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6월 취업자 58만 명 증가…코로나 4차 대유행 변수 부상

  • 3년 전
[김대호의 경제읽기] 6월 취업자 58만 명 증가…코로나 4차 대유행 변수 부상


지난 달 취업자 수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58만 명 늘었습니다.

증가세는 넉달째 이어졌지만, 증가폭은 둔화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확산으로 고용 증가세가 다음 달에도 이어질지 불투명해지고 있습니다.

취업 시장 상황, 점검해보겠습니다.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며 6월 수출입 물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 달 미국 소비자 물가가 시장 예상치보다 높아지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일각에선, 일시적 현상이라는 분석도 나왔는데요.

관련 내용 전문가와 짚어보겠습니다.

취업자 수가 지난 달에 58만 명 넘게 늘면서 넉 달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다만 증가폭은 다소 둔화했는데요, 지난달 고용 성적표, 어떻게 보셨나요?

경제 중추인 40대 취업자 수가 무려 5년 7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점이 눈에 띕니다.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 홍남기 부총리의 말처럼 고용 개선세가 뚜렷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을까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최다를 기록하고,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고용 부진이 다시 고개를 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한 고용시장 상황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수입물가가 6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수출 물가지수도 7개월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가장 큰 요인은 무엇때문인가요? 석탄과 석유제품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는데, 국제유가가 크게 오른 영향 때문인가요?

수입물가 상승세가 전반적인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생산 비용 상승 측면에서 국내 생산업체들의 고민도 커질 것 같은데요. 우리 경제와 산업에 어떤 여파가 있을까요?

지난 달 미국 소비자물가도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상승했는데, 시장 전망치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는데요. 왜 이렇게 오른건가요?

급등한 미국 소비자 물가를 두고 현 상황을 본격적인 인플레이션 신호탄으로 봐야할지 아니면 일시적인 현상으로 봐야할지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현재 시점에서 어느 쪽 분석에 더 무게가 있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