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조선 트럼프, 대화 재개 의지 밝혔지만 北, 러와 밀착 강화하며 미국 비난
동아 트럼프 "北과 갈등 해결" 러브콜 보내면서도 "분쟁은 우리와 무관"
서울 트럼프 "김정은과 좋은 관계…우리가 갈등 해결할 수 있을 것"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자, 바로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입니다.
00:05이란의 핵 문제를 어떤 미국의 개입으로 일단락 지은 데 성공한 트럼프 대통령이
00:11이번에는 백악관에서 기자들을 만나서 북한 김정은과의 갈등을 풀겠다고 밝혔습니다.
00:16들어보시죠.
00:30노벨 평화상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트럼프 대통령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00:47뭔가 어떤 업적과 성과도 지금 필요한 미국의 대내적 상황인데
00:51일단 이란이 국제사회를 무시하고 핵 개발을 강행하는 것을 멈춰 세우는 데 성공했단 말이죠.
00:58그리고 나서 백악관에서 기자들을 만나서 했던 말이 곽태 교회님 북한 문제였거든요.
01:04김정은하고 나는 좋은 관계가 있다.
01:07누군은 잠재적 갈등이라고 했지만 내가 만나서 해결할 수 있다.
01:11이런 문제 해결하고 북한 문제 해결하면 난 노벨상이다.
01:14이런 얘기로도 좀 들리거나 하는데 우리 정부가 이때 좀 긴장해야 된다.
01:18전문가들은 이런 지적도 하고 있어요.
01:20그러니까 지금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 보면 이란의 미국이 군사적 개입을 해가지고
01:26지금 이스라엘과 이란과의 전쟁이 휴전된 상태니까 본인의 역할이 굉장히 컸다.
01:32이것을 지금 홍보하고 싶은 심정이겠죠.
01:36그런데 여기에 지금 북한 핵 문제 또 김정은과의 관계가 이제 대비되다 보니까
01:41그것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이야기는 했습니다.
01:44그렇지만 지금 2019년 미국 정상회담 이후에 지금 대화는 단절된 상태고
01:53지금 북한의 핵 문제라고 하는 것은 또 이란의 핵 문제와는 차원이 좀 틀린 문제거든요.
02:00그런 부분에 대해서 굉장히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일 것 같고요.
02:05우리 입장에서는 지금 북한과 또 미국이 우리 정부, 우리 국민의 어떤 의사를 뛰어넘는
02:14그런 제외시킨 그런 상태에서의 어떤 대화 이런 것에 대해서도 상당히 우려를 하고 있는 상황이고
02:21더더군다나 이란의 케이스처럼 무력 사용 이런 것은 원천적으로 배제해야 될 해결 방법이기 때문에
02:28이란의 그런 상황에서의 미국 그리고 드럼 대통령의 역할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다.
02:36그래서 굉장히 신중하게 그리고 우리 정부와의 사전 대화를 통해서
02:42북한과의 어떤 이런 핵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는 자세를
02:46좀 미국 대통령께서 좀 감안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02:50네. 2018년 문재인 정부가 남북정상회담과 북한의 어떤 비핵화 협상을 했던 것과
02:562025년 지금의 상황은 다릅니다.
02:59그 사이 북한은 이미 더 핵을 고도화해서 사실상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03:05과연 이게 말로 협상을 해서 북한 김정은 이미 개발한 핵무기를 스스로 없앨 것이냐라는 건
03:13매우 더 어려워진 과제인데 지금 궁금한 게 조기현 변호사님
03:17그러니까 문재인 정부는 당시에 북한이 비핵화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의지를 믿었는데
03:23이재명 정부는 과연 북한이 비핵화를 할 것으로 보느냐에 대해서 과연 어떤 입장을 갖고 있는지 상당히 중요해졌거든요.
03:32어떻게 보십니까?
03:33원칙적으로 한반도 비핵화는 대북정책의 기본적인 목표이고 이게 바뀌지는 않았죠.
03:41다만 현실적인 여러 가지 외교적 상황을 고려했는데
03:45그래서 미국 트럼프 정부의 입장이 중요한데요.
03:49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실질적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는 취지의 반응을 계속해오고 있습니다.
03:56그러면 이후에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나선다고 하더라도
04:002018년, 19년 당시에 완전한 비핵화, 불가역적 상태까지 가는 비핵화는 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04:10분명히 우리 정부도 인지하고 있다고 보여지고요.
04:14다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한 어떤 단계적 접근을 할 수밖에 없다.
04:21아마 트럼프는 일단은 북한 김정은 체제가 핵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인정한 전제에 의해서
04:29추가적인 핵 프로그램을 동결시키는 대가로 대북 제재를 완화하는 방식으로 1차적으로 접근을 해서
04:36김정은과의 어떤 표면적 관계가 상당한 진전이 있음을 보여주는 어떤 성과에 집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04:44그 다음에 이어지는 과정은 역시 북한이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것은
04:48핵을 갖고 있는 이유도 그렇고 체제 보장 아니겠습니까?
04:51그 추가적인 협상 과정에서 비핵화 문제를 다뤄갈 수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해보고요.
04:58아마 그런 부분에 대한 긴밀한 협의를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사이에 할 기회가 조만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05:08당장에는 통상 현황이 중요하지만 한미 관계에 있어서는 이 동맹을 추구로 해서
05:13북한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도 가장 중요한 외교적 과제 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05:18두 분이 만나신다면 향후 북한의 핵 문제를 어떻게 할지 대북 관계를 어떻게 정리할지에 대한 것도
05:26또 중요한 의제가 될 것으로 보고 아마 지금 트럼프 대통령과의 어떤 회담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05:32그 과정에서 이후 이 정부,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 또 비핵화와 관련된 입장이
05:38미국 당과 어느 정도 정리될 것으로 봅니다.
05:40네, 여야 모두 북미 향후 협상 과정에서 대한민국이 패싱돼서는 안 된다라는 위기감에는 공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05:48두 분 말씀 들어보니.
05:49북한이 손을 내밀고 있는 트럼프 정부를 향해서 냉담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05:56날강도라는 겁니다.
05:59노동신문, 적대 세력들 지난 10여 년간 사상 최후의 극악한 제재 봉쇄 책동에 매달렸다.
06:04유럽, 중동 충돌과 세계 혼란, 미국과 서방의 날강도적 주권 침해 때문이다라고
06:11현재는 북한은 날강도라고 굉장히 날선 반응을 보이고 있어서
06:16당분간은 글쎄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간의 만남은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06:22감사합니다.
06:24감사합니다.
06:26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