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한미 양국이 다음 달 1일 전까지 무역 합의를 하는 것을 목표로 집중적 협상에 들어간 가운데 한미 산업장관 간 이틀째 이어진 협상이 일단 종료됐다. 
 
26일 정부 당국 등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25일(현지시간) 뉴욕 러트닉 장관 자택에서 진행한 2차 협상을 이날 늦은 밤 마무리했다. 지난 양국 산업장관은 24일 워싱턴DC 미국 상무부 청사에서 협상을 벌인 뒤 이날 뉴욕 러트닉 장관 자택으로 장소를 옮겨 협상을 이어갔다. 
 
김 장관은 대통령실에서 열린 통상대책 회의 내용을 바탕으로 24일 첫 협상보다 25일 진전된 수정안을 제시했다. 대미 투자, 소고기·쌀을 포함한 농축산물 개방 범위 등 주요 쟁점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러트닉 장관이 한국 측에 더 많은 양보를 요구하면서 협상 타결 수준에 접근하진 못한 것으로 관측된다. 
 
김 장관은 이날 추가 협의 결과를 본국에 보고했고, 대통령실은 26일 비서실장 주재로 통상대책 회의를 열어 관세 협상을 위한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우리 측은 미 측의 조선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해 양국 간 조선 협력을 포함한 상호 합의 가능한 방안을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다음 주 중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조현 외교부 장관이 각각 미국 베센트 재무장관과 루비오 국무장관을 만나기로 예정돼 있는 만큼 남은 협상 시한 동안 총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장관은 당초 25일 귀국할 예정이었지만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현지에 남아 협상단을 이끌고 있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4488?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24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을 만나 무역 합의를 위한 협상을 진행했다.
00:14산업부는 25일 보도자료를 내고 전날 오전 11시 30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에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을 만나 한미 제조업 협력 강화 방안을 포함한 관세 협상 타결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밝혔다.
00:30양국 산업장관의 만남은 1시간 20분간 진행됐다.
00:34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조선 반도체 배터리 등 전략 제조업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강화 방안을 소개하고 이를 감안해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 및 상호 관세 완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00:47산업부는 김 장관과 러트닉 장관이 미국이 상호 관세 부과일로 정한 8월 1일 이전 상호 포해적 타결 방안 도출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00:58두 사람은 조속한 시일 내 추가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
01:02김 장관은 러트닉 장관 면담 하루 전에는 크리스 라이트 미 에너지부 장관을 면담하고 양국 간 청정에너지 및 에너지 안보 강화 등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01:13김 장관은 8월 말 부산에서 열리는 에너지 슈퍼위크의 라이트 장관에 참석을 요청했다.
01:21여 본부장은 지난 23일 KIB 미 엘라베마 주지사를 화상으로 면담하고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 기여를 강조하면서 아웃리치 활동을 전개했다.
01:32앞으로 김 장관은 더그 버검 미 국가에너지위원장을 여 본부장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및 그레그 에번미 텍사스 주지사와 개별 면담을 받고 관세 협상 진전 및 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을 추가 논의할 계획이다.
01:47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01:50고맙습니다.
01:50감사합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