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축제의 계절…지자체들 '바가지 요금과 전쟁' 선포

  • 2개월 전
돌아온 축제의 계절…지자체들 '바가지 요금과 전쟁' 선포

[앵커]

날씨가 포근해지면서 전국에서 봄 축제가 하나둘 개막을 앞두고 있는데 올해 행사장에서의 최대 화두는 바로 바가지요금 근절입니다.

축제에 대한 불매운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자 삼진 아웃제를 도입하는 등 지자체마다 대책 마련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이상현 기자입니다.

[기자]

지역 축제장을 찾은 유튜버가 어묵 5천 원어치를 달라고 하자 상인이 만 원부터 판매한다고 선을 긋습니다.

소라는 한 컵에 오천원, 돼지고기 바비큐는 4만 원입니다.

"한국이 물가 진짜 비싸졌어요. 이거 먹을 수 있는 게 없는데?"

올해 홍천강 꽁꽁축제에서는 순대 한 접시에 2만 원, 어묵 한 그릇에 1만 원을 받아 바가지요금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이처럼 지역축제가 열릴 때마다 바가지요금 논란이 끊이지 않자 지자체와 주민들이 직접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바가지요금 논란을 일으킨 대부분의 가게는 전국의 축제장을 돌며 입점료를 내고 장사를 하는 외부 야시장 업체들.

이에 강원도는 축제 기간 외부 업체의 입점을 최소화하고 바가지 논란이 발생할 경우 입점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런 바가지요금은 찾아온 관광객까지 내쫓는, 그야말로 지역 주민들이 공들여 만든 축제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창원시는 진해 군항제에서 바가지요금 적발 시 1회 경고, 2회 해당 물품 판매금지, 3회 퇴출 등의 삼진 아웃제를 도입했습니다.

축제위원회도 바가지요금 근절 결의대회를 열고 행사 기간 직접 단속을 벌여 적발된 업체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입점자의 실명제를 도입한 현수막을 게첨하고 메뉴판이라든지 모든 판매 물품을 저희 위원회에서 다 접수받아서 기재사항 외 물품은 판매하지 않도록 그렇게 준비하고 있습니다."

전라북도는 바가지요금 전담팀을 꾸려 주요 축제를 관리하고 경주시도 벚꽃 축제에 앞서 사전에 물품 가격을 정하는 등 봄축제를 앞두고 있는 지자체마다 바가지요금과의 전쟁에 나섰습니다.

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idealtyp@yna.co.kr)

[영상취재기자 박종성·김완기]

#봄축제 #야시장 #바가지 #근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