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뚝 떨어진 가동률…2년여 만에 문닫는 생활치료센터

  • 2년 전
[단독] 뚝 떨어진 가동률…2년여 만에 문닫는 생활치료센터

[앵커]

코로나19 유행 직후 도입된 생활치료센터, 2년 만에 문을 닫을 예정입니다.

재택치료 중심의 관리 체계 전환 후, 필요성이 낮아졌다는 판단에 따른 건데요.

이미 몇 달째 가동률은 20%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신새롬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다른 모든 지자체에서도 생활치료센터를 미리 선정해 주십시오. 전국 각지에 마련되려면 공공시설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코로나19 유행 직후 정부는 관공서나 기업의 연수원 등을 활용해 생활치료센터를 구축했습니다.

경증 환자 격리를 통한 전파 차단과 의학적 모니터링, 치료가 목적이었는데 최근 정부가 운영 중단을 결정하고 구체적 방안 마련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단계별로 이렇게 1단계 2단계 3단계 나눠서 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고 여러 가지 방법이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아직 확정을 못 했어요."

운영을 맡아온 지자체들은 오미크론 유행 직후부터 생활치료센터 축소를 요청해왔습니다.

수용 능력이 약 2만 명까지 늘고, 일부 지역의 가동률은 한 때 80%를 넘었지만, 재택치료 중심 체계로 전환되며 가동률이 뚝 떨어진 탓입니다.

"2월 들어와서부터는 점차 낮아지고 있어요. 저희 뿐만 아니라 모든 생활치료센터가 지금 가동률은 전체적으로 낮아요."

하지만, 자가격리가 힘든 주거취약계층 등의 수요가 있는 만큼, 지역별로 거점을 둬 효율적 운용을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관리를 안 했으면 하는 게 다 공통적일 건데, 거기 근무하는 사람들, 의료진, 또 개별 입소한 사람 한 명 한 명의 민원 이런 것 때문에… 줄이긴 줄이되 (일부) 남기는 방향으로 가지 않겠나 그렇게 예상하고 있습니다."

방역당국은 조만간 지자체 의견 취합 과정을 거쳐 방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연합뉴스TV 신새롬입니다. (romi@yna.co.kr)

#생활치료센터 #생활치료센터폐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