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신종 코로나 사태에 정치권 예의주시

  • 4년 전
[뉴스1번지] 신종 코로나 사태에 정치권 예의주시


오늘 정치권에는 어떤 이슈들이 있을까요.

김관옥 계명대 교수, 진수희 전 국회의원과 집중 분석해 봅니다.

안녕하십니까.

오늘 오전, 문재인 대통령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대책 종합점검회의를 주재했습니다.

먼저 듣고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신종 코로나' 정국이라고 할 만큼, 국민들은 물론 정부와 정치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관심을 쏟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이 교민들의 입국을 이야기하면서 격리 예정 지역에 대해 언급한 것은 일련의 지역 반발을 의식하고 있다는 뜻이겠지요?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과 관련해 사스나 메르스와 전파력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한편에선 그동안 과거 정부가 이런 감염병을 겪으며 보여준 모습들과 비교해, 이번 사태가 정부의 위기 대처 능력을 평가하는 일종의 가늠자가 되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야당에선 청와대가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맞냐 비판을 쏟아내고 있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도 오늘 오전 10시부터 전체회의를 열었습니다, 보건복지부로부터 이번 사태와 관련한 현안 보고를 받았는데요. 진천을 방문했던 김강립 복지부 차관은 강한 항의와 함께 물병을 맞기도 했는데요. 주민들의 반응도 이해가 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정부가 지역사회와 사전 협의 없이 통보한 부분은 언뜻 이해가 가질 않는데요?

이런 지역 갈등이 총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됩니다. 특히 주민들의 반발이 컸던 아산과 진천 지역, 그 이전에 거론된 천안도 모두 충청 지역인데요. 총선 민심과 연결될까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국민 건강과 안전 뿐 아니라 총선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단면도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악수를 꺼리다보니 총선 예비후보들이 제대로 인사를 하지 못한다는 하소연도 하던데요. 선거용 명함을 주는 것도 선뜻 받아들기 힘들고,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도 당분간은 보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총선을 둘러싼 이유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묻히면, 그야말로 '깜깜이 선거'가 되는 것 아닐까요?

정치권은 여전히 정부의 대처를 두고 날선 공방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 자유한국당 심재철 원내대표의 이야기 듣고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여당의 원내대표는 정부에 대한 신뢰를 이야기하면서, 불신과 우려를 유포하는 정치권을 비판했습니다.

한국당에서는 중국인 입국 금지에 이어 '중국인 관광객 즉각 강제 송환'이라는 다소 강도 높은 대응을 주문했습니다. 심재철 의원이 북한 사례까지 꺼내며 정부를 비판한 건은 의외인데요?

2018년 지방선거 당시 울산시장 선거에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는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오늘 검찰에 출석했습니다.

먼저 이야기 듣고 대담 이어가겠습니다.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검찰 조사를 받기 전 스스로 포토라인에 선 모습입니다. 이미 SNS를 통해 모든 과정을 공개하겠다고 밝혔었죠. 이렇게 작심한 듯 이야기를 쏟아낸 것 만으로도 상당히 강한 메시지가 읽히는데요?

임종석 전 비서실장은 검찰에 대해 "분명한 목적을 갖고 기획된 수사"라고 비판했습니다. 실제 송철호 울산시장에 출마를 권유했는지, 임동호 전 민주당 최고위원에게 경선 포기 대가로 자리를 제안했는지, 이런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어요?

검찰은 이미 송철호 울산시장을 포함해 한병도 전 정무수석, 백원우 전 민정비서관 등 관련 인물 13명을 무더기로 재판에 넘겼습니다. 검찰의 칼끝이 청와대 전현직 비서진을 조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까요?

주요 피의자로 꼽히는 인물들 가운데 빠진 사람이 둘입니다. 어제 조사를 받은 이광철 민정비서관과 임종석 전 비서실장은 사법처리 방향을 총선 이후에 정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최근 총선 출마 요구를 받는 임종석 실장의 거취에도 영향을 미칠까요?

한편 선거 개입 의혹이 불거진 지역 울산이 이번에는 빅매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역에서 3선 시장을 지냈던 박맹우 시장이 이번에 3선에 도전하고 있는데요. 김기현 전 시장, 같은 지역구에 도전장을 냈습니다. 지난 선거에서 사이좋게 서로 자리를 바꿔 앉았는데 이번에는 경선부터 무척 치열할 것으로 보여요?

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공관위가 묘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 황 대표가 공관위의 공천에 대해 제제할 수 있다고 하자 김형오 위원장은 공천은 공관위가 한다며 황 대표의 발언을 일축했습니다. 오너와 CEO, 공천 권한은 전권을 위임받은 CEO에게 있는 것 맞습니까?

김형오 위원장이 강조했던 'TK 50% 교체', 현실화 될까요. 사실 TK지역구 의원 19명 중 12명이 초선 의원인데요, TK란 이유만으로 컷오프 된다면 반발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여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