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울릉도 ‘바가지’ 논란…군수까지 나섰다
채널A 뉴스TOP10
팔로우
그저께
울릉군수 "현실적 어려움이 핑계 될 수 없다"
울릉군수 "울릉관광의 민낯… 유튜브로 현실화"
울릉군수 "반면교사 삼아 도약 계기로 삼겠다"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이 분이 누구지 하시는 분들 꽤 많을 텐데요.
00:07
이제부터 만나볼 겁니다.
00:08
누군지.
00:10
얼마 전에 저희 뉴스타펜에서요.
00:12
이른바 울릉도 비계 삼겹살 논란을 전해드린 바가 있습니다.
00:17
한 유튜버의 영상을 통해서 알려진 얘기죠.
00:21
이게 울릉 군수까지 나설 일이 됐습니다.
00:25
삼겹살 먹으러 왔는데 삼겹살 비계 양이 이게 맞나?
00:34
절반이 비계인데?
00:38
1인분 이거 한 덩이로.
00:39
1인분?
00:40
2인분.
00:41
1인분.
00:43
15,000원.
00:44
기름을 일부러 이렇게 거의 반씩 이렇게 주시는 거예요.
00:55
이번 발생한 불편 사례에 대해서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01:03
친절과 서비스로 무장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진리를 명심하고 다시 태어나겠습니다.
01:10
보셨죠? 일부러 기름 반씩 주는 거냐고 유튜버가 물어봤더니 육지고개처럼 퉁퉁퉁 썰어서 인위적으로 썰어들어요.
01:20
저것도 삼겹살도 아니고 그것 또한 앞다리살 아니냐라는 여러 가지 얘기까지 나왔었는데
01:27
강재현 변호사님.
01:29
울릉 군수까지 나섰고 아예 영상을 찍어서 본인들이 심심한 사과와 현실적 어려움이 핑계가 될 수 없다.
01:37
울릉 군수까지 나섰습니다.
01:39
그렇죠. 이제 여름 휴가철이 다가오면서 바가지 요금에 대한 부분들, 많은 국민들께서 관심을 갖고 계십니다.
01:46
그런데 울릉도는 사실 섬이기 때문에 원래 전체적인 물가가 비싸다라는 것을 국민들께서 많이들 알고 계시는데요.
01:54
이번에 굉장히 유명한 유튜버가 울릉도에 가서 영상을 올렸는데
01:58
보신 것처럼 삼겹살 2인분이, 비계가 반 이상이 들어가 있는 것이죠.
02:03
여기에 대해서 문제 제기를 했는데 우리는 그냥 이렇게 쓴다, 퉁퉁퉁 잘라서 쓴다라고 이야기를 하고
02:09
또 같은 영상 안에 보면 숙소에 갔는데 에어컨이 나오질 않는 거예요.
02:14
최근에 굉장히 더웠는데 이런 형태로 지금 손님들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냐.
02:19
이런 것들이 울릉도 여행에 대한 이미지가 떨어지면서 보이콧이라든지 이런 일들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02:26
지금 울릉 군수가 나선 것입니다.
02:28
여기에 대해서 사과하는 메시지, 영상으로도 남기고 홈페이지에도 올리고 있는데
02:34
이 부분에 있어서는 앞으로도 추가적인 조사도 필요하고 개선책을 마련하겠다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02:41
군수가 직접 영상 찍어서 관광객들 오해하지 말고
02:45
저희가 다시 잘 정비해서 할 테니까 핑계댈 수 없다라는 얘기를 했어요.
02:52
다음 화면을 보겠습니다.
02:52
그런데 아시다시피 울릉 군의 저 이른바 비계삼겹살 논란 전에
02:57
여수 유명 맛집의 혼밥, 홀데 논란.
03:02
이것도 당시 공식 사과가 있고
03:04
여수시가 행정조치 예고에 사감까지 냈다.
03:08
지자체도 적극적으로 나설 수밖에 없는 게 이제 이런 것 같아요.
03:11
최진봉 교수님.
03:13
최근에 선입견들이 생긴 게 국내 여행 가면 물가도 비싸고
03:18
굳이 예전만큼 물가가 싸지 않기 때문에
03:21
해외여행을 더 장려한다라는 여러 가지 분야.
03:25
그런데 이런 부분들 때문에 더 선입견이 강해질 거.
03:29
그래서 지자체들이 더 발빠르게 나서는 이유도 있는 것 같습니다.
03:32
그렇습니다.
03:32
지자체 입장에서는 저런 영상들이 퍼지게 되면 이제 방문 안 합니다.
03:36
누가 거기를 가겠어요.
03:37
실제 여수시 같은 경우에 매년 1,300만 명이 방문하는 도시입니다.
03:40
그렇게 유명한 도시고 노래 때문에도 많이 이제 사람들이 찾게 되는데
03:44
거기에 이제 저렇게 불친절한 모습이잖아요.
03:47
아니 혼자 들어가긴 했지만요.
03:48
시키기는 2인분 시켰어요.
03:50
그래서 2인분 시켰다.
03:51
20분밖에 안 지났는데 왜 안 나가냐고 체근을 하고.
03:55
그리고 2인분 시켰다니 2만 원 시키고 뭐 그러냐.
03:58
이런 식으로 얘기했다는 거 아닙니까?
03:59
자기 지역을 찾아와서 관광도 하면서 소비를 하는 사람은 저런 대우를 했다는 건 대단히 잘못된 행동이고요.
04:05
그래서 여수시장이 나서서 늦었지만 정말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미안하다.
04:09
그리고 점검을 제대로 하겠다고 얘기했는데 저런 모습이 결국은요.
04:13
전체적으로 국내 여행 산업을 상당히 위축시키는 일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04:17
제주도 같은 경우도 논란이 되고 있는데 이유는 뭐냐면 제주도에도 바가지 요금 때문에 논란이 많이 되고 있어요.
04:23
이러다 보니까 사람들이 제주도 가느니 차라리 그 돈으로 해외여행 가겠다고 그럽니다.
04:27
실제로 비용으로 보면 동남아를 여행하는 거나 제주도 가는 거의 비슷하게 돼 있어요.
04:31
실제 한 조사를 보니까요. 작년과 비교해서 올해까지 조사한 내용을 보면 관광객 수가 약 5.9%가 감소했다고 그래요.
04:40
작년에 제주도를 방문한 숫자와 이번 올해 같은 기간에 방문한 숫자 5.9%가 감소를 했고요.
04:46
주로 내용이 바가지 요금 불친절 이게 주요 내용이라고 하고
04:50
실제 한국경제인협회에서 22일날 발표한 걸 보면 국내 여행 선호도 조사를 했거든요.
04:56
해외여행이 10점 만점으로 해서 해외여행은 8.7점이 나왔어요.
04:59
국내 여행은 8.3점 해외여행보다 국내 여행이 더 적어진 점수가 낮은 이런 현상이 나타났는데
05:05
이렇게 되면 국내 주요한 관광지의 관광 산업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기억했으면 좋겠습니다.
05:11
물론 뭐 식당을 운영하시는 분들이 갑자기 일부 먹방 유튜버들은 그냥 갑작스럽게 찾아와서
05:17
허락도 안 받고 영상 찍고 조금이라도 문제점 있으면 올리고 콘텐츠로
05:22
이런 부분들에 대해 사수하는 분들도 많지만
05:24
지금 울릉군이나 여수시까지 나설 정도로 지금 전반적인 문제는 있는 거니까요.
05:31
울릉군과 여수시의 사과, 지자체의 사과에까지 묶어서 이번 주제 정리를 해봤습니다.
05:36
울릉군과 여수시의 사과, 지자체의 사과, 지자체의 사과, 지자체의 사과, 지자체의 사과, 지자체의 사과에까지
추천
2:06
|
다음 순서
[돌직구 강력반]삼겹살 절반이 ‘비계’…울릉도 ‘바가지요금’ 논란
채널A News
5일 전
1:10
[날씨]서울 38도, 폭염 절정…올 최고 더위 온다
채널A News
어제
1:34
[여랑야랑]국민의힘, 금요일의 악몽
채널A News
어제
1:38
[여랑야랑]알고보니 셀프 수해 복구?
채널A News
어제
4:48
울릉도 여행 영상…‘바가지 논란’
채널A News
5일 전
4:59
비계 가득한 삼겹살…울릉도 ‘바가지’ 논란
채널A 뉴스TOP10
5일 전
3:41
‘비계 삼겹살’ 논란에…결국 울릉군수까지 사과
채널A News
그저께
1:48
폭설에 강풍까지…생필품 끊긴 울릉도
채널A News
2025. 2. 6.
2:14
[앵커리포트] "마음이 드릉드릉"…임영웅, 때아닌 '남혐' 논란
연합뉴스TV
2024. 7. 1.
4:33
“한국에선 이래도 돼?”…왕릉 앞 ‘황당 골프’
채널A News
2025. 6. 26.
6:34
한덕수·이낙연 ‘개헌 연대’ 구축…“뜻 일치해”
채널A News
2025. 5. 7.
2:33
열대 늪지대처럼 변한 경포호...무더위에 해조류 이상 번식 / YTN
YTN news
2025. 6. 26.
32:18
'청문보고서 불발' 장관 3명 임명...야 "잘못된 임명" / YTN
YTN news
오늘
2:02
청정 고원 속 여름 피서지...피서객 '북적' / YTN
YTN news
오늘
1:41
[자막뉴스]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마크롱 깜짝 발표 두고 '이견' / YTN
YTN news
오늘
11:32
트럼프가 제시한 관세 폭탄 피하는 방법?
채널A 뉴스TOP10
어제
15:55
‘사상 초유’ 대선 후보 교체 감사…“당원권 정지 3년”
채널A 뉴스TOP10
어제
16:41
‘아들 총기 살해’ 부친, 범행 직전 망설인 정황?
채널A 뉴스TOP10
어제
11:02
박찬대 “국민 외면한 45명…반드시 끌어내릴 것”
채널A 뉴스TOP10
어제
10:58
최동석 “대장동은 이 대통령 천재성 보여준 것”
채널A 뉴스TOP10
어제
5:25
김건희 여사 모친-오빠 동시 압수수색
채널A 뉴스TOP10
어제
5:20
첼리스트, 자필 탄원서 제출…“김의겸 엄벌해달라”
채널A 뉴스TOP10
어제
5:49
尹 상대 손배소 1심…법원 “1인당 10만 원 배상”
채널A 뉴스TOP10
어제
5:24
美 프로레슬링 전설 ‘헐크 호건’…71세로 별세
채널A 뉴스TOP10
어제
4:12
‘케이팝 데몬 헌터스’ 열풍…빌보드도 점령
채널A 뉴스TOP10
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