
2025. 6. 30.
10:08
민주당, ‘한덕수 탄핵’ 유보…“인내·자제하는 과정”
채널A News
2025. 4. 17.
12:54
尹 “국민·미래세대에 감사”…지지자들 감격 환호
채널A 뉴스TOP10
2025. 3. 8.
19:49
野 “가짜뉴스 유포 내란선동”에…與, “카톡 계엄령” 비판
채널A News
2025. 1. 13.
4:58
권영세 “韓, 계엄 직후 ‘위헌·위법’ 발언 성급”
채널A 뉴스TOP10
2025. 2. 17.
5:47
“찢겠다” 따졌더니…사과한 이재명, 사과 요구
채널A News
2025. 5. 27.
2:13
“내일쯤 종합 보고”…이 대통령, 어떤 결정할까?
채널A News
어제
3:10
“검찰총장 절대 탄핵 못한다”…왜?
채널A 뉴스TOP10
2025. 3. 10.
13:35
“신당 창당” 머스크에 맹공…트럼프 “탈선 사고”
채널A News
2025. 7. 7.
1:24
“나 유도왕인데”…난동 부리다 제압당한 남성
채널A News
2025. 5. 23.
5:56
‘트럼프 주파수’ 맞추기?…홍준표 “취임식 참석 조율 중”
채널A News
2025. 1. 14.
2:15
[앉아서 세계 속으로]“레서판다가 깨워줘요”…中 호텔 ‘동물학대’ 논란
채널A News
2025. 6. 24.
12:19
김용태 “李 대통령, 재판 받을 건가”…대통령실 “입장 없다”
채널A News
2025. 6. 9.
13:46
尹 “정치인 체포는 터무니없는 주장…상식에 반해”
채널A News
2025. 2. 26.
5:01
“이재명 무죄 확신” 포럼 연 ‘친명계’
채널A 뉴스TOP10
2025.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