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4. 24.


“난 선거제 변경 반대합니다”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또 개헌에 대해서 제가 또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00:06그러니까 지금 현재 보면 독일에서 하는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를 우리가 도입을 한다.
00:18그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00:20정당명부 비례대표제를 저희도 해볼 수 있겠습니다만
00:24저는 선거제도를 자꾸 바꾸는 것은 이거는 옳지 않다고 저는 봅니다.
00:30저는 그래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 개정할 때 저는 강력하게 반대를 했습니다.
00:37그래서 최대한으로 선거제도가 현행 선거제도에 큰 문제가 없는 점은 유지를 해줘야지.
00:44그걸 자꾸 소선거구제 또 안 되면 중대선거구제 또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독일 선거제도요.
00:51저도 공부를 해봤는데 너무너무 어렵고 복잡해요.
00:53일반 국민들은 알 수도 없어요.
00:55이거는 국민을 대표하는 개의정치로서 상당히 문제가 있으면 너무 어려우면 그건 좋은 제도가 아닙니다.
01:02그런데 지금 현재 보십시오.
01:04지금 현재 우리가 104석밖에 되지 않지 않습니까?
01:09결국은 지금 현재 이 선거제도를 이 나쁜 선거제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01:15결국은 그 피해를 우리 당이 지금 최대한 많이 보고 있지 않습니까?
01:20저는 그런 뜻으로 말씀드린 겁니다.
01:23이번에는 경제 관련된 질문 또 한번 해보시겠습니까?
01:27아니, 선거제도에 대해 말씀드리면 우선에 그렇게 우리 당이 지금 의석이 적으니까 선거제도를 바꾸자.
01:35이건 안 되고요.
01:36그러면 독일 같은 데는 어떻습니까?
01:39명부 비례대표제 선거를 하니까 그럼 너무 소수당, 녹색당이다, 무슨당이다.
01:45그러니까 너무너무 많은 정당이 이합 집산을 하고 이게 난립이 돼가지고 전국 자체가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01:52그래서 현행 우리 선거제도는 미국이나 일본이나 다 하고 있습니다.
01:57그래서 너무 우리 선거제도 탓을 하지 말고 부디 정치인들이 제대로 하고 우리 국민의힘 또 제대로 분발해서 공천 제대로 하고
02:05활동을 제대로 하면 더 많은 득표를 해서 다수당이 될 수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02:12선거제도 탓을 할 문제 아니다고 저는 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