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만 사용" 첫 시험대…속도 저하 우려도

  • 3년 전
"5G만 사용" 첫 시험대…속도 저하 우려도

[앵커]

속도도 기대보다 느리고 일부 구역에선 LTE로 바뀌는 5G 통신 서비스 품질에 대한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죠.

그런데 KT가 5G만을 사용하는 서비스를 이달 시작합니다.

하지만, 전국망 구축이 끝나지 않은 탓에 오히려 속도만 느려질 것이라는 비판도 나옵니다.

소재형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5G 서비스 가입자 수는 1,584만여 명.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22.1%에 달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5G가 닿지 않아 LTE 모드로 전환되며 속도가 느려지거나 먹통이 되는 불편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지하철이나 지하상가 내려가면 카톡도 잘 안되고 연락도 안 되고, 그렇게 비싼 요금 쓰는데 일주일에 두세 번 불편을 겪으니까."

현재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하는 5G 서비스는 3.5GHz 주파수 대역에서 비단독 모드입니다.

쉽게 말해 5G망과 LTE망을 번갈아 쓰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KT가 이달 국내에서 처음으로 LTE망 없이 5G망만을 사용하는 서비스에 들어갑니다.

망 전환 시 발생하는 속도 저하나 먹통이 줄고, 배터리도 덜 소모될 것이란 게 통신업계 설명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3.5GHz 5G 전국망 구축도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진정한 의미의 5G 단독모드 도입이 가능하겠느냐는 겁니다.

"기지국이 얼마나 커버하느냐에 따라서 지역별로 접속률의 차이가 있을 것이고, 속도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 KT는 5G 단독모드를 쓰면 속도 저하가 없다고 설명하지만, 5G망에 트래픽이 몰리면 속도가 오히려 느려질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경쟁사 SK텔레콤, LGU+도 5G 단독모드 도입을 검토 중이지만 서비스 도입보다 5G망 완전 구축이 선결 과제란 지적이 나옵니다.

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 (sojay@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