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궁정 악단에서 활동하던
아버지 영향을 받은 모차르트
세 살에 피아노 연주, 다섯 살에 작곡
배우지도 않은 바이올린을 연주까지

Q. 모차르트는 음악가 중 최초로 6세부터 이것을 하며 국제적 인지도를 높였는데 이것은 무엇일까?

지식 충전 퀴즈쇼 [브레인 아카데미]
매주 목요일 밤 10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보쌈,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짤즈부르크, 궁정, 악단에서 활동하던 아버지 덕에 음악의 환경에 노출이 많이 되어 있었죠.
00:103살 때 낫낼 모차르트, 누나가 피아노 치는 것을 보고 그냥 이렇게 유심히 지켜보다가 가서 이렇게 쳤대요.
00:18그냥 몇 살 때? 3살 때.
00:213살? 3살 때면...
00:23아닌데 피아노를 쳤다는 게.
00:25아, 피아노?
00:26손가락에 가지도 않을 텐데.
00:27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은 해요.
00:29왜냐하면 음악적인 환경에 너무 노출이 많이 되었었다는 거는 배 속에서 벌써 태교로 음악을 좀 짓지 않았을까.
00:37초능력이네, 거의.
00:39그리고 5살 때 누가 가르쳐주지도 않았는데 내가 작곡한 거야, 그래서 작곡을 했죠.
00:44그게 아직도 믿기지가 않습니다. 솔직히 말이 됩니까, 그게?
00:47천재는 저런 분을 얘기하는 거거든요.
00:50그리고 6살 때는 아버지가 친구들과 바이올린 연주하는 것을 유심히 지켜보고 바이온을 잡고 연주하기 시작했대요.
00:58그래서 아버지가 내가 천재 아들 낳았구나, 아주 기쁨에 눈물을 찢었다고.
01:02너무 신화적인 얘기다.
01:03그럼 음악도 잘 만들고 연주도 잘하는 사람이었네요?
01:06그렇죠. 아예 장착을 다 하고 태어나지 않았나 그런 생각을 좀...
01:11와...
01:12노력을 하거나 내가 무엇을 해야지 작정을 하지 않고 그냥 내 머릿속에 있는 걸 그냥 끄집어내는...
01:18대단하다.
01:19그냥 하는 거죠, 그냥.
01:20신이 내린 재는.
01:22신이 내린 천재, 그런 표현을 많이 하죠.
01:24벌써 문제네요. 여기서 문제 빼겠습니다.
01:27자, 문제 주세요.
01:31모차르트는 음악가 중에 최초로 6세부터 이것을 하며 국제적 인지도를 높였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01:39아, 저거... 오케스트라?
01:42들어갔는데...
01:425살 때, 5살 때 작곡을 했다고 그랬지?
01:45작곡을 했으면 할 수 있는 게 뭐가 있지, 지금?
01:473살 때는 피아노를 치고, 5살 때 작곡을 하고.
01:51저 당시에 편곡이란 말이 있나?
01:52편곡을 했다고 국제적 인지도가 올라갈 것 같지는 않고요.
01:55최초로 해서 국제적 인지도를 높였다.
01:58지휘 같다, 지휘.
01:59아, 지휘?
02:00국내에서 원래 음악가들은 지휘를 하지 않았던 거지.
02:04그렇지.
02:04지휘는 어떤 권력 같은 거였을 수도 있지.
02:08그거를 음악가인 이 아이가 와서 지휘를 한 거야.
02:11그리고 김문정 감독님이 지휘하거든요.
02:13아, 본인과 엮으시려고.
02:16저희를 믿으셔야 됩니다.
02:18빨리 퇴근하고 싶으면 힌트를 주는 게 좋을 겁니다.
02:21오, 이거 참신한 역할이야.
02:23참신한 역할이야.
02:24그렇게 여기 있고 싶으면 주지 마세요.
02:26이러다가 자정됩니다.
02:28아니, 지휘를 했는데 국제적으로 인지도가 높으셨다고?
02:316살 아기가 이거 들고 이거 한다고 생각해봐.
02:35지휘?
02:36이거 한 거야, 실제로.
02:37실제로 한 거야.
02:38오피스터로 앞에서.
02:39지휘를?
02:40제 생각에는 6살 때 지휘가 아닌 것 같아가지고.
02:44왜죠?
02:45근데 저는 모차르티 인생을 아버지가 망쳤다고 들은 것 같거든요.
02:48아, 그래?
02:49어릴 때부터 너무 애가 신동이고 이러니까
02:51원래는 궁전에 소속돼서 음악가들이 공연을 했다면
02:54여기저기 데리고 다니면서 공연을 했던 것 같은
02:57그냥 느낌 그런 뭔가
02:59공연?
03:00그런 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어요.
03:02원래 천재가 나오면 부모들은
03:04누가 오든 계속 이걸 보여주고 싶어요.
03:07그래.
03:07얘 외우는 거 봐라.
03:08얘 뭐 하는 거 봐라.
03:09그러니까 뭔가 보여주고 싶은 건데
03:11극성이네.
03:126살 때 뭔가를 부모가 보여주고 싶었던 거야.
03:15그게 과연 연주냐 지휘냐.
03:17원장 콘서트
03:20아, 그거 아니에요.
03:22원장으로 공연을 다닌 거예요.
03:24그런 거 아닐까요?
03:25원장 콘서트.
03:26공연을 했다?
03:27월드 투어.
03:28약간 그런 것처럼 여기저기서 하다 보니까
03:31국제적 인지도가 높아진 거 아닌가?
03:32원장 피아노 공연.
03:34근데 지휘인가?
03:35서프레이즈에서 본 거 아니지?
03:36아니요.
03:37아니요.
03:37모차르타 아버지의 과한 욕심 아니었으니.
03:40욕심 아니었을까.
03:41아, 그런 거?
03:41그치!
03:42너무 설득력 있어.
03:44그치!
03:46그게 뭐야, 저게.
03:47탐관 포청천 아니야?
03:48개자!
03:49둘을 퇴아라!
03:51우리 이제 정해야 돼.
03:52정해야 돼.
03:53근데 우리 아무리 해도 지금 거의 지휘 공연 둘 중에 하나네.
03:56지휘냐, 지휘냐.
03:57그거 말고 딴 거 있습니까?
04:00소희 얘기를 답을 하려면 월드 투어 공연이라고 해야 되는데.
04:03그쵸.
04:04국제적 인지도.
04:05국제.
04:06그냥 월드 투어.
04:06국제적인 월드 투어인가 보다.
04:08그러면 안 돼요?
04:09국제 공연인가 보다.
04:10월드 투어 진짜 왔나 보다.
04:11그럼 해외 수뇌 공연?
04:12해외 수뇌 공연?
04:13수뇌 공연인 거 같아.
04:14제일 무난하지 않을까요?
04:15아니 근데 해외 공연이든 외국 공연이든 국제 공연이든 초청 공연이든 다 맞는 거 아닙니까?
04:19그니까요.
04:20정답을 얘기해 주시면 돼요, 이제.
04:21끝이 통연.
04:22그래.
04:22윤석이 도전.
04:22갑시다.
04:23지휘는 아닌 거 같아.
04:24정답.
04:25네.
04:26해외 공연이요.
04:27해외 공연.
04:29정답.
04:30화면으로 확인해 보시겠습니다.
04:32네.
04:33네.
04:34제발 맞아라.
04:35이거 진짜 시간 너무 많이 드렸는데.
04:37뿅.
04:38네.
04:39네.
04:40라고 municipなんて.
04:41그니까요.
04:42고맙습니다.
04:431
04:445
04:464
04:475
04:485
04:496
04:505
04:526
04:536
04:547
04:562
04:585
04:595
05:026
05:046
05:056
05:066

추천