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의사 가운 입고 영양제 소개…알고 보니 배우?
채널A News
팔로우
그저께
상당수가 약사·의사인 척 연기하는 배우
최근 약사인 척 제품 홍보하는 광고 늘어
업체 측 "(배우가) 본인을 약사라고 한 건 아냐"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시청자 여러분, 이 소식 집중해서 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00:03
요즘 SNS를 보다 보면 약사나 의사들이 하얀 가운을 입고 나와서 영양제나 건강기능식품을 소개하는 광고가 참 많은데요.
00:11
그런데 알고 보니 이 광고 속 사람들 상당수가 배우였습니다.
00:18
약국 가시면 7만 원대에 판매 중인데요. 온라인 몰에서는 2만 원대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00:24
보통 공부할 때는 의사 가운을 입고 촬영할 예정입니다.
00:27
조금 폐이가 높은 편인 것 같아요. 그냥 역할이잖아요.
00:32
사실 저도 SNS를 하다가 이런 영상을 되게 많이 봤는데요. 변호사님.
00:36
이렇게 당연히 약사나 의사일 것이다 라고 생각을 하잖아요. 가운을 입고 있으면.
00:41
그런데 배우였다. 이렇게 배우가 약사나 의사 가운을 입고 광고에 등장해도 괜찮은 건가요?
00:47
당연히 안 됩니다. 이 해당 영상들 보면 SNS를 굉장히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그런 유형의 광고입니다.
00:54
그렇죠. 마치 본인이 약사나 의사인 것처럼 의료인인 것처럼 보일 수 있게 지금 하얀 가운을 입고 있는데
01:02
배경도 약국이고요. 그렇죠. 특이점이 있어요. 이 가운을 보면 이름표 같은 게 달려있지는 않습니다.
01:08
흰색 가운인데 이런 흰색 가운은 사실 인터넷에서 누구나 구입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01:13
이 광고의 문제점은요. 소비자로 하여금 마치 약국을 배경으로 하는 현직 약사가 추천하는 제품인 것처럼
01:22
의료인이 추천하는 제품인 것처럼 속이고 있다는 건데 저도 사실 감쪽 같은 것 같아요.
01:28
오히려 이 네티즌들이 너무 자연스럽게 광고를 해서 의아했다고 하는데 자연스러운 이유가 있었어요.
01:36
실제 전문가가 아니라 재연 배우였던 겁니다.
01:39
이 재연 배우를 이제 구하는 그런 구직 사이트를 보면 약사나 의사 역할이다.
01:46
자연스럽게 설명 가능한 인원을 찾는다.
01:49
이런 광고 모집글까지 확인되는데 엄연히 현행법에 허용되지 않는 행위입니다.
01:55
약사법과 이제 의약법에 따르면 이렇게 의료인인 것처럼 약사인 것처럼 사칭하는 행위에 대해서 금지하는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02:04
뿐만 아니라 이 광고 자체가요. 허위 과장 광고에 해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02:10
고의적으로 이렇게 소비자들을 현혹시킬 수 있는 소비자를 오인하게 하도록 가운을 입는다거나 청진기를 걸고 있는다거나 하는 것은 속인 행위거든요.
02:20
거기다가 고의성이 다분합니다.
02:22
이럴 때는 표시 광고에 관한 법률 위반에 해당할 수 있고 징역형까지도 규정이 되어 있는데.
02:28
규정형까지요. 그렇죠. 하지만 사실상 처벌이 되는 사례는 좀 미비하다.
02:33
이런 평가가 줄을 잇고 있습니다.
02:36
그런데 이제 특히 더 큰 문제는 상당수가 허위 과장 광고라는 건데
02:40
대부분 의약품이라든지 또 미용 관련 건강과 좀 직결된 문제가 있다 보니까
02:46
그래서 더 큰 우려가 나오는 것 같아요.
02:48
그렇죠. 굉장히 위험한 부분이죠.
02:50
결국 내가 직접 몸에 먹고 바르는 제품들이잖아요.
02:54
어떤 국민들의 건강에 위해를 끼칠 수 있는데 처벌이 쉽지 않은 데 있습니다.
02:59
앞서 살펴봤던 것처럼 재현배우는 이게 어떤 상황인지 정말 모르고 연기한 것이다 라고 주장한다면
03:06
딱히 처벌이 어려울 수 있고요.
03:09
그렇다면 이런 광고를 만든 측에 대해 어떤 책임을 물어야 되는 것인데
03:14
실질적으로 적발이 된다고 해도 과징금 정도에 그치고 있습니다.
03:18
그런데 SNS를 통해서 이렇게 알고리즘을 타고 한 번 광고가 제대로 들어가게 되면
03:24
이익이 워낙 크다 보니까 과징금을 한 번 내고요.
03:28
다시 한 번 사명을 바꾼다거나 제품명을 바꿔서 또 광고하는 사례가 줄을 잇고 있거든요.
03:33
이게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닙니다.
03:35
몇 년 전부터 기승을 부리고 있었던 수법인데 과징금 정도로 처벌에 그치다 보니까
03:42
근절이 되지 못하고 반복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03:45
제품을 만든 업체 자체도 과징금 정도에 그치다 보니까 계속 반복한다라는 말씀이신 거죠?
03:51
그렇습니다.
03:52
사실상 처벌이 된다고 해도 몰랐다고 한다거나 아니면 이것은 어떤 광고의 목적이었지
03:59
의료인으로 정말 사칭한 것은 아니다 이렇게 발뺌하기 일수고요.
04:03
한 가지 더 주목할 만한 지점은 실제로 의료인이 이런 건강기능식품이라든가 화장품을 광고하려면
04:09
굉장히 엄격한 규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04:12
이것이 질병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표현을 할 수 없고요.
04:17
내가 직접 의사가 먹어보고 추천한다 이런 표현을 하는 것도 제한되어 있거든요.
04:22
이런 점을 좀 감안하셔서 소비자들이 현명한 판단을 할 필요도 있어 보입니다.
04:27
약사나 의사가 아닌데도 가운을 입고 허위 광고를 펼치는 사기 행위에 대해서
04:32
우리가 각별하게 주의를 해야 될 것으로 보이고요.
04:35
그래서 의료 상담은 의사나 약사와 직접 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04:39
고맙습니다.
추천
4:50
|
다음 순서
정은경 후보 배우자 ‘코로나 돈벌이’ 공방 예고
채널A 뉴스TOP10
어제
1:11
[날씨]당분간 폭염에 열대야 기승
채널A News
오늘
1:12
[여랑야랑]새 정부 인사에…“러브버그처럼”
채널A News
오늘
0:34
[기업] KB국민, '우리 아이 펀드 만들기' 서비스 출시 / YTN
YTN news
오늘
6:03
부동산 대출 규제…서울 아파트 74% 영향권
채널A 뉴스TOP10
오늘
9:15
“131년 전인데?”…동학농민혁명 유족 수당 논란
채널A 뉴스TOP10
오늘
3:09
[사건현장 360]약사 아닌데…가운 입고 ‘허위 광고’
채널A News
그저께
2:14
이 대통령, 오는 3일 '취임 한 달' 첫 기자회견..."소통 의지 반영" / YTN
YTN news
오늘
2:18
처음 함께 훈련한 허웅·허훈 형제...티격태격해도 "의외로 잘 맞아요" / YTN
YTN news
오늘
0:43
[영상구성] 최악의 압사 사고 이태원 참사
연합뉴스TV
2022. 10. 30.
2:14
FC서울 팬들, 버스 막고 “감독 나가”
채널A News
오늘
1:56
[여랑야랑]정성호, 장관 체질로 변신?
채널A News
오늘
1:49
[여랑야랑]박찬대도 정청래도 “이진숙, 추석 전에 내보내야”
채널A News
오늘
1:47
국민의힘, 새 비대위원장에 송언석 추인
채널A News
오늘
3:10
[세계를 가다]소주에 빠진 와인의 나라
채널A News
오늘
1:46
유홍준 고사…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인선 고심
채널A News
오늘
2:00
김용태 “국민의힘 개혁 점수 빵점”…49일 만에 퇴장
채널A News
오늘
1:49
사흘 이상 ‘미니 연휴’ 내년에 더 많다
채널A News
오늘
2:08
131년 전 동학혁명 유족 증손도 지원금?
채널A News
오늘
1:58
하늘에서 돈다발…이웃의 마지막 선물
채널A News
오늘
1:46
최고 46도…‘살인 폭염’과 싸우는 유럽
채널A News
오늘
2:03
日, 10일간 지진 650번…대지진 진짜 오나?
채널A News
오늘
2:26
북한, 러시아 파병군 영상 첫 공개
채널A News
오늘
1:46
野 “현금 부자에 날개”…부동산 대책 강력 비판
채널A News
오늘
1:53
대출 규제 외국인은 예외…한국인 역차별 논란
채널A News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