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신당 창당” 머스크에 맹공…트럼프 “탈선 사고”
채널A News
팔로우
그저께
트럼프 맞서는 머스크… 단지 '감세법' 때문?
트럼프 "머스크, '전기차 지원책' 폐지에 창당"
트럼프 "머스크, 통제불능… 탈선한 열차 같아"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We had one president who couldn't climb a flight of stairs
00:03
and another who was fist-pumping after getting shot.
00:08
Fight! Fight! Fight!
00:10
Anybody unhappy can say it.
00:12
If you are, we'll throw him out of here.
00:23
You know, he could lose a lot more than that.
00:25
I should tell you right there.
00:26
I don't know. I don't know.
00:31
I don't know.
00:40
과거의 계곡 공신이 어느덧 반란군이 됐습니다.
00:43
트럼프의 새 정부 창출에 1등 공신이었던 머스크가
00:47
특히 미국 정부의 요지까지 차지해 대규모 인력 해고까지 단행했었는데
00:52
퇴임날에 저렇게 트럼프로부터 황금 열쇠까지 받았었었죠.
00:58
그런데 이 좋았던 분위기 이제 다 모두 옛날 일이 된 겁니다.
01:02
앨범 Özdemir
01:09
에스파트
01:09
участв98년
01:13
этот
01:15
트럼프의
01:15
따뜻할 시간
01:17
그동안
01:21
그따
01:33
그러니까 무슨 일이냐. 머스크는 트럼프가 추진하는 감세법이 미국을 파산시킬 수 있다면서 이렇게 신당 창당을 선언했습니다.
01:43
그러자 기다렸다는 듯 트럼프 조금 전에 이거는 탈선사고다, 또 터무니없다면서 강력하게 비판하고 나섰습니다.
01:52
전 전문 교수님, 이 정도면 두 사람의 관계가 거의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넜어요?
01:56
그런 관계라고 볼 수밖에 없죠. 사실 지난달에 1차적으로 충돌이 한 번 있었어요.
02:00
감세법안에 대해서 반대 입장을 냈었는데 그런데 머스크가 약간 꼬리를 내리면서 봉합되는 듯한 모습을 보였거든요.
02:06
그런데 이 법안을 추진하면서 실제 서명까지 들어가자 머스크가 다시 반격을 시작했습니다.
02:12
바로 신당 창당의 가능성을 띄우더니 결국 신당 창당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름은 아메리카당입니다.
02:18
그 당을 만들겠다고 얘기를 했는데 사실은 이제 트럼프 입장에서는 이런 모습이 달갑지 않잖아요.
02:23
그래서 자신의 최근 자신이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좀 깎고 삭감하고
02:29
그다음에 테슬라와 정부와의 계약 관계를 끝내고 이런 것들 때문에 일론 머스크가 화가 났다.
02:36
그래서 완전히 벗어나서 사실상의 탈선사고를 냈다고 얘기를 하고 있고요.
02:40
그리고 이제 일론 머스크는 여기에 대해서 여러분들에게, 일방국민들에게 자유를 돌려드리기 위해서 아메리카당이 창당됐다고 얘기를 했습니다.
02:47
트럼프는 어떤 얘기까지 했냐면 머스크의 사업체에 대해서도 불이익을 줄 수 있다고 얘기했고 또 하나 추방도 할 수 있다.
02:54
이런 얘기까지 건넸습니다.
02:56
머스크는 왜 통제불능의 탈선 열차가 됐다고까지 빗대해졌을까요?
03:03
물론 트럼프 입장에서는 표면적으로는 감세법에 대한 의견 충돌이다 이렇게 설명을 하고 있지만
03:10
이미 두 사람이 한창 친했을 때도 사실 감세법은 추진 중이었습니다.
03:15
허주연 변호사, 그러면 진짜 속세정은 따로 있는 거 아니에요?
03:19
사실 이번에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있어서 머스크의 지원 사격은 정말 결정적인 어떤 한방이 되었다고 말해도 무방할 정도로 정말 대단한 어떤 역할을 하긴 했거든요.
03:30
이렇게 대정을 들여서 지원을 할 때는 결국에는 머스크가 자기 어떤 입김이 앞으로의 정책에 반영이 돼서 인사도 자기가 어느 정도 원하는 사람을 안치고
03:42
그리고 앞으로의 정책 방향도 자기가 원하는 쪽으로 나아가서 결국에는 자기 사업에 도움이 되고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 그렇게 했던 거 아니겠습니까?
03:51
그런데 감세법안에 반대를 하는데도 밀어붙인 것이 표면적으로는 두 사람 사이가 와장창 깨어진 것에 아주 결정적인 계기가 되긴 했지만
04:00
그 전부터 사이는 좋아 보였지만 내부적으로 부글부글 끓는 충돌들이 있었습니다.
04:06
그러니까 사실 준비위를 할 때부터 내부에서 트럼프 인사와 머스크 쪽 인사의 어떤 방향이 다를 때마다 충돌이 굉장히 말월하고 저택이 있을 때부터 심화됐다는 얘기들이 나왔었는데
04:20
최근에 머스크가 지금 스페이스X를 통해서 항공 산업의 굉장히 영향력을 행사하고 싶어 하잖아요.
04:26
그런데 나사, 그러니까 항공우주국 국장으로 자신의 친분이 있는 아이장맨을 임명해달라 이렇게 요청을 했는데
04:33
이 부분을 트럼프가 받아들이지 않았고 이걸 반대하는 국무장관과 머스크가 그야말로 몸싸움 수준이었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엄청난 충돌이 있기도 했었습니다.
04:44
뿐만 아니라 루비오 국무장관과도 충돌이 있었거든요.
04:47
그러니까 머스크 쪽에서 원하는 인사도 제대로 되지 않고 머스크가 굉장히 중요하게 추진하고 있는 어떤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도 삭감하고 전기차 의무 구입도 폐지가 되고
04:58
그리고 스페이스X에 대한 어떤 추진도 자기가 원하는 대로 연결이 되지 않고 국세청장 인사와 관련해서도 문제가 있고
05:06
전방위적으로 머스크가 구상하는 국정 운영 방향이 계속해서 반영이 되지 않는 쪽으로 흐르는 거예요.
05:12
그러다 보니까 결과적으로는 이렇게 결별하게 된 수순으로 밟지 않았나 싶습니다.
05:17
그러니까 머스크가 보면 트럼프 행정부에서 저렇게 나 대규모로 한번 인력 감축 좀 해보겠다면서 전기톱까지 들고 막 퍼포먼스에 나섰지만
05:28
결국에 인력 문제를 놓고 불만이 내부적으로 차곡차곡 쌓여 왔었다는 겁니다.
05:35
그러고 보면요.
05:36
머스크의 5살짜리 어린 아들이 툭 던져서 화제가 됐던 이 말이 마치 오늘 상황을 예견한 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05:44
그런데 이 부분이 의문이에요. 이남희 기자.
05:59
머스크가 신당 창당을 한다고 해도 미국은 사실 민주당, 공화당, 양당 체제잖아요.
06:04
그러면 머스크는 이걸 어떻게 좀 깨겠다는 거냐 이게 의문점이 남는데 SNS를 하나 보면 힌트가 보여요.
06:11
그러니까요.
06:12
보면 고대 이걸 그리스 전투에 비교하면서 그러니까 집중된 병력을 정확한 위치에 놓겠다.
06:20
이게 어떻게 극복하겠다는 거예요?
06:21
고대 그리스 전쟁 얘기 즐겨보시는 분들, 영화 즐겨보시는 분들은 이 얘기 아실 거예요.
06:27
기원전 371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06:30
그리스의 신흥국 테베라는 나라가 있고요.
06:32
그때 군사 강국인 스파르타와 맞붙습니다.
06:35
스파르타는요. 병력이 보병만 1만 명이 넘는데 이 테베라는 나라는 병력이 6천 명에 불과하거든요.
06:42
그 넓은 전장에서 집중된 병력을 꼭 필요한 곳에 투입을 해가지고 이 스파르타를 꺾습니다.
06:50
그 레옥트라 전투라는 건데 이거를 가져오면서 나도 그렇게 하겠다라고 얘기한 겁니다.
06:56
그래서 목표치까지 제시를 했어요.
06:59
그러면 머스크가 SNS 이런 식으로 얘기를 했어요.
07:02
내년 11월 중간선거가 있는데요.
07:06
상원에서는 2, 3석 그리고 하원에서는 8석에서 10개 선거구에 집중적으로 표를 얻어서
07:13
결국은 논쟁적인 순간에 캐스팅 보트를 행사해서 내가 결정적으로 표를 막겠다.
07:19
양당을 싫어하는 사람들을 내가 가지고 와서 결정적인 법안은 저지하겠다라고 콕 집어서 설명을 한 건데
07:27
제가 볼 때는 한국보다도 3당 만들기 쉽지 않아 보이긴 합니다.
07:31
어쨌든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해보겠다는 게 머스크의 구상입니다.
07:36
그런데 머스크는 트럼프의 감세법을 동조하는 의원들의 이렇게 낙선 운동까지 하면서 제대로 일을 갈고 있습니다.
07:44
그런데 여기 빨갛게 칠한 문구를 보면요.
07:47
내가 세상에서 하는 마지막 일이 된데도 아니 그러니까 머스크로서도 좀 살아있는 권력이랑 각을 세우는 거에 대한 부담감이 느껴지는 것 같기도 해요.
07:57
그러니까 트럼프랑 SNS 통해서 설정 벌일 때도 확전까지 가기 전에 머스크 쪽에서 사실상 먼저 약간 꼬리를 내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었거든요.
08:08
왜냐하면 머스크도 알고 있는 겁니다.
08:10
지금 일단 자신이 권력을 잡은 상황이 아닌 이상 자신이 사업가로서는 규제가 있으면 사업을 추진하기가 쉽지가 않고
08:18
또 정부와 맺은 계약도 어마어마한 규모로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정치권, 특히 트럼프와 각을 세우는 걸 두려워하는 마음이 내심 있겠지만
08:27
그렇지만 지금 신당 창당까지 한 이상 이제는 사실 돌아올 수도 없는 강을 건넌 상황이다 이런 생각이 들거든요.
08:33
지금 머스크가 빅 뷰티풀 빌 액츠 그러니까 이 감세 법안을 반대하는 이유는요.
08:39
감세 법안이 어마어마한 재정 적자를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이에요.
08:42
이게 왜 문제가 되냐면 세금을 줄이게 된다고 하면 그만큼 재정 제출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건데
08:48
문제는 지금 팬데믹을 거치면서 어마어마한 고금리 상태이기 때문에
08:53
지금 미국이 쓰는 국방비가 천조가 넘는 데서 천조국이라고 하잖아요.
08:58
그거보다 이자가 더 높은 상황이 작년부터 벌어졌습니다.
09:02
만약에 이런 상황이 계속해서 유지가 된다고 하면 미국의 재정이 상당히 위기 상황으로 전락할 수가 있거든요.
09:09
머스크가 두려워하는 부분은 바로 이런 부분이기 때문에 이 감세 법안에 동조를 한 것이 사실상은 매국론화 다름없다.
09:16
지금 이렇게 강하게 비판을 하고 있는 거거든요.
09:19
머스크가 주장한 것은 선택과 집중을 해야 된다.
09:21
그러니까 자신이 몸담고 있는 전기차 사업 그리고 태양광 같은 미래 먹거리에만 집중적으로 투자를 하고
09:27
정부 효율부 수장으로서 나머지 지출은 줄이자라고 얘기를 했는데
09:31
지금 트럼프의 기조는 완전히 이와 반대로 가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09:35
그래서 지금 제3당까지 창당을 하면서 맞서고 있는 상황인데
09:40
사실 미국의 역사가 공화당과 민주당의 양당 기조가 굉장히 뚜렷했고
09:45
재벌이라든가 유력 인사가 제3당 창당하려는 시도를 했지만 한 번도 성공한 적은 없었어요.
09:50
그런데 만약에 경제 위기까지 맞물린다고 하면 이번 머스크의 신당 창당이 성공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시각도 있습니다.
09:58
그렇군요.
09:59
머스크로서는 사실 이 상황이 조금 부담스러울 것 같습니다.
10:03
왜냐하면 이미 트럼프와 정치판에 뛰어들면서 여론 반발이 거세지면서
10:10
저렇게 곳곳에서 테슬라 방화 사건들이 잇따르기 시작했었습니다.
10:17
저런 상황들이 좀 주변에서 있어 왔기 때문에
10:19
이번 신당 창당이 어떻게 보면 승부수가 될지
10:23
아니면 트럼프 말대로 머스크가 정말 남아공으로 추방될 가능성까지도 있지 않을까요?
10:29
그럴 가능성을 저는 배제할 수 없는데요.
10:31
사실 머스크 입장에서는 선거에서 공화당의 의원들 중에 상하원 의원들 중에
10:37
트럼프의 반기를 들면서 불출마를 선언하거나
10:40
또는 공천신청인데 공천이 안 될 수도 있잖아요.
10:43
이런 사람들, 이런 사람들을 영입해서 지금 정당을 만들겠다는
10:46
그런 계획을 갖고 있는 걸로 보입니다.
10:48
실제 미국의 조사를 보니까요.
10:51
니 드루트먼이라고 하는 회사에서 2022년도에 조사를 했는데
10:55
자기를 중도, 즉 양당을 지지 않는 중도층이라고 표현한 사람들의 숫자가 39%, 약 40% 가깝거든요.
11:02
그래서 이 정도라고 하면 충분히 3당으로서 가치가 있지 않겠나
11:05
성공 가능성이 있지 않겠나 이렇게 전망하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
11:08
미국에서 좀 계신 분들은 알겠지만
11:10
대를 이어서 공화당이든 민주당이 지지하는 경향이 좀 셉니다.
11:14
그래서 3당에 성공할 가능성은 낮고
11:16
또 언론들이 분석하는 과정에서 3당이 성공할 가능성이 낮다고 하는 이유 중에 하나가 뭐냐면
11:21
주마다 일단 여러 가지 법과 규제가 다릅니다.
11:24
정당을 만드는데
11:25
캘리포니아로 예를 들면 정당 등록을 하려면요.
11:29
유권자의 0.33%, 그러니까 약 7만 5천 명이 당원으로 가입을 하거나
11:33
또는 110만 명의 서명이 들어가야 창당이 가능해요.
11:37
그리고 그걸 계속 유지를 하려면
11:39
아까 말씀드린 유권자의 0.33%가 정당으로 당원으로 계속 가입을 했어야 되고요.
11:44
아니면 주선거에서 최소 2% 이상을 득표해야 되는데
11:48
이걸 얻기가 어려울 거다라고 하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입니다.
11:52
이런 CEO의 배수진에 테슬라에 투자한 이른바 서학개미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11:58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투자하는 대표적인 해외 주식으로도 알려져 있죠.
12:02
반면에 환호가 터져나오는 쪽도 있다고 합니다.
12:06
바로 머스크가 이렇게 극찬했던 나라입니다.
12:08
중국 SNS에서 머스크를 향해서 형제님이라고 부르고 대통령감이다 이런 극찬까지 나와요.
12:37
그게 지금 트럼프의 미국이 중국을 상당히 견제하고 있는
12:42
어떻게 보면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에서
12:44
트럼프와 머스크가 절친인 줄 알았는데
12:47
머스크가 트럼프와 관계가 좋지 않아지는데
12:51
리창 총리와의 관계는 2019년부터 굉장히 두터웠거든요.
12:55
지난 4월에 전용기 타고 갑자기 중국으로 날아가서
12:58
저렇게 만나기까지 했었거든요.
12:59
그러다 보니까 아마 중국에서는 머스크를 응원하는 게 아닌가 싶고
13:03
특히 지금 머스크가 중국의 자율주행 관련해서
13:07
사업을 굉장히 크게 버리고 공장도, 테슬라 공장도 만들려고 하고 있어요.
13:11
그렇다고 하면 중국으로서는 어마어마한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을 것이고
13:15
머스크로서는 10억 중국인에게 여러 가지 차를 팔거나
13:19
자기의 사업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먹거래와 시장이 열리는 셈이잖아요.
13:23
그래서 둘의 밀월 관계가 형성이 돼서
13:25
중국인들이 이렇게 머스크를 지지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13:27
세계 최고 갑부의 신당이 그럼 진짜 캐스팅 보트가 될 것인지
13:32
찻잔 속에 태풍에 그칠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추천
7:53
|
다음 순서
소상공인-식자재 마트, ‘소비 쿠폰’ 놓고 갈등 확산
채널A News
오늘
4:05
민주 "윤에 1분 자유도 허용 안 돼"...야당 혁신위원장에 윤희숙 / YTN
YTN news
오늘
4:23
대형 참치 1300마리…눈물의 ‘전량 폐기’, 왜?
채널A News
오늘
4:48
이시영, 냉동 배아로 둘째 임신…“전 남편 동의 없었다”
채널A News
오늘
5:47
“찢겠다” 따졌더니…사과한 이재명, 사과 요구
채널A News
2025. 5. 27.
19:49
野 “가짜뉴스 유포 내란선동”에…與, “카톡 계엄령” 비판
채널A News
2025. 1. 13.
6:23
[핫피플]트럼프 “북한과 갈등 풀겠다”…北 “날강도적인 美”
채널A News
2025. 6. 30.
11:47
유시민 “표현 거칠었다”…주호영 “나라 발전 기여한 국민 모독”
채널A News
2025. 6. 3.
4:12
“돈 돌아야 경제 살아”…이재명 ‘호텔 경제학’ 논란
채널A News
2025. 5. 21.
6:54
“금 나와라 뚝딱”…자동판매기 골드바도 ‘완판’
채널A News
2025. 2. 17.
2:32
“답답하다”며 비상문 개방한 승객…에어서울 여객기 회항
채널A News
2025. 4. 15.
11:31
나훈아 “니는 잘했나” 발언에…野, 잇단 비판
채널A News
2025. 1. 13.
2:25
안내견 보자 “죄송, 양보 좀”…시각장애인 배려한 기사
채널A News
2025. 4. 3.
6:18
李 “함께 힘 모을 수 있길”…洪 손잡을 가능성은?
채널A News
2025. 5. 13.
7:40
이재명 “진보 ‘새 길 찾는 사람’…저는 보수적 색채 강해”
채널A 뉴스TOP10
2025. 5. 4.
3:10
“검찰총장 절대 탄핵 못한다”…왜?
채널A 뉴스TOP10
2025. 3. 10.
1:24
“나 유도왕인데”…난동 부리다 제압당한 남성
채널A News
2025. 5. 23.
4:29
이재명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할 것”
채널A News
2025. 2. 10.
10:55
“공수처 영장은 위법”…경찰 영장 집행엔 응할까?
채널A News
2025. 1. 6.
7:23
유시민 “李 비판 망하는 길”…비명계 잠룡들 발끈?
채널A News
2025. 2. 8.
6:03
사상 초유 ‘대대대행’ 체제…이주호 “혼신 다해 국정 챙겨야”
채널A News
2025. 5. 3.
1:51
폭언 듣고 숨진 증권사 직원…法 “업무상 재해”
채널A News
2025. 2. 17.
3:16
홍준표 “부정선거 정 의심되면 감사원 나서야”
채널A 뉴스TOP10
2025. 1. 29.
8:57
김혜경 “기소유예 취소해달라” 헌법소원
채널A News
2025. 3. 21.
7:13
與 “이재명, 재판 지연 꼼수의 새 역사”
채널A News
2025.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