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전국 아파트값 상승 '멈춤'…조정 국면 진입하나?

  • 6개월 전
[김대호의 경제읽기] 전국 아파트값 상승 '멈춤'…조정 국면 진입하나?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난 7월부터 이어졌던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세가 19주 만에 보합으로 돌아섰습니다. 서울 강남구 집값도 31주 만에 하락했는데 어떤 배경 때문일까요?

집값 상승세가 주춤하고 강남구의 매매가가 내렸다는 건 하락장에 진입하고 있다는 신호일까요, 아니면 단기 조정을 맞이했다는 걸까요? 주택시장 향방을 가를 주요 변수로 어떤 것들을 지켜봐야 할까요?

내 집 마련 시기를 언제로 노려야 할지 실수요자들의 고민은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거래량이 감소하고 아파트 가격 상승 역시 둔화했다며 내년 상반기를 추천하는 목소리도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이런 가운데 종합부동산세 고지서 발송이 시작됐습니다.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동결되면서 올해 종부세 대상자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서울을 위주로 한 상당수 주택 소유자의 보유세는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가요?

생성형 인공지능의 대표주자인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창업자 샘 올트먼을 해고했다 복귀시켰습니다. 샘 올트먼이 해임됐던 원인은 무엇인가요?

AI가 가져올 위협을 감안해 개발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던 기존 이사회 멤버들이 회사를 떠나면서, AI 상용화에 더 속도가 붙을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앞으로 오픈AI는 어떤 변화를 맞게 될까요?

이번 사태로 'AI 위험성' 논쟁이 수면 위로 올라오면서 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제기되는데 시장 여파는 어떨까요? 규제 목소리가 커질 경우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인 국내 AI 산업에 불리하게 작용하진 않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