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 "국민의 검찰로 가야" vs 尹 "秋 사의 상관없이 소송"

  • 3년 전
秋 "국민의 검찰로 가야" vs 尹 "秋 사의 상관없이 소송"

[앵커]

문재인 대통령의 징계안 재가로 지난달 말 직무에서 배제됐다가 법원 결정으로 복귀한 윤 총장은 보름 만에 다시 직무정지 상태에 놓이게 됐습니다.

이번 징계위 결과에 반발하고 있는 윤 총장 측은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사의 표명과 관계없이 소송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추 장관은 검찰개혁을 강조하며 "국민의 검찰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윤솔 기자입니다.

[기자]

정직 2개월의 징계안이 의결된 16일 오전, 윤석열 검찰총장은 평상시처럼 정시에 출근해 업무를 봤습니다.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해 전국 검찰청에 소상공인 소환조사 자제를 지시하기도 했습니다.

징계가 확정될 때까지는 통상적 업무를 수행하겠다는 입장이었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징계안을 최종 재가함에 따라, 검찰은 다시 한번 총장 공백 사태를 맞게 됐습니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직접적 반응은 자제하면서도 '검찰개혁 완수'를 강조하며 우회적으로 이번 징계의 정당성을 부각했습니다.

"검찰을 위한 검찰이 아니라, 국민만을 바라보고 국민이 원하는 정의를 구현하는 '국민의 검찰'로 나아갈 것입니다."

윤 총장은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윤 총장은 입장문을 통해 "임기제 검찰총장을 내쫓기 위한 불법 부당한 조치"라며 "헌법과 법률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잘못을 바로잡겠다"고 말했습니다.

초유의 검찰총장 정직 사태에 검찰 내부도 요동쳤습니다.

정희도 청주지검 부장검사는 "그렇게 공정을 이야기하더니 결국 답이 정해져 있었다"고 쓴 글을 올렸고, 김경목 수원지검 검사는 "숙고해주시기를 간청드린다"고 적었습니다.

전직 검찰총장 9명은 성명서를 통해 "검찰총장 임기제는 중립과 수사의 독립을 보장하기 위한 최후의 장치"라며 "이번 징계 절차는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에 대한 위협의 시작이 될 우려가 너무 크다"고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solemio@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