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리빙] 김치찌개 먹어도 유산균 효과 있을까?

  • 5년 전
김치는 각종 비타민과 식이섬유, 그리고 유산균이 풍부해 장 건강에 좋은 식품인데요.

김치찌개를 먹어도 유산균 효과를 볼 수 있을까요?

김치에는 무려 30여 가지의 유산균이 있는데요.

바로 담근 김치에는 1g에 유산균이 약 1만 마리 들어 있고요.

일주일 정도 발효해 알맞게 익은 김치에는 무려 1억 마리가 있다고 합니다.

김치를 하루에 1백 그램만 먹어도 식약처가 정한 유산균 하루 권장량의 최대치를 섭취하는 셈입니다.

하지만 김치를 가열해 만든 요리를 먹으면 생 유산균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데요.

된장에 있는 유산균은 열에 강해 가열해도 80% 이상 살아남지만, 김치 유산균은 75도에서 15초만 가열해도 대부분 사멸하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죽은 균도 살아있는 유산균의 먹이가 되면서 장 건강에 일부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가열하지 않은 김치를 먹었을 때보다는 효과가 떨어집니다.

살아있는 유산균을 온전히 섭취하려면 김치를 끓이거나 볶지 말고 그대로 먹는 게 좋고요.

김치를 담그고 50일 지나면 젖산이 과다 생성돼 유산균이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하기 때문에 적당히 익었을 때 먹어야 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