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트럼프, 세계 곳곳 분쟁에 '종전 해결사' 자처
트럼프 "분열 아닌 통합의 대통령 될 것" (1월)
백악관 대변인 "트럼프는 최고 평화 중재자"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에 전세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판을 뒤흔들 거다라는 예측을 제일 먼저 했었는데
00:17예상과는 달리 안보판, 외교안보 군사 쪽에 트럼프는 취임 초반에 여러 힘을 신은 것 같습니다
00:27요즘 세계 곳곳 분쟁에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인데요
00:33최근에는 아프리카 콩고 르반다 평화협정 체계식에도 참석을 했습니다
00:38일단 그 화면부터 먼저 만나보고 와서 관련 얘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00:57하고 싶은 말은 거침없이 다 하는 트럼프 대통령
01:12최근에 본인이 특히 이란 이스라엘 충돌을 중지했다는 치적을 여러 가지 얘기를 하고 있는데
01:19일단 이현정 의원님, 네타냐로 설득했고 군사 개입으로 휴전을 주도했다
01:25대화 의지, 북한 얘기는 잠시 뒤에 하더라도
01:29특히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도 본인이 개입하면 뭔가 이제는
01:33집중하면 분쟁이 마무리될 수 있다
01:36전쟁이 끝날 수도 있다는 자신감이 있는 것 같아요 트럼프 대통령은
01:39일단 이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에 관세 전쟁을 벌였지 않습니까
01:44그런데 그게 사실은 미국 내에 역풍으로 다가왔죠
01:47물가가 굉장히 많이 올랐습니다
01:49또 미국의 기업들, 또 미국의 어떤 종사자들 이런 분들이 상당히 많이 해구가 됐고요
01:54여러 가지 논란을 일으키니까 사실 국내적으로 굉장히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01:58그리고 본인이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을 바로 24시간에 끝내겠다 했지만
02:03쉽게 끝나지가 않았죠
02:05그러다 보니 이제 점점 지지층 내에서도 그럼 한 게 뭐냐라는 그런 어떤 비판의 직면에 있는 상황에서
02:12결국 이란과 이스라엘 전쟁에 직접 참전함으로 인해서 사회상에 큰 성과를 얻어냈지 않습니까
02:18일단 현재 전쟁에서 일단 미국의 힘을 일단 보여줬고
02:22또 해결할 수 있다는 그런 어떤 가능성을 보여줬기 때문에
02:25그게 굉장히 아마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 업이 된 것 같아요
02:28그런 상황에서 이제 본인이 어떤 국제적 분쟁의 어떤 해결사
02:33즉 미국이 가지고 있는 압도적인 어떤 무력 역량
02:36이걸 가지고 해서 세계 분쟁의 어떤 해결사 역할을 좀 자체를 하는 것 같습니다
02:41그런 상황에 7월 달에 또 이제 관세 그동안 예고했던 관세
02:45세계적인 상호 관세를 지금 실시하지 않겠습니까
02:47그러니까 이 경제와 안보 문제에 있어서 뭔가 어떤 성과를 조금씩 내다 보니까
02:53지금 점점 자신감이 붙어지는 것 같아요
02:55그런 상황에서 이제 남아있는 것은 결국 러시아와 구나의 전쟁을 끝내는 것
02:59그다음에 이제 북한과의 어떤 관계
03:01지금 북한과의 관계도 아마 트럼프 대통령이 친설을 보냈지만
03:05북한이 일단 수령을 거절했다는 보도가 있었지 않습니까
03:07그러게요
03:08아마 그런 부분에서 본인이 조금 더 뭔가 평화의 어떤 전도사
03:12뭐 그런 것들은 어떤 본인이 어떤 브라이드를 가지기 위해서
03:17어떤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 아닌가 싶습니다
03:19이현정 의원님 질문 하나만 더 하면 우리나라에서 사실 몇몇 정치권에서 아예
03:24트럼프 대통령 노벨평화사 추천하자 뭐 이런 얘기도 있었는데
03:27실제로 백악관 분위기나 미 워싱턴 DC 조야에서도
03:31공화당과 미 정부 백악관 트럼프 대통령 스스로도
03:36노벨평화상 욕심을 숨기지 않고 실제로 받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더라고요
03:40그렇죠 예전에 오바마 전 대통령의 노벨상을 수상했듯이
03:44마찬가지로 지금 본인이 가지고 있는 어떤 이런 성과
03:47사실은 트럼프 대통령은 마이너였으면 즉 비주류였죠
03:51그러다가 이제 미국의 대통령이 이제 두 번이 됐고
03:54그렇다면 이제 이번 대통령으로서 이제 끝이 나야 되는데
03:57본인의 어떤 정치적 성과 등을 표현해 줄 수 있는 가장 상징적인 게 바로 이 노벨평화상이잖아요
04:03그런 것들이 아마 이제 이번에 있는 가자지구 문제
04:06그 다음에 이란과의 문제 뭐 이런 국제적 분쟁들을 해결했다라는 것들로 인해서
04:11아마 이 노벨평화상을 강력하게 노릴 것 같습니다
04:14일단 화면을 다시 한번 보실게요
04:16뭐 최고 평화의 중재자다
04:18오늘 한 기사 제목은 피스메이커라는 표현도 나왔는데
04:22이란 이스라엘의 충돌은 어느 정도 좀 식었고
04:28이스라엘 하마스나
04:30근데 이제 앞으로 남은 건 지금 1년 반 넘게 지속되고 있는 러우 전쟁이고
04:34이게 취임 24시간이나 휴전을 예고했지만 아직 여기까지는 손을 못 댔고요
04:40특히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과도 관련이 있다면 북한 얘기
04:43서한 발송을 시도했다라는 얘기도 있는데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에 북한 김정은에 대해서 어떤 말을 했는지도 한번 듣고 오겠습니다
04:52김금맥 부장관님
04:57김금맥 부장관님
04:59김금맥 부장관님
05:01김금맥 부장관님
05:03뭐 이란 이스라엘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이 갖고 있는 막강한 힘
05:18이런 것 때문이라도 북한이 조금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메시지를 좀 더 너무 세게는 안 할 것 같다는 생각도 있었는데도
05:28북한이 미국을 향해 날강도라는 표를 쓴 이유
05:31이걸 어떻게 저희가 받아들일까요?
05:33현재 북한은 미국과의 기싸움에서 조금 더 밀리지 않겠다라는 그런 의도를 내보이고 있습니다
05:39그것도 그럴 것이 현재 북한은 혼자서 미국과 상대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05:43러시아라는 큰 형님을 뒷배로 두고 미국을 상대하고 있다고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05:49또한 그러한 사실을 조금 더 강화하기 위해서 북한은 현재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에 모든 것을 집중하고
05:55사실상 외교적 몰빵 정책을 취해서라도 러시아의 지지를 이끌어내려고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06:01더더군다나 현재 북한의 우방이라고 여겨지던 이란이라든가 시리아라든가 이런 나라들이
06:07하나 둘씩 무너지면서 시리아는 완전히 정권이 교체됐고
06:11이란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공격으로부터 사실상 항복선언과도 같은 그런 평화협상을 맺으면서
06:16이제 남는 것은 북한 아니냐 그런 여러 가지의 어떤 전 세계의 시각이 모여들고 있습니다
06:21그러다 보니까 그런 시각을 의식하고 있는 김정은도 이러한 싸움에서 자칫 잘못 물러섰다가는
06:27본인이 지금까지 쌓아올렸던 여러 가지 어떤 레거시들을 다 놓쳐버릴 수도 있다
06:31다 무너질 수도 있다는 그런 불안감이 있을 겁니다
06:33그렇기 때문에 이런 상황일수록 북한 특유의 다전지심 싸움에서 단 한 걸음도 물러섰지 않겠다라는
06:39그런 의지를 지속적으로 내보내고 있는 것입니다
06:42알겠습니다
06:43트럼프 대통령이 남은 건 북한 정도다
06:47러우 전쟁, 푸틴 대통령과의 여러 대결구도
06:51저희가 준비한 7위까지
06:538위와 함께 북한 관련 외교안보 이슈를 하나하나 짚어봤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