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연준 '매파적 동결'에 美 국채금리 2007년 이후 최고치

  • 8개월 전
[김대호의 경제읽기] 연준 '매파적 동결'에 美 국채금리 2007년 이후 최고치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한 이후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4.48%로 2007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왜 이런 반응이 나타난 건가요?

연준이 매파적 신호를 보내고 국채금리가 오른 여파로 지난 밤사이 뉴욕증시는 하락 마감했는데 어떻게 보셨나요? 국내 금융시장의 반응도 심상치 않은 것 같은데요?

미국의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글로벌 경제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금리 부담이 커지면 소비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데 국내 경제 여파는 어떨까요?

특히 금리 인하기에 부채를 크게 늘린 가계의 고통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점이 우려되는데 어떻습니까? 기업 실적에도 악영향이 있지 않을까요?

최근 전국의 아파트 가격이 오름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수도권 상승 폭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과 한두 달 시차를 두고 후행하며 경기와 인천의 신축 아파트의 가격이 높아지는 모습인데 시장 분위기, 어떻게 진단하시나요?

가을 이사철을 맞은 전세시장도 전국적으로 0.13% 오르며 9주 연속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지난해 급격한 금리 인상과 역전세 우려 등으로 전세보다 월세의 선호도가 크게 올랐었는데 수요자들이 다시 전세로 눈을 돌리는 것 같아요?

아이폰15 시리즈가 내달 초 국내에도 공식 출시됩니다. 애플이 신제품을 공개한 지 한 달 만이죠?

아이폰15 시리즈의 달러 기준 가격이 동결된 가운데 전작 출시 때보다 원·달러 환율이 내려갔음에도 불구하고, 원화 기준 아이폰15 시리즈 가격은 그대로여서 '고가 논란'·'한국 홀대론'도 불거지고 있는데 어떻게 보세요? 중국의 경우 공무원들에게 '아이폰 금지령'을 내렸다는 소식이 전해졌음에도 주문량이 몰렸다는데 한국 흥행 여부는 어떨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