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읽기] 3월 소비자물가 4.2% 상승…공공요금·OPEC+감산 변수

  • 작년
[경제읽기] 3월 소비자물가 4.2% 상승…공공요금·OPEC+감산 변수


3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대비 4.2% 오르며 1년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점차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근원물가가 가라앉지 않고 주요 산유국들의 전격적인 추가 감산 조치까지 겹치면서 향후 물가 전망을 쉽사리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됐는데요.

관련 내용,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월에 이어 4%대를 기록했습니다. 상승률이 1년 만에 가장 낮았는데 정점을 찍고 둔화하고 있다 봐도 되는걸까요? 물가상승률 폭이 줄어든 건 어떤 영향 때문인가요?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 초반까지 둔화했지만,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황인 것 같아요?

정부는 지난해 상반기 소비자물가가 많이 상승했던 기저효과를 고려하면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가 안정될 거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공요금 인상이 예고되고 OPEC+의 감산 소식 여파로 국제유가가 급등하는 점이 물가 전반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국내 건설사와 제2금융권의 부동산PF 부실 위험이 크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물가 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있는 한국은행도 부동산PF 부실 위험을 계속 강조하고 있는데 어떤 점을 우려하는 건가요?

건설사, 금융사 등이 실타래처럼 엮여 있는 부동산PF에 문제가 생기면 금융시장은 물론 실물경제에도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미국에서는 상업용 부동산 대출의 부실화 가능성이 다음 위기의 진원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미분양주택이 늘어나는 등 부동산 경기가 부진한데 우리는 관리 가능한, 안전한 상황인가요?

최근 가지고 있던 금을 팔아 시세 차익을 얻는 이른바 '역 골드러시' 현상이 일어나는가 하면 MZ세대 사이에선 금에 간접 투자하는 '골드뱅킹'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던데 금값이 큰 폭으로 오르고 금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배경,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여파 때문일까요?

달러와 금 가격은 대체로 반비례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엔 달러와 금 가격이 같이 오르는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일종의 '거품'이 끼었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주의할 점, 짚어주신다면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