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5. 18.
 
대선을 19일 앞두고 국민의힘이 탄핵의 늪으로 다시 빠져가는 형국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 여부를 두고 당내 진통이 커지는 가운데 김문수 대선후보는 15일 기자회견에서 전원일치로 윤 전 대통령을 파면한 헌법재판소를 겨냥해 “공산국가에서 그런 일이 많다”고 비판했다.
 
이날 김 후보의 긴급 회견은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선후보 ‘방탄 입법’을 비판하면서 12·3 비상계엄 사태를 거듭 사과하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하지만 헌재를 향한 김 후보의 돌출 발언으로 불똥이 엉뚱한 곳으로 튀었다.
 
김 후보는 회견 뒤 일문일답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가 국민 배반이라는 헌재 판단에 동의하나”라는 취재진의 물음에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헌재 판결이 8대0인데,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때도 8대0이었다”며 “헌재가 만장일치 판결을 계속하는데, 김정은이나 시진핑 같은 (지도자가 통치하는) 공산국가에서 그런 일이 많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유민주주의는 다양한 견해가 공존한다는 걸 보여주지 못한 헌재는 매우 위험하다”라고도 했다. 윤 전 대통령 탈당에 대해선 “윤 전 대통령이 판단할 문제다. 대선후보가 ‘탈당하라, 탈당하지 말라’고 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해당 발언에 앞서 김 후보는 거듭 계엄을 사과하며 윤 전 대통령과 거리를 두는 듯했다. 김 후보는 “지역에 다녀보니 ‘장사가 더 안된다’고 하는데, 계엄도 체감되는 원인 중 하나”라며 “어렵게 장사하는 분들, 생활이 어려워진 많은 분, 국론 분열 등에 대해 진심으로 정중하게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헌법에 보장된 대통령의 비상대권이라도 경찰력으로 극복할 수 없는 국가적 대혼란이 오기 전엔 계엄권 발동이 적절하지 않다”며 “제가 미리 알았다면 윤 전 대통령에게 ‘계엄은 안 된다’고 이유를 조목조목 말했을 것”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 12일 김 후보는 “계엄으...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6336?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그것이 설사 헌법에 보장된 대통령의 비상대권이라 하더라도
00:03겸은 경찰력으로 극복할 수 없는 국가적 대혼란이 오기 전에는
00:12겸권이 발동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00:17진심으로 정중하게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00:21헌법재판소에 대한 것은 여러 가지 검토해야 될 점이 많고
00:27특히 판결이 계속 8대0이다.
00:31이번만이 아닙니다. 박근혜 대통령도 8대0이죠.
00:34저는 만장일치를 계속한다는 것은 김정은이나 또는 시진핑 같은
00:41공산국가에서는 그런 일이 많이 있습니다.
00:43그런데 우리 대한민국은 매우 위대한 자유민주주의 국가다고 생각합니다.
00:50그래서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 다양한 의견이 있고
00:54다양한 견해가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 못하는
01:00헌법재판소는 매우 위험하다.
01:02그 생각을 지울 수 없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