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6. 25.
카테고리
📺
TV트랜스크립트
00:00한글자막 by 한효정
00:29한글자막 by 한효정
00:59매주 하나씩 익혀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01:04오늘 마지막 순서 3부는 씹는 힘, 저장력에 대한 내용입니다.
01:11최근 표본 규모 100명이 넘는 여러 연구들을 모아
01:15종합적으로 메타 분석해본 결과 구강건강 악화가 치매 발생 위험을 3.6배 높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죠.
01:25이 씹는 힘, 저장력에서 비롯되는 구강건강이 도대체 두뇌의 인재 기능과 왜 관련이 있는 걸까요?
01:32텃밭 농사를 짓는 94살 고야마 씨
01:46일본 75세 이상 고령층에 잔존 치아 평균 개수인 10개보다 2.5배나 치아가 많습니다.
01:55개수만 마른 게 아니라 튼튼합니다.
02:15여전히 마른 오징어를 즐겨 먹는 고야마 씨
02:19뭐든 씹기 어려워 곤란한 적은 아직 없습니다.
02:25치아가 튼튼하니 가리지 않고 잘 먹고 잘 씹는 고야마 씨
02:4494세라 믿어지지 않는 모습은 또 있습니다.
02:55바로 일상에서 드러나는 총기입니다.
03:00아침저녁 먹는 약 종류도 많고 개수도 제각각인데 빠뜨리지 않고 잘 골라 복용합니다.
03:08아침저녁 먹는 부분, 아침저녁 먹는 부분, 아침저녁 먹는 부분, 아침저녁 먹는 부분,
03:14아침저녁 먹는 부분, 아침저녁 먹는 부분,
03:15全部自分で薬箱の中から出している。
03:19私は一切手伝っていません。
03:21두つのものと一つのものってあるからね。
03:25大変ですよ。
03:27これできなくなったらどうしようかな死んじゃうんだよね。
03:31できなくなったらね。
03:3326本90代で残っている方っていうのはかなり少ないと思います。
03:38しっかり噛めなくなるとやっぱり認知症だったりとか
03:42そういうところにも影響が出るっていうふうには
03:45研究結果が出てますので
03:48歯をしっかり健康に保ってしっかり自分の歯で噛める。
03:52刺繍病の状態も安定しているっていうのは
03:55全身の健康に非常に大きく関与すると思います。
03:59シルバタウンに住んでいる。
04:04シルバタウンに住んでいる。
04:0694歳、ミョーシー。
04:09いぶんといが 튼튼なしくんよ。
04:11딱딱한 전병を 거침없이 씹わもくすみだ。
04:17大丈夫です。
04:20大丈夫です。
04:24大丈夫ですか?
04:26大丈夫ですか?
04:27大丈夫ですか?
04:28大丈夫ですか?
04:29大丈夫です。
04:30大丈夫です。
04:31大丈夫です。
04:32大丈夫です。
04:33ま침 오늘 치과 검진이 있습니다。
04:37현재ミョーシーは
04:39자연치아 22개、
04:40의치2개의 치아를 갖고 있습니다.
04:43다른 구강 기능은 어떨까요?
04:46삼키는 역할을 하는
04:47혀의 압력,
04:48서랍을 재봅니다.
04:51세트다운 espertit을 하는
04:55육tre가 옮기고
04:56Up을 보면
05:0120개의 치아는 20개의 치아를 칠합니다.
05:04미호씨는 94개의 치아에서
05:08신나기와 21개의 치아가
05:09약을 수 있는데
05:10이숭하기
05:11最高ですね。素晴らしいと思います。
05:15うまくいきましたね。
05:17美穂さんの場合、28本の中で22本残っていらっしゃいます。
05:21ご自分の鼻。
05:22半期全体、大きな問題がありませんし、
05:27歯ブラシをしても出血っていってね、
05:29血が出たりもあんまりしませんので、
05:31半期も非常にしっかりとしていると思います。
05:33それから虫歯も今のところは、
05:36綺麗に見分けているためにですね、
05:38足りってもいいと思います。
05:41美穂氏の市에서 표창を 받았습니다.
05:4480세 이상으로、
05:46図母自身だとも多くの境界には、
05:48豪勢のonic辺は20개以上を 보유한
05:50高齢층市民を 위한 표창입니다.
05:52それはね、
05:56私は本当に、
05:57標数線村よりも、
05:59歯が傷まないようにするのが
06:01殘切だと思ってましたので、
06:04自分の歯をね、
06:06치아 건강과 두뇌 기능은 과연 관련이 있을까요?
06:19치아가 건강한 미호 씨와 함께 인지 기능 검사를 해봅니다.
06:24과연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06:26결과는 놀라웠습니다.
06:56요양 보호사와 함께 치과 병원을 찾은 노유 씨.
07:26윤경 씨.
07:37몇 개 남지 않았던 치아를 발치하고 틀리를 제작하는 중입니다.
07:43오늘은 임시 틀리가 나와서 처음 착용해보는 날입니다.
07:49아직 뭔가 어색합니다.
07:51남아있는 치아는 한 10개 정도 되었었는데 치아가 많이 상해 있었고 많이 썩기도 하고 보존할 수 있는 치아가 없기 때문에 전체 틀리를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08:03그런데 진료 중간에 자꾸 잠이 듭니다.
08:08한 번 씹을 때 30번 정도 씹으셔서 삼키시는 걸 추천드리고 있어요.
08:14그렇게 좀 해주시면 적응하는 게 조금 도움이 되실 것 같거든요.
08:18반응이 없습니다.
08:26진료를 진행함에 있어서 의사소통에 있어서 조금 다른 분들보다는 어렵다고 판단돼서 인지 기능 평가를 신경과에 의뢰하게 되었습니다.
08:36임시 틀이로 씹는 힘, 저장력 변화를 보기 위해 근전도 검사를 합니다.
08:47이거 한 번 씹어보실까요? 비스켓입니다.
08:50입을 닫는 근육, 측두근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08:56안간간 씹어보세요.
08:58씹어보는 거 알겠습니다.
09:00됐습니다.
09:01틀을 깨었을 때는 오히려 잘 못 씹으세요.
09:04치아가 없는 기간이 좀 오래 방치되셨고 익숙하지 않으셔서 힘을 주는 방법을 잘 모르세요.
09:11이빨이 빠진 건 언제 보세요?
09:14이빨이 내가 내 일을 잘 기억을 못하겠다.
09:21이빨이 흔들리게 해서
09:23너무 짜증나요.
09:26씹는 행위가 없어서 그런 뇌혈류량이 줄어들면
09:36어쨌든지 뇌활동이 감소되고 인지 기능이 저하되고
09:40그런 여러 가지 악순환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추측하기도 합니다.
09:45최근 60세 이상 환자 488명을 대상으로
09:51치매 발생과 치아 상실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를 보면
09:54치매 그룹은 정상 그룹에 비해 치아를 더 많이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고
10:02상실된 치아를 방치한 경우도 치매 그룹에서 더 많이 확인됐습니다.
10:07한 대학병원의 치과 봉사 진료의 날
10:18치과 진료가 쉽지 않은 지역을 찾아가는 이동버스 진료입니다.
10:25치과에 자주 못 가니 치아 상태가 썩 좋지 않습니다.
10:49아무래도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들과는 차이가 크게 납니다.
11:12동의를 얻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아 상실과 인지 기능의 연관성을 찾아보기로 합니다.
11:19지역치매안심센터와 함께 지원자들에 대한 인지기능검사를 실시했습니다.
11:26저희가 지금 하고 있는 인지검사는 K-시스트라고 해서
11:31진남력이라든가 시공간능력, 기억력, 전국의 치매안심센터에서 다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어요.
11:40나이, 학력 등 개별 조건에 따라 평가 기준이 다릅니다.
11:44인지기능 저하 평가가 나온 참가자들의 경우 치아 상실이 방치된 상태였습니다.
11:53구강뇌 관리가 만약에 안되고 치주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에 의해서 염증을 일으키고
12:01그것이 현류를 타고 이제 뇌로 가면 염증을 거기서 일으킬 수가 있고
12:06인지기능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겠다 기전적으로 그렇게 설명하는 문헌들이 있습니다.
12:13고령층 치아 상실의 주요 원인은 치주염에 의한 치족을 파괴입니다.
12:22치주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주균의 원상인 치태나 치석제거가 필요합니다.
12:27흔히 스케일링이라고 부르는 치석제거술이 바로 해결책입니다.
12:34치석제거술로 치태가 깨끗하게 사라졌죠.
12:37씹는 힘, 저장약과 인지기능은 이렇게 실제 긴밀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3:04그렇다면 저장약과 구강건강을 잘 관리하고 노년에도 두뇌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13:12이제부터 차근차근 저장기능과 인지기능의 연관성을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13:25매일 운동을 하는 장덕현씨.
13:29사업을 하면서 60대부터 건강을 해쳤습니다.
13:31특히 이가 많이 상해 현재 보호체를 치료한 치아만 15개입니다.
13:36젊어선 앞만 보고 뛰다가 60대 전후 해가지고 몸이 완전히 부서지더라고요.
13:46몸도 기울고 엄리밟고랑 땅을 짚을 수가 없어.
13:50그 무릎이 아파가지고.
13:51그래도 치아만은 꼭 지키고 싶었습니다.
13:55장덕현씨는 지난 15년 동안 차근차근 치아치료를 하고 또 운동을 하면서 조금씩 건강을 회복했습니다.
13:57장덕현씨는 지난 15년 동안 차근차근 치아치료를 하고 또 운동을 하면서 조금씩 건강을 회복했습니다.
14:15장덕현씨는 지난 15년 동안 차근차근 치아치료를 하고 또 운동을 하면서 조금씩 건강을 회복했습니다.
14:23이빨이라는 게 한 번에 와장창 쏟아지는 게 아니고 하나 고치면 하나 빠지고 하나 고치면 하나 빠지지 않고 부서지는 치 이런 것들은 전부 씌우고
14:39앞니 이건 보처를 이어서 좀 송곳니의 거들을 매고 그래서 다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어요.
14:51자신은 건강을 회복했지만 동년배 지인들은 대부분 더 이상 만나기 힘들 정도로 건강을 해친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15:00입이 방아 절구통 아니여 씹어서 남겨야 되는데 나이 먹을수록 소환은 안 되잖아.
15:10그렇지 아니여? 소환은 안 되다가 거친 걸 먹을 수가 없잖아.
15:15그럼 뭘 안 먹어? 그러다 못 먹으면 죽는 거 아니야 사람이.
15:26점심시간.
15:27요즘엔 치아 상태가 괜찮아서 식사할 때 큰 불편함이 없습니다.
15:35그래도 혹시 몰라 왼쪽 오른쪽 치아로 번갈아 씹습니다.
15:44하루에 한 끼는 고기를 닭이든지 돼지든지 이렇게 꼭 먹어요.
15:51안 좋을 때는 못 먹었죠.
15:54먹더라도 신육만하고 김치 국물.
15:56이런 것을 위주로 해서 먹었죠. 김치 국물.
16:00그러니까 밥을 먹는 둥 마는 둥.
16:04식사 후 바로 양치질을 하는 장덕현 씨.
16:08젊어서는 양치질을 잊고 넘어가기도 했지만
16:10이젠 절대 빠뜨리지 않습니다.
16:16치간 칫솔도 두 종류를 씁니다.
16:18이게 체보, 만고, 권실, 무용이거든.
16:26내 몸이 건강해야 하고.
16:28건강하려면 치아보통 관리 잘해라.
16:37매일 신문을 읽는 90세 김순희 씨.
16:40몇 해 전 침대에서 낙상해 대턱을 골절로 요양병원에 입원하고
16:46몇 차례나 응급실에 이송될 정도로 건강 상태가 안 좋았습니다.
16:51그때 씹는 것도 힘들어졌습니다.
16:52하나, 둘, 셋, 넷.
16:57요양병원에서 이제 응급실 가셨다가
17:00거기서 이제 거의 가망이 없으셨는데
17:03그냥 저희가 집으로 모시고 왔어요.
17:06틀리도 막 다 틀어지시고
17:08이제 잇몸도 안 좋아지시니까
17:10이제 씹지도 못하시고
17:12치료해서 좀 더 계시는 동안
17:14잘 드시게 하고 싶다라는 바람으로
17:17치과로 모시고 가서 치료를 시작했어요.
17:19틀리를 지탱할 임플란트도 다시 심고
17:25틀리도 새로 제작했습니다.
17:29그러자 유동식사만 가능했던 상태에서
17:31이제는 씹어서 식사를 할 수 있게 두었습니다.
17:35더불어 생기도 다시 찾았습니다.
17:49식사를 하면 잊지 않고 바로 틀리를 세척하는 김순희 씨.
18:07더불어 잇몸마사지도 잊질 않습니다.
18:10한 시간 해도 되고 두 시간 해도 되고
18:16차근차근하고 깨끗하게 하고 자요.
18:20살아있는 동안에는 심심 먹어야 되잖아.
18:24그러니까 열심히 닦아야죠.
18:28다시 씹고 먹을 수 있게 되면서 되찾은 건강.
18:32김순희 씨에겐 하루하루가 소중합니다.
18:35치아 완성하고 나서부터는 좋아지셔.
18:42컨디션이 확 올라가시니까 해보려고 하시더라고요.
18:45표정도 좋아지시고 더 건강해지시고
18:48기분도 좋아지시고
18:51보행기 없이 그냥 일단 집에서도 잘 걸어 다니세요.
18:56보철 치료를 통해 일상이 개선된
18:58두 사례자의 인체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고 있을까요?
19:02보철 치료를 한 다음에 적응을 하면서
19:05전체적인 구간 기능을 체크를 했었을 때
19:09평가를 했었을 때
19:11전체적인 교합력이라든가
19:14그다음에 효율 이런 것들이 증가하는 게 확실히 보이고요.
19:18경도인지 장애의 경우에 있어서
19:20이게 정상으로 회복하거나
19:23아니면 조금 더 개선되는 여지는
19:25굉장히 퍼센티지가 큽니다.
19:28어떤 논문은 50%까지 얘기를 하고 있거든요.
19:32두 사례자의 현재 구간 기능을 평가해보기로 했습니다.
19:39다양한 보철 치료로 일상을 회복한 장덕현 씨
19:42틀리를 새로 제작하고 생기를 찾은 김순희 씨
19:53저작이라고 하는 것은
20:01굉장히 다양한 구강 조직과
20:04신경과 근육이 같이 포함이 되게 됩니다.
20:09그래서 어느 하나를 평가를 할 수는 없어요.
20:13씹는 거, 그다음에 삼키는 거, 그다음에 음식물을 섞는 거
20:18이런 것들이 다 혼합이 된 거잖아요.
20:20여러 구강 기관들이 다 관여를 하게 되는 거죠.
20:24먼저 저작근의 힘과 치아의 기능을 측정하는 교합력 검사
20:30젤리를 씹다 뱉어서 당이 얼마나 배출된다 측정하는 저작 효율 검사
20:38음식을 씹거나 삼키는 데 필요한 혀의 힘을 측정하는 서랍 검사
20:45단음절 발음 속도로 저작과 연화 기능을 평가하는
20:54ODK 검사
20:56그리고 전신 근력을 평가하기 위한 악력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21:04마지막으로 신체 기능 노세도를 측정했습니다.
21:09결과는 어떨까요?
21:10가능한 자연 치아를 살려서 그때그때 어쩔 수 없는 치아만 발치하고
21:26임플란트를 심으며 15년을 지내온 장덕현 씨.
21:29오금니 임플란트를 심었던 3년 전에도 같은 검사를 진행한 바 있는데요.
21:41그때와 비교해 교합력과 저작 효율 수치가 눈에 띄게 좋아졌습니다.
21:46인지 기능 검사 결과 정상 범위 유지
22:09치조골이 많이 없어져 틀리 고정용 임플란트 두 개를 안정적이 다시 심고
22:27틀리는 새로 제작했습니다.
22:33틀리에 적응하면서 김순희 씨의 검사 결과에도 차이가 있는데요.
22:39두 달 만에 교합력과 설압, 악력 값에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22:46김순희 씨의 인지 기능은 어떨까요?
22:48인지 기능 평가 결과 정상 범위 내에서 소폭 상승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23:10이 KMMSE라고 하는 것은 한국형 인지 기능 설문지거든요.
23:18그래서 간단하게 그래도 측정할 수 있는, 평가할 수 있는 그런 설문지인데
23:23영상 수준의 아주 괜찮은 상황이신 거죠.
23:29두 사례자는 보철 시력을 통해서 일상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23:33구강 기능과 인지 기능을 끌어올리고 또 유지하고 있습니다.
23:37저작이라고 하는 것은 원활한 저작을 했었을 때
23:43결국에 가서는 그 한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거예요.
23:49저희가 인지 기능을 높이려고 하는 것도
23:50그 사람이 얼마나 끝까지 잘 살아내느냐
23:53삶의 질을 높은 상태에서 끝까지 가져갈 수 있느냐
23:57이런 거기 때문에
23:58저작은 그래서 뭔가 원활이 되지 않았을 때는
24:03굉장히 치명적으로 한 개인의 삶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24:09그런 요소가 되겠죠.
24:19치매 증상을 보이던 병이 호전돼
24:21오랜만에 집 밖으로 산책을 나온 이숙재 씨.
24:24혼자 일어설 수도 없었던 때와 비교하면
24:39요즘엔 정말 많이 좋아졌습니다.
24:41일단 대화가 안 되니까요.
24:48그냥 원산 보고 계시고
24:50그냥 딴 세상에 계신 분처럼 하고 계신 거예요.
24:53그러니까 주변에 관심이 없어지시더라고요.
24:56그래서 누가 뭘 하던 무신경한 그런 표정들
24:59그게 가장 저는 좀 굉장히 안타깝고 마음 아팠던 것 같아요.
25:03먹는 것도 달라졌습니다.
25:09아플 땐 제대로 씹지도 못하고
25:10하루 종일 먹어보았자
25:12밥 4분의 1 공기를 못 먹었습니다.
25:16이젠 잘 씹고 잘 먹습니다.
25:18최근에는 몇 년 만에 음식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25:46식혜입니다.
25:48네 양반이 잘됐다고 그러더라.
25:53엄청 맛있어요.
25:54맛있어.
25:57옛날 맛이 나요.
26:00옛날 어머니 솜씨시네.
26:03정상압수도증이라고 하는 게 최종 병명이 됩니다.
26:08뇌에 있는 물, 뇌수가 정상적으로 뇌를 둥둥 띄워서
26:14뇌를 보호하고 뇌의 영양도 주고
26:17뇌의 노폐물도 빼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26:21그 뇌수의 순환의 장애
26:24이게 보통은 흡수가 잘 안 되기 때문이라고 보는 게 일반적이에요.
26:29인체 뇌 안쪽에는 액체로 채워진 공간, 뇌실이 있는데
26:35이곳 맥락총 혈관에서 뇌척수액이 생성됩니다.
26:41뇌척수액은 지주마카 공간을 순환하며
26:44영양분과 노폐물을 운반하고
26:46압력을 분산합니다.
26:48그런데 노화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26:53이 순환의 장애가 생기면
26:55압력과 노폐물 독성 때문에
26:57기저액 기능이 저하되면서
26:59보행과 인지 그리고 씹는 기능까지 떨어지는
27:03치매 증상을 보이는데요.
27:06이 질환이 정상압수도증입니다.
27:12환자들의 MRI를 분석한 결과
27:14씹는 기능을 담당하는 근육, 외측 익돌근의 약화가
27:19공통적으로 발견됩니다.
27:23즉 인지 기능과 저장력의 밀접한 연관성이
27:26확인된 겁니다.
27:38잘하셨어요? 뒤로 돌아보세요.
27:44허리에 튜브를 넣어 뇌척수액을
27:48뱃속으로 빼내는 요추복강 단락술을 받았습니다.
27:53치매 증상은 거의 없어졌고
27:55인지 기능 검사 결과도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27:59최근 박용숙 교수 연구팀은
28:11이숙재 씨 같은 수두증 환자들의 씹는 힘이
28:14약화된 증상에 주목하고
28:1596명 환자들의 MRI 결과를 살펴보았습니다.
28:22영상 속 저작근의 질감을 수치화해서
28:24근육 조직의 이상 여부를 판별한 결과
28:27치매 증상을 보인 수두증 환자들의
28:30저작근은 조금 달랐습니다.
28:33그래서 MRI에서 비교를 해보면
28:35물이 많이 들어가거나
28:36지방이 많이 들어가거나 하면
28:39얼룩덜룩한 형태로 보인다는 거예요.
28:42아주 균질하지 않고
28:43그래서 얼룩덜룩해 보일수록
28:45근육이 좀 약하다라고 보게 되는 거죠.
28:48초진 후 8개월 만에
28:51이미 거치도 못하고
28:53치매 증상이 두드러질 만큼
28:55수두증이 악화된 환자의 MRI 비교 영상
28:58육안으로도 알아볼 만큼
29:02저작근이 약해졌습니다.
29:06저작근은 밖에서 단련하는 근육이 아니기 때문에
29:08외부 개입은 상대적으로 적을 거라는 생각이 들고
29:11인지 기능이 좋을수록
29:14근육이 훨씬 균질하다
29:16또 인지 기능이 나쁠수록
29:18근육이 여러 가지가 섞이면서
29:21MMSE 점수가 떨어진 거랑
29:22일치하게 나왔어요.
29:25수두증이 조금씩 진행된 분들은
29:27씹지를 못하고
29:29삼키지를 못하고
29:31침이 앞으로 흐른다거나
29:32이런 형태로 오기 때문에
29:34씹는 기능이
29:37뇌의 어떤 능력과
29:39당연히 관련이 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죠.
29:49최근 일본에서도
29:51노년층 씹는 힘과
29:53인지 기능의 연관성에 대해
29:55구체적 단서가 될 만한
29:56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30:02제작팀은 해당 대학을 찾아
30:04연구 책임자를 만났습니다.
30:09노화 치과학 분야 전문가
30:11야마고치 사또시 교수입니다.
30:15사또시 교수는
30:16평균 연령 66세
30:17172명 환자의
30:19치아 상태와
30:20뇌의 해마 변화를
30:214년 동안 관찰했습니다.
30:23치주염이 없거나
30:51초기인 경우에는
30:52치아 수가 적을수록
30:54해마 위축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31:02일반적으로 씹는 행동은
31:04뇌혈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31:08치아 수가 줄어들면
31:09제작 기능이 떨어지면서
31:11뇌의 감각피질과
31:13운동피질로 전달되는
31:14혈류가 약해지고
31:15산소 공급도 줄어
31:17인지 기능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31:21한편 저작 행위는
31:24턱 밑 침샘에서
31:26뇌율의 영양인자 분비도 증가시키는데요.
31:31치아 수가 줄어
31:31저작 기능이 떨어지면
31:33침샘의 뇌율의 영양인자 분비도 감소됩니다.
31:36결국 해마에 전달되던
31:40자극이 적어지면
31:41해마에서 활성화되던
31:43뇌율의 영양인자도 감소하고
31:45뇌신경세포 생성을 줄이고
31:48시냅스 구조를 약화시켜
31:50해마 위축과
31:51인지 기능 저하를
31:52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31:56문제는
31:56치주 질환이 심한 경우입니다.
31:58이 경우
31:59일반적 추측과는 반대로
32:00치아 개수가 많을수록
32:02해마 위축이 심했습니다.
32:03즉
32:04심각한 치주 질환이 있으면
32:07잔존 치아가 많은 것이
32:09뇌에 더 해롭다는 의미입니다.
32:13연구 결과에서
32:14그런 경향이 뚜렷하게 확인되었습니다.
32:17남은 치아들이
32:18저작 기능은 상실한 채
32:19치주연만 악화시킨 겁니다.
32:33그렇다면
32:50치주 질환을 유발해
32:51인지 기능 저하에
32:52영향을 미치는
32:53주요 원인은 무엇일까요?
32:57치주염의 원인으로 알려진
32:59입속 치태를 확인해 보기로 했습니다.
33:01치태는 치주균의 생태계입니다.
33:04공통적인 특성은
33:07산소를 굉장히 싫어합니다.
33:09그리고 잇몸의 주변에
33:11혈관들이 많기 때문에
33:12그런 혈관 내에서
33:13공급되는 영양분을
33:14굉장히 좋아합니다.
33:16잇몸에
33:16안 좋은 환자
33:18잇몸에
33:18아주 깊은 곳에
33:19숨어 살면서
33:20산소가 닿지 않는
33:21공간에 주로
33:22서식을 하는 것이거든요.
33:25채취한 치태의 치주균을
33:27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33:28배양합니다.
33:31분리 배양된 치주균 형태를
33:34관찰해 보았습니다.
33:38현재 치주염을 주로 유발하는
33:40세균들은
33:41트레포네마, 포르페노모나스,
33:44타나렐라 같은
33:45치주균들입니다.
33:46치주질환에서
33:48많이 등장하는 세균들은
33:50일반적으로
33:51침투력이 좋다라고
33:52생각이 되고 있고
33:54그런 세균들은
33:55여러 가지 독소를
33:57뿜기도 하고
33:58효소 활성을 통해서
33:59주변 조직을 파괴하고
34:01면역작용을
34:02소위 교란을 시키는 것이죠.
34:04뇌에도 당연히
34:04작용을 할 것이고
34:06이러한 작용이 계속되면
34:07또 한 가지 효과가
34:09혈관벽에
34:10이런 축상 동맥 경화라고 해서
34:12혈관이 막힌 현상이 있죠.
34:13그럼 또 뇌혈관에도
34:14일어날 수 있다.
34:176년 전
34:18미국 루이빌 대학에서
34:20알차이머병으로
34:22사망한 환자들의 뇌를
34:23조직검사한 결과
34:2590%가 넘게
34:26치주염의 주요 원인 중에 하나인
34:28진지 발리스균이
34:30검출됐다는
34:30연구 결과가 발표돼서
34:32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34:36그 후로
34:37국악 내의 세균과
34:38인지 기능에 대한
34:39수많은 연구가
34:40이루어지고 있는데요.
34:42현재 연구는
34:43어디까지 진행될지
34:44흔들고 있는지
34:45찾아가 보았습니다.
34:56마틴 펜씨는
34:5891살입니다.
34:59사진과 광고를
35:01평생의 업으로 삼았습니다.
35:02얼마 전
35:16건강검진을 받았습니다.
35:17몸이 불편한 아내 대신
35:33식사 준비는 늘
35:34마틴씨가 합니다.
35:38식단에는 원칙이 있습니다.
35:40설탕을 넣지 않고
35:41채소를 반드시 포함시킵니다.
35:4360대 이후
35:45줄곧 지켜온 습관입니다.
35:46A few days ago
35:48summer pudding
35:50this is made with
35:52fruit of the forest
35:54there's strawberries
35:56blackberries
35:57blackcurrants
35:58마틴 씨는 젊은 시절
36:28사고로 앞니 두 개가 부러졌지만
36:30나머지 치아는 지금까지도
36:32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36:40정기적으로 치과 검진을 받는 마틴 씨
36:42여전히 청명함을 유지하는 마틴 씨의
36:53구강 건강 비결은 무엇일까요?
36:58뼈와 뼈가 굉장히 강화되고
37:00그래서 정말 좋습니다.
37:01뼈의 건강은 아주 좋습니다.
37:03뼈에 검진을 받지 못하고
37:05뼈에 검진을 받지 못하고
37:06뼈에 검진을 받지 못하고
37:07뼈가 건강이 좋습니다.
37:08뼈가 건강이 좋습니다.
37:09뼈가 건강을 받는 뼈에 검진을 받는
37:11뼈의 건강은 더 좋습니다.
37:15최근 고령층의 인지 기능은
37:22식습관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37:25영국의 한 대학에서 발표주했습니다.
37:28120여 명의 구강 위생물군 조사를
37:30바탕으로 한 연구입니다.
37:32평소 잎이 많은 채소를 즐겨 먹으면
38:01입안의 구강 미생물군이 채소에 함유된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바꾸는데
38:07이 과정에서 산화질소가 발생합니다.
38:14이런 변화는 다시 구강 미생물군의 나이세리아 같은 유익균의 비중을 늘려서
38:20뇌의 인재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8:27최근에는 이런 구강 내 미생물군 연구가 활발합니다.
38:31이번 연구는 참가자들이 입을 헹궈서 넣은 표본 수집 키트를 활용했는데
38:39경도 인지장애 그룹과 대조군 그룹에서 각각 비중이 높은 미생물군을 찾았습니다.
38:47치매 같은 인재기능 관련 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겁니다.
38:52what we found was that in our 120 people
38:58Neisseria, the bacteria that lives in the mouth,
39:01was associated with having better thinking and memory skills.
39:06on the other hand we had a group of people, 60 of them,
39:09이는 그녀의 심각이 심각한
39:17그는 그녀의 심각이 심각하고
39:21높은 아픔에나는
39:22이는 그녀의 심각을
39:25그리고 우리에게
39:27그는 아프를 찍고
39:29그는 아픔에나는
39:32세계를 지지하는
39:33영역이 심각한
39:35치매 고위험군 유전자형을 지닌 노년층의 구강 미생물군을 분석한 결과
39:45나이세리아 구강 미생물군을 늘리고
39:51포르피로모나스와 포르보텔라 인터메디아 구강 미생물군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40:05집 근처에서 농사를 짓는 80세 임형섭씨.
40:16평생 치과를 간 적이 거의 없습니다.
40:19치아가 문제를 일으킨 적이 없기 때문인데요.
40:21임플란트는 물론 보철치료원 치아도 하나 없습니다.
40:44집에 돌아오면 제일 먼저 양치를 하는 임형섭씨.
40:48이를 닦을 때 치약 대신 소금을 사용합니다.
40:57소금 양치법도 남다른데요.
41:01소금을 치아에 직접 문지르지 않고
41:03진한 소금물을 만들어 그 물로 치아를 닦아 냅니다.
41:07이렇게 하루 4, 5번의 양치질을 하는데
41:1080평생을 지켜온 습관입니다.
41:13안 좋아해요. 입안이 달고.
41:16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41:19이거를 습관이 돼서 그런지
41:20소금을 하면 더 개운하고 입안이 더 좋아요.
41:28깨끗하죠?
41:32식사 시간이 됐습니다.
41:36잡곡밥에 채소 반찬.
41:39임형섭씨가 질려먹는 식단입니다.
41:40치아가 건강하니 씹는 데 별다른 문제는 없으시겠죠?
41:50그냥 이렇게 야채예요 그냥 야채.
42:01다 좋아요 야채는.
42:04고기보다 더 좋아요 야채.
42:06없어서 못 먹어요.
42:07정말 채소를 좋아하시는군요.
42:20임형섭씨 구강기능을 평가해보기로 했습니다.
42:23평생 보철치료 없이 80년동안 자연치아를 유지하고 있는 임형섭씨.
42:32구강기능평가와 노쇄검사를 실시했습니다.
42:40결과는 어떨까요?
42:42전체적인 신체 노쇄도를 검사를 했었는데
42:46거의 만점 상황이시더라고요.
42:49씹는 힘, 혀의 힘 이런 게 거의 젊은 청년 수준이시거든요.
42:55인지기능은 어떨까요?
42:5793
42:5893에서 7 뺄게요.
43:0186
43:01또 7 빼볼까요?
43:0786
43:0779
43:08인지기능 역시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43:17임형섭씨 검사 결과
43:18대부분 항목에서 해당 연령 평균에 비해 뛰어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43:30하지만 이제부터 주의할 점이 있죠.
43:35치과를 갈 일이 없다 보니
43:37몰랐던 부분인데요.
43:39지금 되게 좋은 상태이긴 하지만
43:42지금부터 굉장히 철저하게 관리는 해주셔야 돼요.
43:46이가 없으니까
43:47대합되고 있던 이가 이렇게 내려와서
43:51얘가 지금 이렇게 매달려 있는 상황인 거죠.
43:53혼자 자체적으로 관리하시기에는
43:57약간 부족한 점이 있고
43:59그 다음에 이미 진행된 치주염이나 치아가 없는 부분은 관리를 하시고
44:06그 다음에 보체도 필요한 부분은 하셔야지
44:09이제 향후 100세까지 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실 수 있다.
44:17고령층의 인지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부강 건강을 지키려면
44:22사회적 지원도 뒷받침이 돼야 합니다.
44:32일본 시오지리시의 보건복지센터
44:35아침부터 분주한 분위기입니다.
44:38시의 지원으로 지역 치과의사회에서 순번을 정해
45:00취약계층을 방문 진료하는 날입니다.
45:03오늘 목적지는 요양 등급을 받은 환자들을
45:09일과 시간 동안 혹은 단기간 보호하는 돌봄시설입니다.
45:14거정이 불편하거나 인지기능이 저하진 고령자가 많습니다.
45:26환자들 가족이나 시설의 신청으로 방문 진료 일정이 결정됩니다.
45:33돌봄이 필요한 환자들이기 때문에
45:46의제진과 보호자 그리고 시설 모두
45:49치약관리 내용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45:52자아가 보이지만 중요한 부분입니다.
46:12그렇다면 이런 관리 비용은 어떻게 해결하고 있을까요?
46:29초고령 사회 일본에는 노년층 건강의 출발점이
46:56씹는 힘, 저장력이라는 사회적 공감대가 이미 형성돼 있었습니다.
47:0518년 전 이미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일본은
47:09고령자 구강 건강이 치매 예방의 첫걸음이라는 것을 깨닫고
47:13국가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47:17이제 우리도 노년층 구강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제도가 필요한 시간입니다.
47:22막 시작된 초고령 사회에 현실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생활습관에 대해 알아본 생노병사의 비밀
47:31초고령 사회 특집 3부작 역노화 생전공식
47:36지난 3주 방송을 돌이켜보니 노년의 건강을 위해 각자에게 꼭 필요한 것은
47:43거대한 계획이나 목표가 아니라 일상에서 지나치기 쉬운 아주 작은 습관들이었습니다.
47:51이런 건강 습관들을 하나씩 실천한다면 행복한 노년의 삶이 우리 곁에 도착해 있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47:59건강한 노을을 준비하십시오. 감사합니다.
48:29우리의 첫걸음 입니다.
48:31우리의 첫걸음은 흐름의 삶이 있습니다.
48:33우리의 첫걸음이로 선을 부르는 것입니다.
48:38우리의 첫걸음과 가짐한 곳을 기밀한 이 곡입니다.
48:41우리의 첫걸음과 새해가 왔누� kh 즐거�らs��릴까요?
48:46우리의 첫걸음과 함께하는 음식을 부끄만에 뱅한 이 곡은
48:49우리의 첫걸음이 부끄만에 뱅한 이 곡은
48:52우리의 첫걸음과 함께하는 다운의 소망을 하여
48:54우리의 첫걸음을 선을 수 있어
48:55우리의 첫걸음으로 향lining 이 곡은
48:59한글자막 by 한효정
추천
49:32
|
다음 순서
1:26:19
1:23:19
47:50
1:37:33
1:44:23
21:29
1:44:10
23:45
48:10
1:07:33
56:29
1:10:54
1:43:58
59:33
1:10:38
1:3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